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원(生員)  양렬(揚烈)


김양렬(金揚烈)은 1624년(인조 2) 경북 봉화에서 김주민(金柱旻)의 아들로 태어났다. 자(字)는 극소(克紹)이고 호(號)는 청휴재(淸休齋)‧소실산인(少室山人)이다.



1651년(효종 2)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나 벼슬길에 뜻을 버리고 남형념(南亨念)‧허주(許舟) 김여욱(金汝煜)‧삼기당(三棄堂) 금시양(琴是養) 등과 학문을 토론하며 은거한 채 후진을 양성하는 데 전념하였다.



문집으로 9대손 김숙진(金肅鎭)이 편집 간행한 『청휴재선생문집(淸休齋先生文集)』이 있는데 대부분 나라를 걱정하는 우국충정과 전반적으로 학문 풍토가 침체되어 있음을 지적하는 내용이다.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청휴재문집(淸休齋文集)

조선후기 학자 김양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924년 9대 손 숙진(肅鎭)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성근(金聲根)의 서문이 권말에 이중업(李中業)·권상익(權相翊)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장서각 도서·규장각 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42수 소(疏) 1편 책(策) 1편 권2에 서(書) 18편 서(序) 2편 기(記)·명(銘)·설(說) 각 1편 제문 6편 부록으로 증유제편(贈遺諸篇) 12편 제문·행장·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고 끝에 저자의 아버지 주민의 졸수재유첩(拙修齋遺帖) 14편이 부록되어 있다.
시의 「술회(述懷)」에서는 “본래 산림(山林)의 객(客)이라/어찌 국가를 걱정하겠나·걱정을 아니해도 눈물이 나네.”라고 하여 우국충정을 잘 나타내고 있다.
「금세흉겸극어거세성상진념누하애통지조……(今歲凶歉劇於去歲聖上軫念累下哀慟之詔……)」는 당시 극심한 흉년이 들자 임금이 조서를 내려 진대(賑貸)하게 하였는데 열읍의 진정(賑政)이 허명무실하고 또한 허예(虛譽)를 도적질하여 상을 받는 것을 보고 통탄하여 지은 것이다.
소의 「향교일경강액외생변명소(鄕校一經講額外生辨明疏)」는 향교에 정원 이외의 유생의 증가를 주청한 상소로서 당시 여러 차례의 병란으로 인하여 학교가 폐이(廢弛)하고 도의(道)와 가르침(敎)이 침체되었음을 지적하고 유생을 존숭하여 국가의 원기를 북돋우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책의 「문충효(問忠孝)」에서는 역대의 충효를 열거 효도하는 가운데 충성이 있고 충성하는 가운데 효도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설의 「묘포서설(猫捕鼠說)」에서는 고양이가 쥐를 잡아먹는 것에 비유하여 탐관오리를 꾸짖는 내용이다.

,

1651..효종 2년생원(生員)효종(孝宗) 2년(165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생원] 2등(二等) 23위(28/100)


안동김씨대종중
생원공(극례)파
양렬(揚烈)
자(字)극소(克紹)
호(號)청휴재(淸休齋)
생(生)1624년 갑자(甲子) 월 일
관직(官職)신묘(辛卯)생원(生員)
저서(著書)청휴재집(淸休齋集)
졸(卒)1703년 계미(癸未) 5월 29일
묘(墓)가식동(可息洞)
 묘갈은 교리(校理) 이만규(李晩煃)가 지음
자좌(子坐)
배(配)영천이씨(永川李氏)
졸(卒)년 3월 14일
합폄(合窆)
 부(父)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영원(榮遠)
 조(祖)찰방(察訪) 협(莢)
14 세15 세16 세17 세18 세
몽호(夢虎)중청(中淸)주민(柱旻)종열(宗烈)지관(至寬)
지휘(至輝)
지미(至美)
지보(至寶)
도신중(都愼中)
박정양(朴廷亮)
이기업(李基業)
김득철(金得哲)
승렬(承烈)지정(至精)
지백(至白)
지아(至雅)
지용(至用)
지민(至敏)
배한주(裵漢胄)
홍이원(洪爾遠)
숭렬(崇烈)지원(至遠)
지근(至近)
오수만(吳壽萬)
박문계(朴文銈)
양렬(揚烈)지겸(至謙)
지일(至一)
금익겸(琴益謙)
권이일(權以鎰)
김기선(金基善)
배해주(裵海胄)
주국(柱國)웅렬(雄烈)지화(至和)
지항(至恒)
지연(至鍊)
지상(至祥)
지서(至瑞)
권이균(權以銁)
이분(李芬)
김계창(金繼昌)
창렬(昌烈)
비열(丕烈)조열(祖悅)
귀열(貴悅)
이수연(李壽延)
익렬(翊烈)지흥(至興)
이시암(李時馣)
허점(許點)
이영발(李永發)
김명철(金鳴哲)
권준산(權峻山)
권익성(權益誠)
주우(柱宇)홍렬(弘烈)지강(至剛)
지선(至善)
지회(至晦)
신응제(申應濟)
이수(李洙)
임덕원(任德元)
광렬(光烈)지명(至命)
지대(至大)
지수(至粹)
지원(至元)
지구(至久)
송천룡(宋天龍)
이우상(李宇相)
이희년(李喜年)
황석(黃錫)
김익상(金翊商)
주한(柱漢)원열(元烈)지건(至健)
류세망(柳世望)
조수남(趙壽南)
형렬(亨烈)
응렬(應烈)지덕(至德)
명렬(命烈)
성렬(盛烈)
명렬(明烈)
김관(金琯)
권세준(權世俊)
심계발(沈啓發)
주연(柱衍)충렬(忠烈)
김협(金鋏)
변종준(邉宗俊)
조계(趙檵)
권후석(權厚錫)
주미(柱美)
이모(李慕)
박흔(朴昕)
김박(金珀)
신석망(申碩望)
득청(得淸)시곤(始琨)수일(守鎰)
이창기(李昌基)
시수(始琇)태정(兌挺)응규(應奎)
김방직(金邦直)
서종필(徐宗弼)
시우(始瑀)태형(兌亨)중규(重圭)
중구(重九)
중창(重昌)
민엄(閔儼)
태빈(兌彬)중원(重元)
최응만(崔應萬)
태현(兌賢)중일(重一)
김명덕(金明德)
김방규(金邦奎)
권귀중(權貴中)
김여량(金汝樑)
금성달(琴成達)
장용섭(張龍燮)
수청(守淸)장용우(張龍遇)
금이고(琴以古)
박유(朴瑜)
도득유(都得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