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평현감(砥平縣監)  민순(敏淳)


호는 매월송풍(梅月松風)·매옹(梅翁). 자는 신여(愼汝)이다.



관직은 현감을 지냈다고 되어 있고 『가곡원류』 가와이본(河合本)에는 익종 대리시(代理時) 지평현감(砥平縣監)을 지냈다고 되어 있다.



김민순의 작품은 15수가 전하고 있다. 『청구영언』 육당본에만 수록된 것이 11수인데 그 중 3수는 사설시조이다. 나머지 4수는 『청구영언』 육당본과 가곡원류계 가집에 1수가 보이고 또 가곡원류계 가집에만 보이는 작품이 3수가 있다.그의 작품내용과 작풍은 조선 후기 가객들과 공통성을 지니고 있다. 즉 안빈낙도·한정(閑情)·은일(隱逸)의 노래가 있고 취흥(醉興)이 많으며 상사연정(相思戀情)의 노래 소년시절의 회고 각종 신병(身病) 등을 노래하기도 하였다.



“소년 십오이십시(少年 十五二十時)에 ᄒᆞ던 일이 어졔론듯/속곰질 ᄯᅱ움질과 씨름탁견 유산(遊山)ᄒᆞ기 소골(小骨) 쟝긔 투전(投箋)ᄒᆞ기 져기ᄎᆞ고 연(鳶)날니기 주사청루(酒肆靑樓) 출입(出入)다가 ᄉᆞ람치기 ᄒᆞ기로다/만일(萬一)에 팔자(八字)ㅣ가 죠하만졍 신수(身數)가 험ᄒᆞ던들 큰일 날번 ᄒᆞ괘라.”“니몸에 가진 병(病)이 ᄒᆞᆫ두가지가 아니로다/보아도 못보ᄂᆞᆫ눈 드러도 못듯난귀 마타도 못맛ᄂᆞᆫ코 말못ᄒᆞᄂᆞᆫ 입이로다/잇다감 요통(腰痛)과 복통(腹痛)이며 현기구담체증(眩氣嘔痰滯症)은 별증(別症)인가 ᄒᆞ노라.”



이 두 작품은 사설시조로 소년시절 남아의 각종 놀이며 온갖 신병의 묘사 변화를 재미있고 짜임새 있게 구성한 노래이다. 이와 같이 그의 작품은 내용과 형식면에서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평시조에서는 고사를 즐겨 사용하였고 한문투의 어법이 많다는 흠이 있으나 사설시조에서 이를 보완하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1805.12.28순조 5년제용주부(濟用主簿)

1806.12.24순조 6년양주감목관(楊州監牧官)

1824.12.22순조 24년상의별제(尙衣別提)

1826.02.07순조 26년지평현감(砥平縣監)

1855.01.07철종 8년오위장(五衛將)

1855.01.11철종 8년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안동김씨대종중
문정공(상헌)파
민순(敏淳)
자(字)신여(愼汝)
생(生)1776년 병신(丙申) 월 일
관직(官職)음(蔭)지평(持平)현감(縣監)
수계(壽階)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졸(卒)1859년 기미(己未) 2월 28일
배(配)증(贈)숙부인(淑夫人)여흥민씨(驪興閔氏)
생(生)1775년 을미(乙未) 월 일
졸(卒)1822년 임오(壬午) 1월 23일
묘(墓)고양시(高陽市) 덕양구(德陽區) 강매동(江梅洞) 강고산(江古山)
계좌(癸坐) 합폄(合窆)
 부(父)생원(生員) 백사(百師)
19 세20 세21 세22 세23 세
호겸(好謙)준행(峻行)이신(履信)문순(文淳)정근(鼎根)
춘근(春根)
이희갑(李羲甲)
권경리(權敬履)
조선(趙選)
이만주(李晩胄)
민순(敏淳)형근(瀅根)
철근(澈根)
이원용(李元容)
정제철(鄭濟喆)
민치정(閔致正)
이헌(履獻)정순(正淳)중근(重根)
송경희(宋敬熙)
홍익모(洪益謨)
이운(履運)내순(來淳)명근(命根)
성근(性根)
석근(奭根)
덕근(德根)
이현(履顯)초순(初淳)명근(命根)
이관수(李觀洙)
내순(來淳)
묵순(默淳)영근(榮根)
하근(夏根)
황상우(黃相雨)
홍승규(洪勝圭)
이노영(李魯榮)
이연(履鍊)할순(劼淳)진근(眞根)
변근(忭根)
태근(泰根)
제근(悌根)
신광익(申光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