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조판서(吏曹判書)  희순(羲淳)


자는 태초(太初) 호는 산목(山木)·경원(景源). 김시발(金時發)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교행(金敎行)이고 아버지는 군수 김이인(金履仁)이다. 어머니는 참봉 이극현(李克顯)의 딸이다.



1783년(정조 7)에 생원이 되고 1789년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 사직서직장에 제수되었다. 같은 해 초계문신(抄啓文臣)에 발탁되고 사서를 강론하였다.1791년 부수찬·삼사를 지냈으며 이듬해 사간으로서 이가환(李家煥)의 부당함을 상소하다 삭직당했으나 곧 포천에 암행어사로 나가 민폐를 살폈다.



1793년 상소한 일이 말썽이 되어 파직되었다.1796년 괴산군수와 서산군수를 지낸 뒤 1799년 응교·부응교·세자보도 등의 임무 수행 중 영남 지방에 기근이 들어 암행어사로 다녀왔다.



그 뒤 전라도관찰사·승지를 거쳐 1800년 이조참의가 되었다. 순조가 즉위하자 실록당상(實錄堂上)에 제수되었다.시강원보덕·이조참판을 거쳐 1803년 영남안찰사 1806년 호조·예조·병조·공조의 참판과 한성부서윤·이조참판·한성부판윤·대사헌 겸 홍문관제학·비변사유사당상 등을 두루 지냈다.



1809년 병조판서·이조판서 이듬해에 호남관찰사 1812년 광주유수·이조판서 겸 세자빈객으로 인재 등용을 고르게 하고자 노력하였다.그러나 평소에 사감을 가졌던 전 참의 한시유(韓始裕)의 무고로 사직당하였다. 뒤에 정헌으로 승계한 뒤 종부시제조·판의금부사 등을 거쳐 1819년 경기도관찰사로 재임 중 어머니의 3년 상을 치른 뒤 죽었다.



어릴 때부터 문사에 능했으며 경술(經術)에 조예가 깊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김희순불망비(金羲淳不忘碑)

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관찰사 김희순 불망비 ,

산목헌집(山木軒集)

조선후기 문신·학자 김희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3년에 간행한 시문집.
1833년(순조 33) 김희순의 동생 김양순(金陽淳)에 의해 편집·간행되었다. 권두에 이익회(李翊會)의 서문과 김양순의 발문이 있다.
18권 9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223수 권2·3에 소(疏) 44편 권4∼7에 강의 198편 권8·9에 강설(講說) 44편 권10∼12에 제문 30편 고축문 9편 묘지 4편 묘지명 3편 묘갈명 8편 묘표 1편 비(碑) 3편 권13·14에 행장 3편 시장(諡狀) 7편 권15에 고사(故事) 1편 국서(國書) 1편 서계(書契) 6편 수의 4편 전(箋) 7편 서(序) 7편 기(記) 3편 제발(題跋) 15편 전(傳) 1편 변(辨) 1편 잡저 4편 권16∼18에 응제록(應製錄)으로 반교문(頒敎文) 1편 제문 22편 진향문(進香文) 1편 비 1편 부(賦) 3편 시 16수 표(表) 3편 책(策) 3편 서(序) 3편 기 1편 논(論) 1편 설(說)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강의는 전체가 임금의 어제조문(御製條問)에 대한 답이다. 『시경』의 난해한 부분을 각 장의 차례에 따라 저술한 것이다.
강설(講說)은 과강(課講)에서 임금의 질문에 답한 것으로 『대학』·『논어』·『맹자』·『중용』·『시전』·『서전』 등의 과목 순으로 날짜에 따라 문답한 내용을 정리해놓은 것이다.
「고사(故事)」는 지경연사(知經筵事)로 있을 때 왕명에 의해 치도에 관한 고사를 논술한 것이다. 제왕이 높은 지위에 있다고 편안히 지내며 천하의 부를 누렸다고 여유 있게 지내면 온갖 법도가 무너지게 되는 것이므로 언제나 위미(危微)한 마음을 가지고 모든 재앙의 기미를 미리 살펴서 대처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잡저의 「부첩(簿牒)」은 서산군수로 있으면서 그 고을의 서정(庶政)을 중앙에 첩보한 것으로 백성들의 생활이 넉넉해져서 안정되어야 국가의 바탕이 튼튼해짐을 강조하였다. 또한 전세(田稅)·환곡(還穀)·증미(拯米)·이액(吏額)·군액(軍額)·보복(補卜) 등의 폐단을 지적하고 서정을 개혁해 민생을 안정시킬 것을 건의하였다.
이 밖에도 「악역불가불위지성설(惡亦不可不謂之性說)」·「우산지목설(牛山之木說)」등의 논설은 본연(本然)의 성과 기질(氣質)의 성이 모두 천성(天性)임을 논구(論究)한 학설로 성리학 연구에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1783..정조 7년생원(生員)
정조(正祖) 7년(1783)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35위(65/100)
1789..정조 13년문과(文科)
정조(正祖) 13년(1789) 기유(己酉)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3[探花]위(03/60)
1789.02.23정조 13년직부전시(直赴殿試)

