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미유고(溪湄遺稿)조선후기 학자 김병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6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916년 그의 손자 문진(文鎭)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중곤(李中錕)·김학진(金鶴鎭)의 서문과 권말에 김영한(金寗漢)·김호근(金浩根)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권1에 시(詩) 58수 권2·3에 서(書) 18편 서(序) 1편 기(記) 4편 발(跋) 3편 상량문 1편 잡저 3편 제문 14편 권4는 부록으로 애모록(哀慕錄) 1편 행장 1편 만사 16편 제문 8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서(書)에는 지방관들에게 선정을 베풀 것을 촉구한 글이 여러 편 있는데 특히 1838년(헌종 4) 그가 향임(鄕任)의 직을 맡고 있을 때 안동부사 이석(李㙽)에게 올린 글에서는 부내 삼정(三政)의 폐가 적지 않음을 지적하고 제반독납(諸般督納) 인귀분간(人鬼分揀) 환폐견감(還弊蠲減) 등 세 가지를 바르게 시행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는 당시 지방관에 대한 향임들의 견제기능이 어떠하였는지를 살펴보는 데 참고가 되는 자료이다.잡저와 발에 수록된 「서용천안의사전후(書龍川安義士傳後)」 및 「효자이모와규진전(孝子李慕窩奎鎭傳)」 등은 후세에 잊혀져가는 이규진(李奎鎭)의 효행과 병자호란 때 큰 공을 세우고 끝까지 청나라에 항거하다가 마침내 1641년(인조 19) 반청(反淸)을 꾀하였다는 죄목으로 억울하게 처형당한 안극함(安克諴)의 충절을 적은 것이다.그밖에 「수락대기(水落臺記)」·「병암정기(屛巖亭記)」 등에는 산천을 소요하며 명승을 소개한 기문들이 수록되어 있어 그 때의 경관을 오늘날까지 전하고 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