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승지(同副承旨)  영(瑛)


자는 영지(英之) 호는 삼당(三塘).

할아버지는 김계권(金係權)이고 아버지는 장령 김영수(金英銖)이며 어머니는 김박(金博)의 딸이다.



1506년(연산군 12) 별시 문과에 정과로 급제하여 예문관검열로서 사가독서(賜暇讀書)하였고 이듬해에는 대교(待敎)에 올라 김흠조(金欽祖)·정충량(鄭忠樑) 등과 더불어 사신의 정도를 내세우며 사초문제(史草問題)로 빚어졌던 무오사화로 해를 입은 자들의 억울한 죄를 회복시켜 줄 것을 상소하였다.그 뒤 수찬(修撰)·정언(正言)·교리(校理)·장령(掌令) 등 청요직을 지냈으며 1518년 (중종 13)에는 경상도재상경차관(慶尙道災傷敬差官)이 되었다가 곧 김제군수로 외직에 나갔다.



1522년에는 다시 장령이 되었으며 이어 동부승지를 거쳐 1527년에는 강원도관찰사에 보임되었으나 대간의 탄핵으로 곧 개체되었다.



조광조 등 중종 때의 사림파와 언로문제를 둘러싸고 논란을 벌이는 등 정치적 성격을 달리한 인물이었다.



문집으로 『삼당집(三塘集)』이 있다.