1789.03.18정조 13년가주서(假注書)

1790.12.26정조 14년전적(典籍)

1791.03.11정조 15년병조좌랑(兵曹佐郞)

1791.08.19정조 15년문겸(文兼)

1791.08.28정조 15년수찬(修撰)

1791.10.29정조 15년교리(校理)

1791.11.17정조 15년중학교수(中學敎授)

1792.03.12정조 16년동학교수(東學敎授)

1792.04.19정조 16년지평(持平)

1792.12.01정조 16년남학교수(南學敎授)

1792.12.15정조 16년장령(掌令)

1795.03.18정조 19년정언(正言)

1795.04.27정조 19년충청도암행어사(忠淸道暗行御史)

1795.08.10정조 19년동학교수(東學敎授)

1795.08.10정조 19년문겸(文兼)

1795.09.08정조 19년북평사(北評事)

1796.09.28정조 20년괴산군수(槐山郡守)

1798.11.03정조 22년서산군수(瑞山郡守)

1798.12.19정조 22년교리(校理)

1799.02.06정조 23년응교(應敎)

1799.04.03정조 23년형조참의(刑曹參議)

1799.06.01정조 23년경상도암행어사(慶尙道暗行御史)

1799.06.04정조 23년전라감사(全羅監司)

1799.07.06정조 23년동부승지(同副承旨)

1799.11.08정조 23년예조참의(禮曹叅議)

1800.01.13정조 24년보덕(輔德)

1800.04.24정조 24년이조참의(吏曹參議)

1800.06.03정조 24년병조참지(兵曹參知)

1800.08.05순조 즉위년이조참의(吏曹參議)

1800.11.08순조 즉위년공조참판(工曹叅判)

1800.11.24순조 즉위년예조참판(禮曹叅判)

1800.12.16순조 즉위년병조참판(兵曹叅判)

1801.02.10순조 1년동의금부사(同義禁府事)

1801.06.28순조 1년예조참판(禮曹叅判)

1802.02.22순조 2년이조참판(吏曹叅判)

1802.10.12순조 2년병조참판(兵曹叅判)

1802.12.05순조 2년이조참판(吏曹叅判)

1803.01.09순조 3년병조참판(兵曹叅判)

1803.05.30순조 3년이조참판(吏曹叅判)

1803.07.13순조 3년호조참판(戶曹叅判)

1803.08.13순조 3년이조참판(吏曹叅判)

1803.09.28순조 3년예조참판(禮曹叅判)

1803.12.13순조 3년경상감사(慶尙監司)

1806.01.06순조 6년형조판서(刑曹判書)

1806.02.14순조 6년공조판서(工曹判書)

1806.02.14순조 6년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1806.02.21순조 6년한성판윤(漢城判尹)

1806.03.06순조 6년예조판서 (禮曹判書)

1806.04.18순조 6년대사헌(大司憲)

1806.09.01순조 6년형조판서(刑曹判書)

1807.01.13순조 7년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1807.07.25순조 7년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1807.11.05순조 7년형조판서(刑曹判書)

