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판서(工曹判書)  명진(明鎭) |
![]() 1870년(고종 7) 정시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73년에 별겸춘추(別兼春秋)가 되고 이듬해에는 암행어사가 되어 충청좌도에 파견되었다. 1879년에 동부승지를 거쳐 1882년에는 대사성(大司成)에 올랐다. 그뒤 춘천부사를 거쳐 1886년 경기관찰사 1888년 경상도관찰사 등 외직에만 5년 이상 근무하였다. 경기·경상도관찰사로 재직중에 올린 장계(狀啓)의 내용에는 당시 수취체제의 혼란상이 상세히 적혀 있어서 고종연간의 사회상연구에 도움을 주고 있다. 『고종실록(高宗實錄)』에는 장계 내용이 요약되어 나타나 있는 바 경기도에 관한 것이 7회 경상도에 관한 것이 4회나 기록되어 있다. 1890년에는 이조참판(吏曹叅判)을 거쳐 공조판서(工曹判書)에 올랐다. |
1864.. | 고종 1년 | 진사(進士) 고종(高宗) 1년(1864) 갑자(甲子) 증광시(增廣試) [진사] 2등(二等) 2위(7/135) |
1870.. | 고종 7년 | 문과(文科) 고종(高宗) 7년(1870) 경오(庚午) 정시(庭試) 병과(丙科) 15위(18/22) |
1870.03.22 | 고종 7년 | 직부전시(直赴殿試) |
1870.06.01 | 고종 7년 | 검열(檢閱) |
1870.12.13 | 고종 7년 | 주서(注書) |
1870.12.24 | 고종 7년 | 전적(典籍) |
1873.03.06 | 고종 10년 | 수찬(修撰) |
1873.03.22 | 고종 10년 | 별겸춘추(別兼春秋) |
1874.01.16 | 고종 11년 | 병조정랑(兵曹正郞) |
1874.10.30 | 고종 11년 | 충청좌도암행어사(忠淸左道暗行御史) |
1874.11.30 | 고종 11년 | 봉상정(奉常正) |
1875.02.16 | 고종 12년 | 응교(應敎) |
1875.06.17 | 고종 12년 | 동부승지(同副承旨) |
1878.03.25 | 고종 15년 | 병조참의(兵曹叅議) |
1882.03.16 | 고종 19년 | 대사성(大司成) |
1882.08.23 | 고종 19년 | 춘천부사(春川府使) |
1884.07.10 | 고종 21년 | 여주목사(驪州牧使) |
1884.11.06 | 고종 21년 | 영광군수(靈光郡守) |
1886.05.04 | 고종 23년 | 경기감사(京畿監司) |
1888.06.30 | 고종 25년 | 경상감사(慶尙監司) |
1890.02.04 | 고종 27년 | 이조참판(吏曹叅判) |
1890.04.10 | 고종 27년 | 동의금부사(同義禁府事) |
1890.06.11 | 고종 27년 | 공조판서(工曹判書) |
문충공(상용)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