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의정(領議政)  병학(炳學)


자는 경교(景敎) 호는 영초(潁樵). 김이직(金履直)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인순(金麟淳)이고 아버지는 이조판서 김수근(金洙根)이며 어머니는 조진택(趙鎭宅)의 딸이다. 철종의 장인인 영은부원군(永恩府院君) 김문근(金汶根)의 조카이다. 김준근(金浚根)에게 입양되었다.



1853년(철종 4) 현감으로 정시 문과의 병과로 급제 장령(掌令)·사간이 되었다. 1855년 성균관 대사성이 되고 이조참판 을 거쳐 예조판서가 되었다. 수원부유수로 잠시 나가있다 대사헌과 대제학을 제수 받았다.

한성부판윤으로 재직하다 형조 공조 병조 이조판서를 두루 거쳤다.



좌찬성을 거쳐 좌의정에 올랐다. 이 해 실록총재관으로 『철종실록(哲宗實錄)』을 편찬하고 조두순(趙斗淳)·이유원(李裕元) 등과 함께 찬집소총재관으로 『대전회통(大典會通)』을 완성하였다.



보수적인 척화론자로서 1866년 병인박해 때 천주교의 탄압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였다. 또한 병인양요로 민심이 흉흉해지자 흥선대원군을 권고해 당시 척화론을 주장하던 이항로(李恒老)를 승정원동부승지로 등용하도록 천거하였다. 영의정을 거쳐 1875년 영돈녕부사가 된 뒤 조일수호조약(朝日修好條約)의 체결에 극렬하게 반대하였다.



1879년 사망하기 직전에도 판부사 홍순목(洪淳穆)·한계원(韓啓源) 영의정 이최응(李最應) 좌의정 김병국(金炳國) 등과 함께 연차(聯箚: 연맹으로 왕에게 쓴 건의문)를 올려 일본이 요구하는 인천·원산의 개항 가운데 인천만은 서울의 백 리 안에 있으므로 결코 허락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김병학묘(金炳學墓)

충남 아산시 권곡동 403-1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구룡동에 있다가 1979년 도시개발로 수용되어 온양민속박물관에 의해 발굴후 화장되었으며 부장품은 온양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묘갈은 김병국이 찬하고 김흥균이 썻다.

1849..헌종 15년진사(進士)헌종(憲宗) 15년(1849) 기유(己酉)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55위(85/100)

1849.12.26철종 즉위년동몽교관(童蒙敎官)
1852.06.27철종 3년평시주부(平市主簿)
1852.08.23철종 3년금성현령(金城縣令)
1853..철종 4년문과(文科)철종(哲宗) 4년(1853) 계축(癸丑) 정시(庭試) 병과(丙科) 9위(12/15)

1853.03.19철종 4년직부전시(直赴殿試)
1853.03.21철종 4년정언(正言)
1853.04.16철종 4년부교리(副校理)
1853.04.24철종 4년헌납(獻納)
1853.04.29철종 4년사복시정(司僕寺正)
1853.05.16철종 4년병조정랑(兵曹正郞)
1853.06.05철종 4년수찬(修撰)
1853.06.26철종 4년응교(應敎)
1853.07.08철종 4년의주부윤(義州府尹)
1853.07.11철종 4년동부승지(同副承旨)
1853.08.16철종 4년공조참의(工曹叅議)
1854.04.14철종 5년돈녕도정(敦寧都正)
1854.06.25철종 5년대사성(大司成)
1857.01.15철종 8년이조참판(吏曹參判)
1857.02.26철종 8년동의금부사(同義錦府事)
1857.03.05철종 8년형조참판(刑曹參判)
1857.05.06철종 8년동돈녕부사(同敦寧府事)
1857.05.25철종 8년공조참판(工曹叅判)
1857.06.26철종 8년홍문제학(弘文提學)
1857.06.27철종 8년이조참판(吏曹參判)
1857.07.13철종 8년도승지(都承旨)
1857.10.15철종 8년대사헌(大司憲)
1857.11.01철종 8년호조참판(戶曹參判)
1858.01.20철종 9년예조판서(禮曹判書)
1858.01.29철종 9년수원유수(水原留守)
1858.03.04철종 9년홍문관대제학(弘文館大提學)
1858.03.04철종 9년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1858.03.23철종 9년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1858.04.08철종 9년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1858.04.15철종 9년한성판윤(漢城判尹)
1858.05.01철종 9년우참찬(右參贊)
1858.06.27철종 9년이조판서(吏曹判書)
1858.08.05철종 9년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1858.08.05철종 9년숭정대부(崇政大夫)
1859.02.10철종 10년병조판서(兵曹判書)
1859.08.25철종 10년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1859.10.17철종 10년형조판서(刑曹判書)
1859.11.17철종 10년공조판서(工曹判書)
1860.01.02철종 11년병조판서(兵曹判書)
1862.08.07철종 13년공조판서(工曹判書)
1864.01.25고종 1년이조판서(吏曹判書)
1865.02.27고종 2년좌찬성(左贊成)
1865.03.03고종 2년좌의정(左議政)
1865.05.15고종 2년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1867.03.15고종 4년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1867.05.18고종 4년영의정(領議政)
1874.11.08고종 11년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1879.08.15고종 16년졸기(卒記)영돈녕부사 김병학(金炳學)이 졸하였다. 전교하기를 "이 대신은 곧고 단아한 자태와 크고 뛰어난 기량에 문장과 경제(經濟)의 재주를 겸하였기 때문에 맡은 임무가 매우 중하였다. 내가 즉위한 뒤 심증을 살펴서 대신의 임무를 맡기고 수공지치(垂拱之治)가 이루어지기를 바란 것이 거의 10년에 가깝다. 동인협공(同寅協恭)하고 나의 부족한 점을 보필하여 시종일관 성의를 다하였으니 나라를 위해서 자신을 잊는 그 노고가 과연 어떠했겠는가? 근래에 관직을 벗고 한가하게 지내게 되니 벌써 조정과 재야(在野)의 기대가 어그러졌다. 나이가 노쇠하지 않고 정력도 강건해서 아직까지는 다시 등용할 날이 있으리라 생각하였다. 그런데 홀연히 뜻밖의 병으로 갑자기 부음 단자를 받게 되었으니 노성(老成)의 전형(典刑)이며 숙달한 재능을 지닌 그가 이제는 없으니 어디서 다시 보겠는가? 절통한 슬픔을 뭐라 말을 할 수가 없다. 졸한 영돈녕부사의 상사(喪事)에 동원부기(東園副器) 1부(部)를 실어 보내고 상복일에는 승지를 보내어 치제(致祭)하며 시호(諡號)의 은전은 행장(行狀)이 올라오기를 기다리지 말고 거행하고 녹봉은 3년 동안 그대로 실어 보내라. 예장(禮葬) 등의 절차는 관례에 비추어 거행하라." 하였다. 또 전교하기를 "졸한 영돈녕부사의 성복일에는 승지를 보내어 좌의정을 위문하라." 하였다.

