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병조참판(贈兵曹叅判)  인보(仁輔)


조선 중기 무신. 자는 택지(宅之)이고 호는 돈수(遯叟)‧낙빈(洛濱)이다. 거주지는 경상북도 안동군 길안면(吉安面)이다.



부친은 부호군(副護軍) 김진(金鎭)이다.



부친을 따라 길안면 묵계리(黙溪里) 봉월산(蜂月山)에 들어가 약초를 캐고 고기를 잡으며 부친으로부터 가학을 이었다.



1607년(선조 40) ‘문무론(文武論)’을 제진하여 무과 급제한 후 1608년(선조 41) 전라병마절도사군관(全羅兵馬節度使軍官)에 제수되었다. 이후 1611년(광해군 3) 훈련원봉사(訓練院奉事)를 1616년(광해군 8)에 선전관(宣傳官) 등을 지냈다. 그러나 광해군이 영창대군을 안치시키고 인목대비를 동궁에 유폐하자 충장공(忠壯公) 박영신(朴榮臣)‧충민공(忠愍公)윤정준(尹廷俊)과 함께 이에 대해 부당하다는 상소를 올렸다가 남해도로 유배를 당했다.



인조반정 후 거산도찰방(居山島察訪)으로 복직되었고 이괄(李适)의 난에 공을 세웠으며 녹도만호(鹿島萬戶)에 제수되었으며 1636년(인조 14)에는 평안도병마우후(平安道兵馬虞侯)를 지냈다. 만년에는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과 표은(瓢隱) 김시온(金是驀) 등과 나라를 걱정하며 향리에 은거하였다. 사후에 가선대부(嘉善大夫)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되었다.



유고로 『돈수일고(遯叟逸稿)』가 전한다.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낙빈정(洛濱亭)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장사랑공 5대손 돈수공 인보(仁輔)의 음영지소이다.

정자는 원래 언덕앞쪽 강가에 있었는데 순조 17년 7월 홍수로 떠내려가서 1820년에 현 돈목당터에 지었다가 1963년 돈수공 묘소가 있는 봉월산 밑으로 재중건했다.

현판은 이조판서 학순(學淳)공이 쓰고 완산 유연구(柳淵龜)공이 정기(亭記)를 지었다. ,

돈목당(敦睦堂)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장사랑공(환)파 17세 돈수(遯臾) 휘(諱) 인보(仁輔)공의 강학당이다. ,

돈수재(遯叟齎)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2016년 11월 3일 안동시의 문화유산 제103호로 지정되었다

돈수재(遯叟齎)는 장사랑공파(將仕郞公派) 파조 환(瓛)의 종택으로 김인보(金仁輔)가 오락(五樂)으로 은거하여 거처하던 집에 1637년 현판을 걸었으며 그 후 후손들의 집성촌이 됨에 따라 돈수공(遯叟齎) 종택(宗宅)이라 하였다.

1817년 홍수로 유실된 후 이듬해 1818년 재건되었으며 그 후 오랜세월을 거치면서 퇴락하여 1949년 중건하였다고 한다.

정면 5칸 측면 2칸의 겹집으로 마을 뒷산의 경사자락이 끝나는 부분에 넓게 터를 잡은 다음 시멘트 블록담으로 일곽을 형성하였다.
모르타르 마감한 기단 위에 막돌 초석을 놓고 방주를 세운 5량 가 홑처마 팔작지붕집이다.

비교적 늦은 시기에 중건되었으나 전형적인 전통목조 건축의 기법을 잘 따르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로서 가치가 있으므로 안동시 문화유산(유형유산)으로 지정했다.

장사랑공(환)파
인보(仁輔)
자(字)택지(宅之)
호(號)돈수(遯臾) 낙빈(洛濱)
생(生)1583년 계미(癸未) 4월 18일
관직(官職)증(贈)병조(兵曹)참판(叅判)
저서(著書)문무병용론(文武幷用論) 돈수일고(遯叟逸稿)
 병자호란때 평안병마사 소속으로 금화대첩(金化大捿)을 거두고 황성(皇城)을
  구하고자 하였으나 낙산(洛山) 에 이르렀을때 남한산성에서 하성(下城)
 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통곡하여 길안오락(吉安五樂) 월봉산중(月峰山中) 으
 로 들어와서 다시 나가지 않았다
졸(卒)1666년 병오(丙午) 2월 10일
배(配)증(贈)정부인(貞夫人)진성이씨(眞城李氏)
생(生)1582년 임오(壬午) 월 일
졸(卒)1665년 을사(乙巳) 12월 19일
묘(墓)오락촌(五樂村) 봉월산(蜂月山)
 족인(族人)판돈녕(判敦寧)종한(宗漢)이 추지(追識)했다. 족인문간공이조판
 서학순수서락빈정돈목당양액장사랑환현손부호군진유장방좌보이역수세무사당시별무방편
 인순도차희어병인범례특별경우금이참판인보승장사랑적통이공향화역무타치야(族人文簡
 公吏曺判書學淳手書洛濱亭敦睦堂兩額將仕郞瓛玄孫副護軍鎭有長房佐輔而歷數世無嗣當時
 別無方便因循到此熙於丙寅凡例特別境遇今以叅判仁輔承將仕郞適統以供香火亦無他治也)
자좌(子坐) 쌍분(雙墳)
묘표(墓表)가 있다
 부(父)증(贈)참판(叅判) 영희(永希)
14 세15 세16 세17 세18 세
응학(應鶴)수영(壽永)진(鎭)좌보(佐輔)천우(天佑)
인보(仁輔)정호(廷豪)
응호(應豪)
여호(汝豪)
계호(繼豪)
기호(起豪)
남영(南泳)
김극(金剋)
손처인(孫處仁)
일보(日輔)응호(應豪)
승보(承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