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조판서(吏曹判書)  희순(羲淳) |
자는 태초(太初) 호는 산목(山木)·경원(景源). 김시발(金時發)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교행(金敎行)이고 아버지는 군수 김이인(金履仁)이다. 어머니는 참봉 이극현(李克顯)의 딸이다. 1783년(정조 7)에 생원이 되고 1789년 식년 문과에 갑과로 급제 사직서직장에 제수되었다. 같은 해 초계문신(抄啓文臣)에 발탁되고 사서를 강론하였다.1791년 부수찬·삼사를 지냈으며 이듬해 사간으로서 이가환(李家煥)의 부당함을 상소하다 삭직당했으나 곧 포천에 암행어사로 나가 민폐를 살폈다. 1793년 상소한 일이 말썽이 되어 파직되었다.1796년 괴산군수와 서산군수를 지낸 뒤 1799년 응교·부응교·세자보도 등의 임무 수행 중 영남 지방에 기근이 들어 암행어사로 다녀왔다. 그 뒤 전라도관찰사·승지를 거쳐 1800년 이조참의가 되었다. 순조가 즉위하자 실록당상(實錄堂上)에 제수되었다.시강원보덕·이조참판을 거쳐 1803년 영남안찰사 1806년 호조·예조·병조·공조의 참판과 한성부서윤·이조참판·한성부판윤·대사헌 겸 홍문관제학·비변사유사당상 등을 두루 지냈다. 1809년 병조판서·이조판서 이듬해에 호남관찰사 1812년 광주유수·이조판서 겸 세자빈객으로 인재 등용을 고르게 하고자 노력하였다.그러나 평소에 사감을 가졌던 전 참의 한시유(韓始裕)의 무고로 사직당하였다. 뒤에 정헌으로 승계한 뒤 종부시제조·판의금부사 등을 거쳐 1819년 경기도관찰사로 재임 중 어머니의 3년 상을 치른 뒤 죽었다. 어릴 때부터 문사에 능했으며 경술(經術)에 조예가 깊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
김희순불망비(金羲淳不忘碑)문경시 문경읍 상초리 | |||||||||||||||||||||||||||||||||||||||||||||||||||||||
산목헌집(山木軒集)조선후기 문신·학자 김희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3년에 간행한 시문집. |
1783.. | 정조 7년 | 생원(生員) 정조(正祖) 7년(1783)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35위(65/100) |
1789.. | 정조 13년 | 문과(文科) 정조(正祖) 13년(1789) 기유(己酉)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3[探花]위(03/60) |
1789.02.23 | 정조 13년 | 직부전시(直赴殿試) |
1789.03.18 | 정조 13년 | 가주서(假注書) |
1790.12.26 | 정조 14년 | 전적(典籍) |
1791.03.11 | 정조 15년 | 병조좌랑(兵曹佐郞) |
1791.08.19 | 정조 15년 | 문겸(文兼) |
1791.08.28 | 정조 15년 | 수찬(修撰) |
1791.10.29 | 정조 15년 | 교리(校理) |
1791.11.17 | 정조 15년 | 중학교수(中學敎授) |
1792.03.12 | 정조 16년 | 동학교수(東學敎授) |
1792.04.19 | 정조 16년 | 지평(持平) |
1792.12.01 | 정조 16년 | 남학교수(南學敎授) |
1792.12.15 | 정조 16년 | 장령(掌令) |
1795.03.18 | 정조 19년 | 정언(正言) |
1795.04.27 | 정조 19년 | 충청도암행어사(忠淸道暗行御史) |
1795.08.10 | 정조 19년 | 동학교수(東學敎授) |
1795.08.10 | 정조 19년 | 문겸(文兼) |
1795.09.08 | 정조 19년 | 북평사(北評事) |
1796.09.28 | 정조 20년 | 괴산군수(槐山郡守) |
1798.11.03 | 정조 22년 | 서산군수(瑞山郡守) |
1798.12.19 | 정조 22년 | 교리(校理) |
1799.02.06 | 정조 23년 | 응교(應敎) |
1799.04.03 | 정조 23년 | 형조참의(刑曹參議) |
1799.06.01 | 정조 23년 | 경상도암행어사(慶尙道暗行御史) |
