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헌(大司憲)  이희(履禧) |
자는 치응(稚膺). 문충공 김상용(金尙容)의 5대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시겸(金時謙)이고 아버지는 김경행(金景行)이며 어머니는 이정상(李鼎相)의 딸이다. 1759년(영조 35)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1783년 대사간 1787년 대사성 1794년 대사헌등 주로 사헌부·사간원·홍문관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쳤다.1769년 부수찬(副修撰)으로 재임시 박세채(朴世采)의 문묘(文廟) 출향(黜享)을 상소한 중학유생(中學儒生) 김정렬(金鼎烈)을 힘써 옹호한 것이 영조의 노여움을 사서 서인(庶人)으로 깎이고 귀양을 갔다. 곧 이어 풀려났으며 정조가 즉위하자 진하 겸 사은사(進賀兼謝恩使)의 서장관으로 발탁되었으나 병으로 나가지 못하였다. 그 뒤 김해부사로 있을 때 흉년이 들자 백성의 구휼에 힘썼으며 경직에 복귀한 뒤 대사성·대사간을 지냈다.1792년(정조 16) 동지의금부사로 죄인 홍명호(洪明浩) 등을 미온적으로 다스린다고 고신(告身)을 추탈당하기도 하였으나 곧 회복되어 대사헌에 이르렀다. |
1759.. | 영조 35년 | 문과(文科) 영조(英祖) 35년(1759)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1위(04/56) |
1759.04.27 | 영조 35년 | 가주서(假注書) |
1760.06.25 | 영조 36년 | 율봉찰방(栗峯察訪) |
1761.01.10 | 영조 37년 | 주서(注書) |
1761.08.19 | 영조 37년 | 예조정랑(禮曹正郞) |
1761.09.08 | 영조 37년 | 정언(正言) |
1762.05.08 | 영조 38년 | 지평(持平) |
1764.07.22 | 영조 40년 | 경기도사(京畿都事) |
1765.04.14 | 영조 41년 | 이조정랑(吏曹正郞) |
1766.07.21 | 영조 42년 | 병조정랑(兵曹正郞) |
1766.12.17 | 영조 42년 | 장연현감(長淵縣監) |
1768.12.21 | 영조 44년 | 부수찬(副修撰) |
1769.12.24 | 영조 45년 | 사서(司書) |
1771.02.14 | 영조 47년 | 부교리(副校理) |
1771.06.22 | 영조 47년 | 북평사(北評事) |
1772.05.19 | 영조 48년 | 수찬(修撰) |
1773.02.04 | 영조 49년 | 보덕(輔德) |
1773.03.14 | 영조 49년 | 겸문학(兼文學) |
1773.12.22 | 영조 49년 | 종부시정(宗簿寺正) |
1774.01.22 | 영조 50년 | 집의(執義) |
1775.03.03 | 영조 51년 | 영암군수(靈巖郡守) |
1776.11.06 | 정조 즉위년 | 사간(司諫) |
1776.12.29 | 정조 즉위년 | 부안현감(扶安縣監) |
1779.02.27 | 정조 3년 | 수찬(修撰) |
1779.08.27 | 정조 3년 | 장악원정(掌樂院正) |
1780.02.27 | 정조 4년 | 부응교(副應敎) |
1780.10.17 | 정조 4년 | 동학교수(東學敎授) |
1780.12.25 | 정조 4년 | 동부승지(同副承旨) |
1781.01.24 | 정조 5년 | 안주목사(安州牧使) |
1782.02.21 | 정조 6년 | 동부승지(同副承旨) |
1782.04.30 | 정조 6년 | 경주부윤(慶州府尹) |
1782.09.27 | 정조 6년 | 동부승지(同副承旨) |
1783.03.08 | 정조 7년 | 대사간(大司諫) |
1783.06.09 | 정조 7년 | 병조참의(兵曹參議) |
1783.06.29 | 정조 7년 | 김해부사(金海府使) |
1784.06.08 | 정조 8년 | 동부승지(同副承旨) |
1785.07.18 | 정조 9년 | 호조참의(戶曹叅議) |
1786.08.14 | 정조 10년 | 형조참의(刑曹參議) |
1787.10.08 | 정조 11년 | 대사성(大司成) |
1788.05.27 | 정조 12년 | 대사간(大司諫) |
1788.09.12 | 정조 12년 | 동래부사(東萊府使) |
1791.04.16 | 정조 15년 | 동부승지(同副承旨) |
1791.05.02 | 정조 15년 | 대사간(大司諫) |
1791.06.05 | 정조 15년 | 강릉부사(江陵府使) |
1791.07.28 | 정조 15년 | 예조참의(禮曹參議) |
1791.09.09 | 정조 15년 | 호조참의(戶曹叅議) |
1791.12.18 | 정조 15년 | 우부승지(右副承旨) |
1792.02.02 | 정조 16년 | 대사간(大司諫) |
1792.04.07 | 정조 16년 | 형조참의(刑曹參議) |
1792.04.23 | 정조 16년 | 대사간(大司諫) |
1792.09.19 | 정조 16년 | 병조참판(兵曹參判) |
1792.09.24 | 정조 16년 | 동의금부사(同義禁府事) |
1792.11.05 | 정조 16년 | 예조참판(禮曹參判) |
1792.12.18 | 정조 16년 | 대사헌(大司憲) |
1793.10.06 | 정조 17년 | 호조참판(戶曹叅判) |
1794.02.12 | 정조 18년 | 대사헌(大司憲) |
1794.09.29 | 정조 18년 | 공조참판(工曹參判) |
1795.01.20 | 정조 19년 | 대사헌(大司憲) |
문충공(상용)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