유심춘(柳尋春)의 강고집(江皐集)에 실려있는 행장

公諱瑛字英之。姓金氏安東人。上祖諱宣平。當羅季仕麗祖討甄萱。爲開國功臣官太師。鄕人不忘其功德。立廟祀之。詳載退溪李先生記文中。中世有諱煕版圖判書。是生諱資散騎常侍。是生諱義判禮賓寺事。是生諱得雨典農正。是生諱革閤門奉禮。寔公四世祖也。曾祖諱三近比安縣監。祖諱係權漢城判官。考諱永銖逸掌令。宏才碩望。見重一世。妣淑人江陵金氏。縣令博之女。判書錘之曾孫。以成化乙未某月日。生公于安東府豐山縣金山里第。母夫人方有身。夢有日星明耀之異。故少字夢天。生而聰慧。六七歲已知屬文。日記數百言。從叔祖寶白堂先生學。敎督不煩而文理自通。講習靡懈。寶白公嘗奇愛之曰異日大吾門者。必此兒也。乙巳掌令公宰盈德。大修鄕校。聚一邑童蒙敎之。時公纔十一歲。日從事翰墨。吐詞驚人。人皆以神童稱之。掌令公性嚴有法度。常誡諸子曰。吾早孤失學。未能讀書習文。以至於斯。爾曹無若乃翁然。且母夫人治家有法。敎子有方。能解文曉理。督於課程。公遵奉敎訓。培養德性。不但文詞之夙就而已。乙卯俱中司馬。自是華聞益彰。一時名士皆傾心願交。壬戌掌令公卒于金郊任所。公千里赴喪。哀毁逾禮。旣返葬于先塋。撰行狀受碣文于大提學成公俔。服闋常恨早失所怙。孝奉慈闈。極其志養。每於佳辰令節。舞彩翩躚。鳴琴歡悟。一如掌令公之奉養慈夫人。中宗丙寅擢別試文科。選入藝文館拜檢閱。丁卯移待敎。上疏伸金佔畢及被禍諸賢之寃。疏略曰書契作而有史學。有史學而後是非明。是非明而後天下萬世公論不泯。未聞有以史事見誅。禍及後嗣者也。恭惟我朝列聖繼作。尤重史學。至於廢朝二三奸臣。導君爲惡。史事變亂。古所未聞。其禍蔓延於甲子。士類盡殲。宗社傾危。國運中絶。恐史家筆法。從此盡廢。而萬世之公議泯滅無傳。願殿下更立科條。亟收推官等賞賜。變亂史法者。隨輕重以正刑章。以史事被誅者。幷皆封贈。以快公論。則殿下此擧卓冠千古矣。時士氣摧沮。皆以戊午禍爲戒。莫敢有出氣發言者。公獨奮然謂同列曰。戊午被禍者。皆是國家之譽髦也。吾黨之宗師也。此而不伸則史學不明而斯文不振。倡率同僚。手疏抗論。上乃命被禍諸人幷伸雪追贈。士流咸宗仰焉。戊戌移奉敎。與同僚再啓。請追罪李克墩。竟追奪克墩官爵。移拜弘文館博士。陞修撰兼知製敎。辛未拜司諫院正言。移拜弘文館校理。壬申拜吏曹正郞。尋除慶尙道災傷敬差官。乙亥除掌樂院僉正,司憲府掌令。時權奸用事。紊亂朝綱。入對經筵。言甚剛切。無所回撓。以此重忤當塗。丙子拜議政府檢詳。尋陞舍人。丁丑除軍器寺副正。以親老乞外。爲密陽府使。御民以寬。持己以廉。朞年賦歸。而琴鶴行裝。蕭然無累。戊寅復入爲司宰監副正。除金堤郡守。公自爲掌令時忤權貴。不樂在朝。求外補。識者恨之。己卯以弘文館應敎驛召。與服齋奇公遵同選。時稱得人。庚辰移拜弼善。時世子岐嶷夙成。睿學日就。設侍講院。特選經學士。公膺是命。與暘谷蘇公世讓同選。左右輔翼功甚多。是歲夏丁淑夫人金氏憂于安陰縣衙。以其從仲子璠之任所也。公與二弟奉柩還。葬于掌令公墓後。侍廬執戚一如前喪。壬子服闋。公自是無意進取。嘗愛淸楓溪水石之勝。築一架茅亭于其上。亭前鑿三塘。日逍遙游泳。翛然有出塵之想。洛中皆稱三塘先生。復拜掌令。陞內資寺正。癸未移掌樂院正。甲申移奉常寺正。擢拜承政院同副承旨。乙酉以事左授副護軍。尋拜刑曹參議。丙戌陞左承旨。丁亥移拜吏曹參議。公文望甚重。天眷彌隆。自修撰至參議。凡除拜皆帶知製敎三字銜。時論比之楊大年。公患風痺。又哭子悼傷。病遂篤。以嘉靖戊子七月十九日卒于京第。享年五十四。訃聞朝野莫不痛惜焉。葬于交河縣洛下津午向原。從外祖綾城公兆次也。公性度樂易。姿容端雅。以金玉之質。襲詩禮之訓。治心修身。一以誠實無僞爲本。事親至孝。養生送死。殫盡誠禮。靡有餘憾。因心之友甚篤。聯床共被。勖勵征邁。兄弟三人。俱闡大小科。時人莫不艶慕之。平生不以事物經心。酷好讀書。沈潛乎性理之奧。辨明乎邪正之分。日與文人莊士講論不怠。好善嫉惡。出於天性。見人陰離陽合雲飜雨覆者。輒唾而鄙之。未嘗假以辭色。早從賢師友遊。與趙靜庵,李晦齋,金慕齋,李陰崖,權冲齋,李聾巖,權岐亭,朴訥齋,金虛白,蘇暘谷諸賢。道義相許。磨礲成就。觀於師友交遊兩錄。可知其淵源之有自矣。學本乎經術。行著乎彝倫。存諸內者旣醇而正。故發諸外者能果而確。其立朝事君也。夷險一致。手疏而伸大賢之寃。面爭而討奸臣之罪。終使史家之公論不泯。斯文之正脈不墜。則其功詎不偉哉。爲文章典重贍麗。尤長於詩。大鳴當世。出入翰院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김영묘(金瑛墓)

파주시 탄현면 낙하리,

삼당영시비(三塘瑛詩碑)

안동시 풍산읍 소산리 ,

삼당집(三堂集)