1879.08.29고종 16년시호(諡號) 문헌(文獻)勤學好問(근학호문) 嚮忠內德(향충내덕)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 있음이 헌이다.


안동김씨대종중
문정공(상헌)파
系子병학(炳學)
생부(生父)수근(洙根)
자(字)경교(景敎)
호(號)영초(穎樵)
시호(諡號)문헌(文獻) 勤學好問(근학호문) 嚮忠內德(향충내덕)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 있음이 헌
이다.1879
생(生)1821년 신사(辛巳) 6월 30일
관직(官職)기유(己酉)진사(進士)
계축(癸丑)문과(文科)
전문형(典文衡)
영의정(領議政)
저서(著書)유고(遺稿)가있다
졸(卒)1879년 기묘(己卯) 8월 15일
배(配)증(贈)정경부인(貞敬夫人)파평윤씨(坡平尹氏)
생(生)1819년 기묘(己卯) 월 일
졸(卒)1853년 계축(癸丑) 10월 3일
묘(墓)안산시 상록구 일동 구룡동(九龍洞) 본생선비(本生先妣) 신씨조(愼氏兆)
 다음 에서 도시개발로 묘를 발굴하여 아산시 권곡동 온양민속박물관으로 이전
 하여 가묘를 세웠다.
인좌(寅坐)
 부(父)군수(郡守) 희대(希大)
 조(祖)첨정(僉正)
 증조(曾祖)대사간(大司諫) 면승(勉升)
 외조(外祖)생원(生員) 조진실(趙鎭室) 본(本) 풍양(豊壤)
배(配)증(贈)정경부인(貞敬夫人)파평윤씨(坡平尹氏)
생(生)1838년 무술(戊戌) 월 일
졸(卒)1918년 무오(戊午) 5월 24일
묘(墓)안산시 상록구 일동 구룡동(九龍洞) 본생선비(本生先妣) 신씨조(愼氏兆)
 다음에서 도시개발로 묘를 발굴하여 아산시 권곡동 온양민속박물관으로 이전하
 여 가묘를 세웠다.
인좌(寅坐)
 부(父)집(鏶)
 조(祖)한규(漢圭)
 외조(外祖)진사(進士) 안선(安녵) 본(本) 죽산(竹山)
 우상(右相)양평공(養平公)흔(昕)후(后)
배(配)정경부인(貞敬夫人)성주이씨(星州李氏)
생(生)1840년 경자(庚子) 월 일
졸(卒)1928년 무진(戊辰) 2월 14일
묘(墓)안산시 상록구 일동 구룡동(九龍洞) 에서 도시개발로 묘를 발굴하여 아산시
  권곡동 온양민속박물관으로 이전하여 가묘를 세웠다.
 부(父)교상(敎尙)
 조(祖)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원용(元容)
 외조(外祖)진사(進士) 이욱(李꿝) 본(本) 우봉(牛峯)
 좌찬성(左贊成)공숙공(恭肅公)즙(楫)후(后)
21 세22 세23 세24 세25 세
이직(履直)인순(麟淳)준근(浚根)병학(炳學)승규(昇圭)
조신희(趙臣熙)
이승우(李勝愚)
수근(洙根)병학(炳學)
병국(炳國)정규(貞圭)
조병석(趙秉奭)
이호병(李鎬秉)
문근(汶根)
이영규(李英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