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산재(三山齋)  이안(履安)


자는 원례(元禮) 호는 삼산재(三山齋). 김상헌(金尙憲)의 후손으로 김창협(金昌協)의 증손자 김원행(金元行)의 아들이다.

당대의 학자였던 아버지에게서 학문을 배워 1762년(영조 38) 학행(學行)으로 천거받아 민이현(閔彝顯)·김두묵(金斗默)·조림(曺霖) 등과 함께 경연관(經筵官)에 기용되었고 1781년(정조 5) 충주목사를 지냈으며 1784년 지평(持平)·보덕(輔德)·찬선(贊善) 등을 거쳐 1786년 좨주(祭酒)가 되었다.

당시 북학파(北學派) 학자 홍대용(洪大容)·박제가(朴齊家) 등과 교유를 맺어 실학에 관심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아버지 문하에 출입하던 성리학자 박윤원(朴胤源)·이직보(李直輔)·오윤상(吳允常) 등과의 교유 속에 전통적 성리학자로 더 알려졌으며 또한 예설(禮說)과 역학(易學)에도 조예가 깊어 『의례경전기의(儀禮經傳記疑)』·『계몽기의(啓蒙記疑)』 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저서로는 『삼산재집(三山齋集)』 12권이 있다.

삼산재집(三山齋集)

저자 : 문정공(상헌)파  이안(履安)

생(生) : 1722.03.27

졸(卒) : 1791.05.19

기묘(己卯)진사(進士) 경연관(經筵官) 공조(工曹)참의(叅議) 좨주(祭酒) 찬선(贊善) 증(贈)이조(吏曹)판서(判書) 

조선후기 문신 김이안의 시·소·의·서(書) 등을 수록한 시문집.
12권 6책. 활자본. 서문·발문이 없어서 편자 및 간행 연도를 알 수 없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시 158수 권2에 소(疏) 13편 서계(書啓) 1편 의(議) 11편 권3∼7에 서(書) 132편 권8에 서(序) 7편 기(記) 11편 제발(題跋) 21편 권9에 행장 4편 묘문(墓文) 9편 제문 19편 고문(告文) 8편 애사 3편 권10∼12에 잡저 14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에는 주로 학문에 관한 의견 교환의 논술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유헌주(兪憲柱)에게 답한 글은 문목(問目)과 답목(答目)을 아울러 수록한 것으로 기질지성(氣質之性)과 본연지성(本然之性)의 관계 상제례(喪祭禮)의 문제 명덕(明德)과 심성(心性)의 관계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지(知)’와 인의예지(仁義禮智)의 ‘지(智)’와의 관계 ‘이(利)’자 개념의 『주역』과 『맹자』에서의 해석상의 차이 정(情)과 의(意)의 관계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의 문제 등에 관한 논술이다.
권8의 「상원답교기(上元踏橋記)」는 민속에 대한 기록으로 정월 보름날에 행하는 다리 밟기에 관한 것이다.
권10의 잡저 중 「미발기질설(未發氣質說)」은 ‘기질지성은 악(惡)을 겸지(兼指)하여 말할 뿐 근본적으로 본연지성과 일체’라는 한원진(韓元震)의 설을 비판한 논변이며 「계몽기의(啓蒙記議)」는 하도낙서(河圖洛書)에 관해 황간(黃幹)의 설을 비판한 논변이다.
「화이변(華夷辨)」은 당시 전통적인 중국관(中國觀)에 대한 언급으로 주거 지역으로 화이(華夷)를 논할 것이 아니라 인물과 종족을 보고 화이를 논해야 되므로 동국(東國)은 완전히 이족(夷族)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는 견해이다.
「의례경전기의(儀禮經傳起疑)」는 『의례(儀禮)』의 전편에 걸쳐 의심스러운 곳을 그의 견해를 붙여 설명한 것이다.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


문정공(상헌)파
이안(履安)
자(字)정예(正禮)
호(號)삼산재(三山齋)
시호(諡號)문헌(文獻) 道德博聞(도덕박문) 嚮忠內德(향충내덕)도덕이 있고 널리 들
은 것이 많음이 문이요 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 있음이 헌이다.1881
생(生)1722년 임인(壬寅) 3월 27일
관직(官職)기묘(己卯)진사(進士)
경연관(經筵官)
공조(工曹)참의(叅議)
좨주(祭酒)
찬선(贊善)
증(贈)이조(吏曹)판서(判書)
저서(著書)삼산재집(三山齋集) 의례경전기의(儀禮經傳記疑) 계몽기의(啓蒙記疑)
졸(卒)1791년 신해(辛亥) 5월 19일
배(配)숙부인(淑夫人)전주이씨(全州李氏)
생(生)1724년 갑진(甲辰) 월 일
졸(卒)1792년 임자(壬子) 3월 23일
묘(墓)문경공조(文敬公兆) 다음
간좌(艮坐) 합폄(合窆)
 부(父)찬화(纘華)
 조(祖)대사간(大司諫) 덕영(德英)
 증조(曾祖)도정(都正) 몽석(夢錫)
 외조(外祖)남궁구(南宮鉤) 본(本) 함열(咸悅)
18 세19 세20 세21 세22 세
창협(昌協)숭겸(崇謙)원행(元行)이안(履安)봉순(鳳淳)
이직(履直)인순(麟淳)
서형수(徐逈修)
홍낙순(洪樂舜)
서종유(徐宗愈)
이태진(李台鎭)
운(雲)
박사한(朴師漢)
유수기(兪受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