1830년(순조 30) 김영의 후손 김병승(金炳升)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치규(宋穉圭)·김이양(金履陽)의 서문과 연보가 있고 권말에 김종규(金宗奎)의 발문이 있다.
2권 1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한국국학진흥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6수 소 2편 무오당적(戊午黨籍) 묘갈명·묘표·행장 각 1편 권2에 부록으로 묘갈명·묘갈후기(墓碣後記)·행장·권충재벌교유록(權?齋撥交遊錄)·김허백당양진사우록(金虛白堂揚震師友錄)·권초간문해대동운옥(權草澗文海大東韻玉) 등이 실려 있다.
시에는 청하(淸河)의 객관(客館) 부안의 청원루(淸遠樓) 여주의 청심루(淸心樓) 등을 유람하며 지은 것 이현보(李賢輔)·김굉(金?) 등이 지방관으로 부임할 때 전별하며 지어준 것 등이 있다.
그밖에 이현보와 외증조부 권맹손(權孟孫)의 시에 차운(次韻)한 것이 있다. 이것은 1512년(중종 7) 밀양부사가 되었다가 체직되어 돌아오면서 지은 것으로 원운(元韻)도 수록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 시에 차운한 권벌·이황(李滉)의 시도 수록하였다.
저자는 시를 매우 잘 지어 당대 사람들에게 칭송을 많이 들었다고 하며 몇 편의 시가 『여지승람(輿地勝覽)』과 숙종대에 문신 남용익(南龍翼)이 편찬한 시선집(詩選集)인 『기아(箕雅)』 등에 실렸다.
소 2편은 무오사화와 관련해 지은 것이다. 그 중 「청신설무오제현소(請伸雪戊午諸賢疏)」는 1507년에 발생한 무오사화는 유자광(柳子光)과 몇몇 대신이 김종직(金宗直)의 「조의제문(弔義祭文)」을 문제 삼아 일으킨 것이므로 부당하다고 주장하고 김일손(金馹孫)·김종직 등의 신원(伸寃)을 요청한 것이다.
「청추죄이극돈계(請追罪李克墩啓)」는 1508년에 올린 것으로 갑자사화와 무오사화를 유발한 이극돈을 처벌해야 사림(士林)의 억울함을 풀어줄 수 있다고 주장한 내용이다.
「무오당적」은 유성룡(柳成龍)이 작성한 것으로 김종직·김일손·권오복(權五福) 등 무오사화에 연루된 사림파 25명의 인적사항·성격·학문·형벌내용 등을 기록하고 이어 무오사화의 전말을 밝힌 것이다.
「권충재벌교유록」은 권벌이 작성한 것으로 저자 외 조광조(趙光祖)·이언적(李彦迪)·이황·김안국(金安國) 등 57명의 인적사항이 실려 있다.
「김허백당양진사우록」은 김양진이 작성한 것으로 역시 저자 외 서거정(徐居正)·정효항(鄭孝恒)·홍귀달(洪貴達)·김안국 등 26명의 인적사항과 역임한 관직이 기록되어 있다.
「권초간문해대동운옥」은 권문해가 편찬한 『대동운부군옥』 중 저자에 관한 사항만 발췌하여 수록한 것이다.
이 책은 무오사화를 비롯한 당시의 정치적 사건과 사림파의 연구에 좋은 자료로 특히 「권충재벌교유록」과 「김허백당양진사우록」에 실린 인물들을 분석하면 당시의 인맥과 학문적 계보 및 정맥(政脈)을 파악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태고정(太古亭)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27-2호
안동시 풍산읍 현애리

북애종택에 부속된 건물로 앞면 3칸 옆면 2칸이다.

원래 청풍계에 있던 정자로 삼당공 김영(金瑛)이 휴식하던곳이 었으나 청풍계 일대가 일제시대때 미쓰이물산으로 소유권이 넘어가자 헐리게 된것을 안동으로 옮긴 것으로 매우 견실하고 구성이 뛰어나다.

