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감(縣監)  삼근(三近) |
김삼근(金三近)은 봉례공(奉禮公) 김혁(金革)과 안동권씨(安東權氏) 사이에서 1390년 장남으로 태어났다. 아래로 김삼익(金三益)과 김삼우(金三友) 두 동생이 있다. 1419년(세종1년)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함으로서 안동김씨 초유의 생원(生員) 합격자가 되었다. 그리고 비록 고관은 아니지만 조지소 별좌(造紙所 別坐) 함열현감(咸悅縣監) 봉화현감(奉化縣監) 비안현감(比安縣監)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1465년(세조11년) 8월 사망하였다.배위(配位)는 의인(宜人) 상락김씨(上洛金氏)로 삭령감무(朔寧監務) 김전(金腆)의 딸로 생년(生年)은 미상(未詳)이며 1488년(성종19년) 12월에 사망 하였다. 슬하(膝下)에 2남3녀를 두었는데 1남은 한성부 판관(漢城府 判官) 김계권(金係權)이고 2남은 증(贈)이조판서(吏曹判書) 김계행(金係行)이다. 1녀는 어모장군(禦侮將軍) 신시생(申始生)으로 아주인(鵝州人)이고 2녀는 손득노(孫得魯)이며 3녀는 반여생(潘呂生)이다. 묘소(墓所)는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직산동 간좌(艮坐)에 있고 묘표(墓表)는 후손(後孫) 공조참판(工曹參判) 곡운 김수증(金壽增)이 찬(撰)하고 병서(竝書)하였다. 배위(配位) 묘소(墓所)는 부군조(府君兆) 앞 일장지(一丈地)에 있고 묘표(墓表)는 후손(後孫) 이조판서(吏曹判書) 김이양(金履陽)이 찬(撰)하였다. 김삼근이 안동부 풍산현 불정촌(佛頂村)에서 풍산현 소산리(금산촌)로 이주한 시기는 대략 1430년(세종12년) 전후로 짐작된다. 이주와 동시에 제택(第宅:살림집과 정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을 건립하여 정착의 토대를 다지는 한편 자질(자식과조카)들의 교육에도 각별한 정성을 보였다. 이런 기반위에서 후세에 수많은 인물을 배출할수 있었다. 공이 기거하던 고택이 비안공구택이며 돈소당이라 한다. |
김삼근묘(金三根墓)예천군(醴泉郡) 호명면(虎嗚面) 직산리(稷山里) 직곡(稷谷) | ||||||||||||||||||||||||||||||||||||||||||||||||||||||||||||||||||||||||||||||||||||||||||||||||||||||||||||||||||||||||||||||||||||||||||
돈소당(敦素堂)경북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 224-3 문화재자료 제211호 | ||||||||||||||||||||||||||||||||||||||||||||||||||||||||||||||||||||||||||||||||||||||||||||||||||||||||||||||||||||||||||||||||||||||||||
직산재(稷山齋)경상북도 민속문화재 186호 |
수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