1799.06.04 | 정조 23년 | 전라감사(全羅監司) |
1799.07.06 | 정조 23년 | 동부승지(同副承旨) |
1799.11.08 | 정조 23년 | 예조참의(禮曹叅議) |
1800.01.13 | 정조 24년 | 보덕(輔德) |
1800.04.24 | 정조 24년 | 이조참의(吏曹參議) |
1800.06.03 | 정조 24년 | 병조참지(兵曹參知) |
1800.08.05 | 순조 즉위년 | 이조참의(吏曹參議) |
1800.11.08 | 순조 즉위년 | 공조참판(工曹叅判) |
1800.11.24 | 순조 즉위년 | 예조참판(禮曹叅判) |
1800.12.16 | 순조 즉위년 | 병조참판(兵曹叅判) |
1801.02.10 | 순조 1년 | 동의금부사(同義禁府事) |
1801.06.28 | 순조 1년 | 예조참판(禮曹叅判) |
1802.02.22 | 순조 2년 | 이조참판(吏曹叅判) |
1802.10.12 | 순조 2년 | 병조참판(兵曹叅判) |
1802.12.05 | 순조 2년 | 이조참판(吏曹叅判) |
1803.01.09 | 순조 3년 | 병조참판(兵曹叅判) |
1803.05.30 | 순조 3년 | 이조참판(吏曹叅判) |
1803.07.13 | 순조 3년 | 호조참판(戶曹叅判) |
1803.08.13 | 순조 3년 | 이조참판(吏曹叅判) |
1803.09.28 | 순조 3년 | 예조참판(禮曹叅判) |
1803.12.13 | 순조 3년 | 경상감사(慶尙監司) |
1806.01.06 | 순조 6년 | 형조판서(刑曹判書) |
1806.02.14 | 순조 6년 | 공조판서(工曹判書) |
1806.02.14 | 순조 6년 |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
1806.02.21 | 순조 6년 | 한성판윤(漢城判尹) |
1806.03.06 | 순조 6년 | 예조판서 (禮曹判書) |
1806.04.18 | 순조 6년 | 대사헌(大司憲) |
1806.09.01 | 순조 6년 | 형조판서(刑曹判書) |
1807.01.13 | 순조 7년 |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
1807.07.25 | 순조 7년 |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
1807.11.05 | 순조 7년 | 형조판서(刑曹判書) |
1807.11.21 | 순조 7년 |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
1808.01.25 | 순조 8년 | 홍문제학(弘文提學) |
1808.10.08 | 순조 8년 | 대사헌(大司憲) |
1809.01.08 | 순조 9년 | 병조판서(兵曹判書) |
1809.07.15 | 순조 9년 | 이조판서(吏曹判書) |
1810.06.01 | 순조 10년 | 전라감사(全羅監司) |
1810.07.11 | 순조 10년 | 예문제학(藝文提學) |
1810.08.23 | 순조 10년 | 대사헌(大司憲) |
1810.11.13 | 순조 10년 | 예조판서(禮曹判書) |
1811.03.27 | 순조 11년 | 광주유수(廣州留守) |
1812.11.14 | 순조 12년 | 이조판서(吏曹判書) |
1813.07.08 | 순조 13년 | 한성판윤(漢城判尹) |
1813.09.17 | 순조 13년 | 대사헌(大司憲) |
1813.10.23 | 순조 13년 | 좌참찬(左參贊) |
1816.05.11 | 순조 16년 | 형조판서(刑曹判書) |
1817.07.25 | 순조 17년 | 예조판서(禮曹判書) |
1818.05.23 | 순조 18년 |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
1818.11.19 | 순조 18년 | 형조판서(刑曹判書) |
1819.02.29 | 순조 19년 | 경기감사(京畿監司) |
1824.10.19 | 순조 24년 | 시호(諡號) 문간(文簡) 勤學好問(근학호문) 一德不懈(일덕불해)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 순일한 덕으로 느슨함이 없음이 간이다. |
문충공(상용)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