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병장(義兵將)  인상(麟祥) |
1557년(명종 12)∼1592년(선조 25). 조선 중기 의병. 자는 시백(時伯)이고 호는 학산(鶴山)이다. 부친은 김이(金頤)이다. 집안이 가난하였으나 웃어른 섬기기를 게을리하지 않고 독서에 충실하였다. 단아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인해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으로부터 칭찬을 들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왜구의 노략질에 분개하여 의병장 월천(趙穆) 유종개(柳宗介)와 의병을 일으켜 경상북도 춘양(春陽) 노루재[獐峴]에서 왜적과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묘는 처음에는 경상북도 풍산(豊山)에 있었으나 후에 경상북도 상주(尙州)로 이장하였다. 문집으로 『학산실기(鶴山實紀)』가 전한다. 김응조(金應祖)의 학사집(鶴沙集)에 실려있는 행장 萬曆壬辰年。島夷竊發。三京失守。乘輿播越。義士安東金公。慨然謂其內相裵氏曰。善護養吾老父。吾已決死於義。遂與正字柳公宗介。倡起義旅。遮截北來諸賊于安東小川縣之獐峴。兵敗被擒。脅誘不屈。至臠身剝面。猶奮罵不已。遂遇害縣首于樹。實七月二十九日。時年三十六。裵氏購得公屍於積屍中。權厝豐山小異洞。後遷鶴駕山竹田洞午向原。嗚呼。公諱麟祥。字伯仁。生於弘治丁巳。有異質。稍長。家貧好讀書。親舊賙窮不受。勵操益苦。鄕黨服其行義。西厓柳先生嘗亟稱之。當其八路刳於兵。列郡無男子。公以年少白面書生。誓死討賊。家人泣諫而不顧。肢體虀粉而不挫。終能成就一箇義字。使鶴山一髮。萬古靑未了。嗚呼烈哉。事聞。朝廷褒其節義。復其戶。旌其閭。又命錄其事于三綱行實。獨無贈典。士林惜之。公高麗太師諱宣平之後。高祖諱永銖。司憲府掌令。曾祖諱玽。祖諱生河。考諱頤。皆隱不仕。妣全義李氏。諱瓘之女。裵氏籍興海。考諱天佑。一男曰以榴。有一女。適金應熽。四男。益善,益儉,益淳,益敏。內外曾孫男女若干人。 |
김인상정려각(金麟祥旌閭閣)창녕군 부곡면 거문리 | |||||||||||||||||||||||||||||||||||||||||||||||||
봉화충렬사(奉化忠烈祠)봉화군 소천면 현동리 | |||||||||||||||||||||||||||||||||||||||||||||||||
삼강당(三綱堂)안동시 풍산읍 상리 | |||||||||||||||||||||||||||||||||||||||||||||||||
학산실기(鶴山實記)임진왜란 때 안동에서 의병을 일으킨 충의사(忠義士) 김인상(金麟祥)의 실기. 1732년(조선 영조 8) 간행 목판본. 1책. 11세손 영진(泳鎭) 등이 수집 ·편집하여 1732년(영조 8)에 간행하였다. |
1615.07.14 | 광해 7년 | 사헌부가 《삼강행실》에 임진년 경상도에서 창의한 유종개의 별전을 마련토록 청하다 사헌부가 아뢰기를 "삼가 충절(忠節)에 대해 포상하는 것은 신민(臣民)들을 격려하는 크나큰 거조입니다. 국가에서 국(局)을 설치하고서 찬집(纂集)하는 뜻이 어찌 범연한 것이겠습니까. 그런데 그 사이에 소루함을 면치 못하고 있는바 우선 신들이 눈으로 본 것을 가지고 말해 보겠습니다. 증 예조 참의 유종개(柳宗介)는 본래 유신(儒臣)으로서 역학(易學)에 조예가 깊었고 겸하여 병서(兵書)를 읽었는데 시변(時變)에 강개하여 임진년에 경상도에서 앞장서서 창의(倡義)해 동지들을 규합한 다음 대략 대오를 편성하였습니다. 그러다 갑자기 왜적을 만나 화살과 돌이 쏟아지는 와중에 마침내 유생 윤흠신(尹欽信)·윤흠도(尹欽道)·김인상(金麟祥) 등과 함께 왜적의 칼에 죽었습니다. 이에 당시에 보고 들은 사람들이 의롭게 여기고 애처로워하였으며 일을 아룀에 이르러서는 조정에서 즉시 포증(褒贈)하라는 명을 내렸습니다. 그런데 지금 만든 《삼강행실(三綱行實)》 가운데에는 단지 윤흠신 등 세 사람만 한 전(傳)에 합쳐 기록하면서 ‘대장 유종개와 함께 죽었다.’고 하였으며 유종개에 대해서는 별도로 전이 없습니다. 이는 필시 당초에 문적(文籍)이 산실되어서 그런 것입니다. 별도로 그의 전을 만들고 유종개 이하 네 사람이 살던 마을에다 정문(旌門)을 세우소서." 하니 왕이 따랐다. |
사직서령공(생하)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