1807.11.21순조 7년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1808.01.25순조 8년홍문제학(弘文提學)

1808.10.08순조 8년대사헌(大司憲)

1809.01.08순조 9년병조판서(兵曹判書)

1809.07.15순조 9년이조판서(吏曹判書)

1810.06.01순조 10년전라감사(全羅監司)

1810.07.11순조 10년예문제학(藝文提學)

1810.08.23순조 10년대사헌(大司憲)

1810.11.13순조 10년예조판서(禮曹判書)

1811.03.27순조 11년광주유수(廣州留守)

1812.11.14순조 12년이조판서(吏曹判書)

1813.07.08순조 13년한성판윤(漢城判尹)

1813.09.17순조 13년대사헌(大司憲)

1813.10.23순조 13년좌참찬(左參贊)

1816.05.11순조 16년형조판서(刑曹判書)

1817.07.25순조 17년예조판서(禮曹判書)

1818.05.23순조 18년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1818.11.19순조 18년형조판서(刑曹判書)

1819.02.29순조 19년경기감사(京畿監司)

1824.10.19순조 24년시호(諡號) 문간(文簡)
勤學好問(근학호문) 一德不懈(일덕불해)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 순일한 덕으로 느슨함이 없음이 간이다.

안동김씨대종중
문충공(상용)파
희순(羲淳)
자(字)태초(太初)
호(號)산목헌(山木軒)
시호(諡號)문간(文簡)勤學好問(근학호문) 一德不懈(일덕불해)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 순일한 덕으로 느슨함이 없음이 간이다.18
24
생(生)1757년 정축(丁丑) 5월 17일
관직(官職)계묘(癸卯)생원(生員)
기유(己酉)문과(文科)
숭정대부(崇政大夫)
이조(吏曹)판서(判書)
저서(著書)산목헌집(山木軒集)
졸(卒)1821년 신사(辛巳) 8월 27일
배(配)정경부인(貞敬夫人)달성서씨(達城徐氏)
생(生)1755년 을해(乙亥) 월 일
졸(卒)1833년 계사(癸巳) 10월 19일
묘(墓)문현(文峴) 중간(中簡)
 묘지(墓誌)는 삼종제(三從弟) 우순(愚淳)이 짓고 신도비(神道碑)는 족숙
 (族叔) 우상(右相) 이교(履喬)가 지었고 생질(甥侄) 승지(承旨) 이석
 (李㙽) 이 썼다. 첨정(僉正) 유한지(兪漢芝) 전갈(篆碣) 상(左相)
 홍석주(洪奭周)가 지었고 판서(判書) 이익회(李翊會)가 썼으며 유한지(兪
 漢芝) 전(篆) 하였다
유좌(酉坐) 합폄(合窆)
 부(父)판관(判官) 퇴수(退修)
 조(祖)증(贈)영의정(領議政) 명원(命元)
 증조(曾祖)참의(叅議) 종섭(宗燮)
 외조(外祖)참봉(叅奉) 민관수(閔寬洙) 본(本) 여흥(驪興)
19 세20 세21 세22 세23 세
시발(時發)교행(敎行)이인(履仁)희순(羲淳)보근(普根)
익근(翊根)
양순(陽淳)
이광유(李光裕)
윤경숙(尹景肅)
이헌기(李憲琦)
이례(履禮)양순(陽淳)보근(普根)
석근(晳根)
서순(徐淳)
조철영(趙哲永)
민치복(閔致福)
이인창(李寅昌)
이준수(李俊秀)
이존원(李存源)
수행(修行)이성(履性)정순(政淳)덕근(悳根)
풍근(豐根)
이희갑(李羲甲)
홍재신(洪在愼)
이경(履憬)정순(政淳)
돈순(敦淳)태근(邰根)
형근(炯根)
우근(右根)
철순(敠淳)
이의근(李義根)
이은연(李隱淵)
이상적(李尙迪)
이종혁(李鍾赫)
이후제(李厚濟)
이유(李維)
임재인(林載麟)
윤명연(尹明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