판관공(용)파 | 子 | 극(棘) | | 자(字) | 형화(馨華) | | 생(生) | 1613년 계축(癸丑) 9월 18일 | | 관직(官職) | 소습궁마(少習弓馬) | | 무과(武科) | | 고성(固城)현감(縣監) | | 통정대부(通政大夫) | | | 병자호란때 인조가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옮기셨을때 공이용기를 내어 호위 | | | 하다 적의 화살을 왼쪽다리에 맞았으나 어가를 매고 어장으로 돌아와서 칼로 | | | 화살촉을 뽑아내다 돌아가셨다 .임금께서 특별히 병조참판(兵曺참判)을 증 | | | 직하였다 | | 배(配) | 정부인(貞夫人)경주정씨(慶州鄭氏) | | 묘(墓) | 현암(玄岩) | | | 신도비(神道碑)는 종예(宗裔) 비서승(秘書丞) 영한(寗漢)이 짓고 판돈녕 | | | (判敦寧) 윤용구(尹用求)가 썼다 | | 자좌(子坐) 합폄(合窆) | | 부(父) | 언경(彦慶) | | | 양경공(良景公) 희계(熙啓) 후(后)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