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좌승지(贈左承旨)  태(兌)


자는 사열(士悅) 호는 구담(九潭) 또는 수월당(水月堂)

부친은 김기보(金箕報)이다.



우계(牛溪) 성혼(成渾: 1535∼1598)을 따라 행촌(杏村) 민순(閔純: 1519∼1591)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임진왜란 때 최황(崔滉: 1529∼1603)을 따랐고 정유재란 때 의병장 곽재우가 경상도 창녕의 화왕산성(火旺山城)을 지킬 때 화왕산 창의격문을 쓰고 같이 참전하였다. 사후에 후손들이 그의 글을 모아 『수월당산고(水月堂散稿)』를 간행하였다.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수월당유고(水月堂遺稿)

1책. 석인본. 1938년 후손 병선(炳璇)·덕균(德均)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동철(鄭東綴)·이창진(李昌鎭)·김병현(金炳玹) 등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후손 형칠(衡七)·덕균·병량(炳亮) 등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시 4수 제문·기(記)·잡저 각 1편 부록에 시 5수 서(書) 2편 만(輓) 1편 제문 2편 묘갈명·묘지명·가장·행장·문(文) 각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 중 「오동정운(梧桐亭韻)」은 낙동강가에 있는 오동정의 승경을 읊은 것이고 문의 「제서애유선생문(祭西厓柳先生文)」은 스승인 유성룡(柳成龍)의 은덕과 공적을 찬양하고 그 죽음을 애도한 제문이다.

「화왕산성창의격문(火旺山城倡義檄文)」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남북의 요충지인 화왕산성을 지키자는 내용의 격문이다. ,

수월당충의비(水月堂忠義碑)

의성군 비안면 산제리

임진왜란시 활약한 수월당(水月堂) 태(兌)공의 충의를 기리고자 2010년에 건립했다. ,

오동정(梧桐亭)

의성군 비안면 산제2리

수월당 태(兌)공을 기리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했다. ,

증승지공(기보.태)파
태(兌)
자(字)사열(士悅)
호(號)구담(九潭) 수월당(水月堂)
생(生)1561년 신유(辛酉) 월 일
관직(官職)증(贈)승정원(承政院)좌승지(左承旨)
저서(著書)수월당산고(水月堂散稿)
 류서애(柳西厓) 문인이다. 몰래 덕을 쌓으며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 임
 진왜란 때 최황(崔滉)을 따랐고 정유재란 때 의병장 곽재우가 경상도 창녕
 의 화왕산성(火旺山城)을 지킬 때 화왕산 창의격문을 쓰고 같이 참전하였다
 .
졸(卒)1609년 기유(己酉) 2월 18일
배(配)증(贈)숙부인(淑夫人)광주김씨(光州金氏)
묘(墓)역동(嶧洞) 회인공조(懷仁公兆) 뒤
 갈명(碣銘)은 삼종제(三從弟)청음(淸陰)상헌(尙憲)이 지었다
유좌(酉坐) 합폄(合窆)
 부(父)진사(進士) 언박(彦璞)
 조(祖)참봉(叅奉) 호(箎)
 증조(曾祖)용석(用石)
12 세13 세14 세15 세16 세
영(瑛)생락(生洛)규보(奎報)량(樑)광수(光燧)
한응굉(韓應宏)
식(植)기문(起門)
광후(光㷞)
진문(振門)
권찬(權儹)
정효남(鄭孝男)
박준(朴俊)
기보(箕報)극(克)희맹(希孟)
이경준(李敬遵)
태(兌)진원(震遠)
원(元)희진(希振)
희발(希撥)
류희잠(柳希潛)
류성지(柳誠之)
김약(金瀹)
이계양(李啓陽)
성보(星報)후정(後靖)도순(道純)
상암(尙巖)광병(光炳)
광소(光炤)
이담경(李曇慶)
권극길(權克吉)
황응신(黃應信)
김흥효(金興孝)
한계남(韓繼男)
이검(李儉)
이건(李健)
생한(生漢)김세휘(金世輝)
최규(崔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