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조판서(吏曹判書)  시근(蓍根) |
![]() 자(字)는 흥지(興之)이다. 1802년 문과(文科)에 장원으로 급제한뒤 의정부검상 헌납 이조참의 승지등을 거쳐 충청도관찰사로 외직에 나갔다. 1812년 가선대부(嘉善大夫)를 가자받고 다시 가의대부(嘉義大夫)를 가자받은뒤 1813년에는 자헌대부(資憲大夫))를 가자받았다. 1814년 공조 예조판서를 역임하고 1815년 정헌대부((正憲大夫)를 가자받은뒤 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이 된뒤 곧 형조판서(刑曹判書)가 되었다. 1816년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이되고 1817년에는 의정부좌참찬(議政府左叅贊)을 거쳐 광주부유수(廣州府留守)가 되었다. 다시 1820년에는 수원부유수(水原府留守)가 되었다. 1821년에 숭정대부(崇政大夫)를 가자받고 1822년에는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이조판서(吏曹判書)가 되었다. 1824년에 예조판서(禮曹判書) 1825년 공조판서(工曹判書)를 거쳐 병조판서(兵曹判書)가 되고 다시 공조판서(工曹判書)가 되었다. |
1802.. | 순조 2년 | 문과(文科) 순조(純祖) 2년(1802) 임술(壬戌) 정시(庭試) 병과(丙科) 1위(04/08) |
1802.03.10 | 순조 2년 | 가주서(假注書) |
1802.09.02 | 순조 2년 | 검열(檢閱) |
1802.11.14 | 순조 2년 | 별겸춘추(別兼春秋) |
1803.02.15 | 순조 3년 | 종부주부(宗簿主簿) |
1803.02.21 | 순조 3년 | 지평(持平) |
1804.10.05 | 순조 4년 | 정언(正言) |
1804.11.02 | 순조 4년 | 중학교수(中學敎授) |
1804.11.24 | 순조 4년 | 부수찬(副修撰) |
1804.12.06 | 순조 4년 | 수찬(修撰) |
1805.01.05 | 순조 5년 | 검상(檢詳) |
1805.01.10 | 순조 5년 | 헌납(獻納) |
1805.03.29 | 순조 5년 | 부교리(副校理) |
1805.06.07 | 순조 5년 | 동부승지(同副承旨) |
1805.12.19 | 순조 5년 | 형조참의(刑曹參議) |
1806.02.10 | 순조 6년 | 양주목사(楊州牧使) |
1806.09.27 | 순조 6년 | 이조참의(吏曹參議) |
1807.01.13 | 순조 7년 | 병조참의(兵曹叅議) |
1807.07.12 | 순조 7년 | 예조참의(禮曹叅議) |
1808.02.21 | 순조 8년 | 돈녕도정(敦寧都正) |
1809.01.23 | 순조 9년 | 형조참의(刑曹參議) |
1809.04.16 | 순조 9년 | 공충감사(公忠監司) |
1811.02.27 | 순조 11년 | 좌승지(左承旨) |
1811.08.10 | 순조 11년 | 예조참의(禮曹叅議) |
1812.04.13 | 순조 12년 | 가선대부(嘉善大夫) |
1812.07.21 | 순조 12년 | 호조참판(戶曹叅判) |
1812.09.06 | 순조 12년 | 동의금부사(同義禁府事) |
1813.09.24 | 순조 13년 | 도승지(都承旨) |
1814.02.07 | 순조 14년 | 공조판서(工曹判書) |
1814.04.09 | 순조 14년 | 예조판서(禮曹判書) |
1815.02.29 | 순조 15년 | 대사헌(大司憲) |
1815.03.03 | 순조 15년 |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
1815.04.28 | 순조 15년 | 형조판서(刑曹判書) |
1816.01.23 | 순조 16년 |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
1816.06.20 | 순조 16년 | 한성판윤(漢城判尹) |
1817.07.12 | 순조 17년 | 좌참찬(左參贊) |
1817.12.26 | 순조 17년 | 광주유수(廣州留守) |
1820.07.28 | 순조 20년 | 수원유수(水原留守) |
1822.06.10 | 순조 22년 |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
1822.08.03 | 순조 22년 | 이조판서(吏曹判書) |
1823.04.03 | 순조 23년 | 예조판서(禮曹判書) |
1825.03.18 | 순조 25년 | 공조판서(工曹判書) |
1825.05.01 | 순조 25년 | 병조판서(兵曹判書) |
1825.07.05 | 순조 25년 | 공조판서(工曹判書) |
문충공(상용)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