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조판서(刑曹判書)  석진(奭鎭) |
김석진(金奭鎭)은 문충공파 김낙균(金樂均)과 남원윤씨(南原尹氏) 사이에서 2남 1녀중 장남으로 태어났으나 문정공파 도균(道均)의 자로 입양되었다.자는 경소(景召) 호는 오천(梧泉)이다. 1860년(철종 11)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종친부(宗親府) 벼슬을 거쳐 사과(司果)·전적(典籍) 등을 역임하였다. 홍문관의 관직을 지내고 지평(持平)·장령(掌令)·사성(司成)·사간(司諫)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그 뒤 호조·형조·병조·이조의 참의에 이어 한성부의 좌·우윤과 호조·이조·형조·공조의 참판 형조판서·의정부좌참찬·광주부유수 및 삼도육군통어사 등을 지냈다. 1896년 궁내부 특진관에 이어 비서원경(秘書院卿)·장례원경(掌禮院卿)·귀족원경(貴族院卿) 등을 거쳐 1901년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에 이르렀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다음 해 1월 23일 오적신(五賊臣)을 처형할 것을 상소했다. 상소문에서 김석진은 협박에 의한 조약은 공법상 폐기가 가능하니 외부대신을 불러 여러 외국 공사에게 성명을 내고 매국 역도들을 죽여서 국헌을 바로잡고 인민을 생지옥에서 구하라고 청하였다. 왕의 승낙이 떨어지지 않고 날짜만 지연되자 다시 상주. 매국노들과 한 하늘로 머리를 들고 다닐 수도 없는데 하물며 어깨를 나란히 하고 한 줄에 설 수 없으니 의효전향관(懿孝殿享官)의 직을 물러나겠다고 하였다. 당시 향관의 줄에 오적의 한 사람인 이지용(李址鎔)이 있었기 때문이다.조병세(趙秉世)가 조약에 반대 순사하자 조문길에 남대문 근처 한 점포에서 아편을 산 김석진은 다시는 대궐에 들어가지 않고 나라를 위해 죽기로 결심하고 기회를 보고 있었다. 1910년 우리나라를 병탄한 뒤 조선의 전직 고위 관료들에게 작위 또는 은사금을 주던 일제가 남작의 작위로써 김석진을 회유하려 하자 이를 치욕으로 여겨 1910년 9월 8일 아편을 먹고 자결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
오천실기(梧泉實紀)조선후기 문신·의열사 김석진의 유고와 행장·묘지명 등을 수록하여 1961년에 간행한 실기. |
1858.12.15 | 철종 9년 | 동몽교관(童蒙敎官) |
1860.01.06 | 철종 11년 | 직부전시(直赴殿試) |
1860.03.13 | 철종 11년 | 가주서(假注書) |
1864.04.16 | 고종 1년 | 전부(典簿) |
1864.06.07 | 고종 1년 | 교리(校理) |
1864.06.21 | 고종 1년 | 부수찬(副修撰) |
1864.06.26 | 고종 1년 | 정언(正言) |
1864.08.01 | 고종 1년 | 호조정랑(戶曹正郞) |
1864.08.11 | 고종 1년 | 헌납(獻納) |
1864.08.21 | 고종 1년 | 지평(持平) |
1864.10.03 | 고종 1년 | 장령(掌令) |
1864.10.22 | 고종 1년 | 집의(執義) |
1864.11.20 | 고종 1년 | 장악원정(掌樂院正) |
1864.12.02 | 고종 1년 | 부교리(副校理) |
1865.02.24 | 고종 2년 | 우통례(右通禮) |
1865.06.17 | 고종 2년 | 사성(司成) |
1865.09.04 | 고종 2년 | 수찬(修撰) |
1865.09.05 | 고종 2년 | 응교(應敎) |
1866.03.14 | 고종 3년 | 사간(司諫) |
1866.07.26 | 고종 3년 | 동부승지(同副承旨) |
1870.01.30 | 고종 7년 | 형조참의(刑曹參議) |
1874.12.29 | 고종 11년 | 안주목사(安州牧使) |
1875.10.11 | 고종 12년 | 좌부승지(左副承旨) |
1876.02.11 | 고종 13년 | 대사성(大司成) |
1876.04.27 | 고종 13년 | 경주부윤(慶州府尹) |
1877.12.15 | 고종 14년 | 이조참의(吏曹叅議) |
1878.04.16 | 고종 15년 | 우부승지(右副承旨) |
1878.10.26 | 고종 15년 | 예조참판(禮曹參判) |
1878.12.15 | 고종 15년 | 동의금부사(同義禁府事) |
1880.02.15 | 고종 17년 | 동부승지(同副承旨) |
1882.03.28 | 고종 19년 | 예조참판(禮曹參判) |
1882.12.29 | 고종 19년 | 한성우윤(漢城右尹) |
1883.03.14 | 고종 20년 | 동돈녕부사(同敦寧府事) |
1883.07.14 | 고종 20년 | 공조참판(工曹參判) |
1884.02.03 | 고종 21년 | 이조참판(吏曹叅判) |
1886.06.04 | 고종 23년 | 공조참판(工曹參判) |
1887.01.01 | 고종 24년 | 호조참판(戶曹叅判) |
1887.03.28 | 고종 24년 | 형조참판(刑曹參判) |
1887.06.12 | 고종 24년 | 부제학(副提學) |
1887.06.29 | 고종 24년 | 공조참판(工曹參判) |
1888.07.06 | 고종 25년 | 형조참판(刑曹參判) |
1889.12.11 | 고종 26년 | 우승지(右承旨) |
1890.06.09 | 고종 27년 | 호조참판(戶曹叅判) |
1890.06.29 | 고종 27년 | 형조참판(刑曹參判) |
1890.11.22 | 고종 27년 | 직제학(直提學) |
1890.12.07 | 고종 27년 | 형조판서(刑曹判書) |
1891.04.18 | 고종 28년 | 광주유수(廣州留守) |
1893.01.29 | 고종 30년 |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
1896.07.24 | 고종 33년 | 궁내부특진관(宮內府特進官) |
1898.08.14 | 고종 35년 | 비서원경(秘書院卿) |
1899.09.02 | 고종 35년 | 태의원경(太醫院卿) |
1899.11.27 | 고종 35년 | 장례원경(掌禮院卿) |
1900.10.29 | 고종 37년 | 지돈녕원사(知敦寧院事) |
1903.01.04 | 고종 40년 | 판돈녕원사(判敦寧院事) |
1910.09.08 | 자결 | |
1962.. | 독립운동(獨立運動) 건국훈장 독립장 | |
1962.. | 훈장 건국훈장 독립장 |
문정공(상헌)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