담장을 맞담으로 쌓았으며 서까래를 걸고 기와를 이은 점이 특이하다. 원래의 형태가 고스란히 유지되고 있는 건물로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태고정 현액(懸額)은 한석봉(韓石峯)이 썼다.

현애에도 있고 소산에도 있는 까닭은 옮겨올때 서로 뜻이 안맞아 별도로 지은듯하다.

청풍계 태고정이 헐리게 되자 안동 풍산 현애리에 거주하는 북애공 후손들이 목재등 건물의 자재들을 현애로 옮겨왔고 뒤이어 종가집인 남애공 후손들이 일부를 소산리로 가져왔다. 소산에다 태고정을 재건축하려 하였으나 두 집안이 뜻이 맞지 않아 소산에 1929년 태고정을 먼저 지었고 7년 뒤인 1936년에 현애에도 태고정을 지었다.

현애의 태고정은 청풍계 태고정의 목재로 재 조립하여 원형이 유지 되었으나 소산의 태고정은 그렇지 못하다. ,

1495..연산군 1년생원(生員)연산군(燕山君) 1년(1495) 을묘(乙卯) 증광시(增廣試) [생원] 3등(三等) 48위(78/100)

1495..연산군 1년진사(進士)연산군(燕山君) 1년(1495) 을묘(乙卯) 증광시(增廣試) [진사] 2등(二等) 18위(23/100)

1506..연산군 12년문과(文科)연산군(燕山君) 12년(1506) 병인(丙寅) 별시(別試) 정과(丁科) 7위(11/17)

1506.12.03중종 즉위년검열(檢閱)
1507.06.10중종 1년대교(待敎)
1508.07.18중종 2년봉교(奉敎)
1508.12.26중종 2년수찬(修撰)
1511.03.21중종 5년정언(正言)
1512.03.06중종 6년교리(校理)
1512.06.01중종 6년평안도암행어사(平安道暗行御史)
1515.05.27중종 9년장령(掌令)
1519.12.17중종 13년응교(應敎)
1525.02.24중종 19년동부승지(同副承旨)
1525.03.06중종 19년우부승지(右副承旨)
1527.06.16중종 21년강원감사(江原監司)

안동김씨대종중
수편
영(瑛)
자(字)영지(英之)
호(號)삼당(三塘) 낙재(樂齋)
생(生)1475년 을미(乙未) 월 일
관직(官職)병인(丙寅)문과(文科)
역(歷)사인(舍人)
전랑(銓郞)
이조(吏曹)참의(叅議)
강원도(江原道)관찰사(觀察使)
저서(著書)삼당집(三塘集) 년보(年譜)
 무오년(戊午年) 제현(諸賢)의 신원소(伸寃疏)를 올렸다
졸(卒)1528년 무자(戊子) 7월 19일
배(配)숙부인(淑夫人)상주김씨(尙州金氏)
졸(卒)년 9월 21일
묘(墓)파주시 탄현면 낙하리(洛河里) 이동(伊洞)
 묘갈명은 대제학(大提學) 소세양(蘇世讓)이 짓고 신분(申濆)이 썼다 후에
  중손(仲孫)기보(箕報)가 소장하고 있던 퇴계수필(退溪手筆)로 개각(改刻
 )하고 방손(傍孫) 문곡(文谷) 수항(壽恒)이 전(篆)하였으며 음기(陰記
 )가 있는데 문곡이 짓고 썼다 구비(舊碑)가 마모가 심하여 임자년에 비를
  다시 세우고 방손(傍孫) 비서승(秘書丞) 영한(寗漢)이 추기(追記)를
 쓰고 동돈녕(同敦寧) 용진(容鎭)이 썼다
자좌(子坐) 쌍분(雙墳)
 부(父)진사(進士) 광려(光礪)
 조(祖)박사(博士) 정용(貞用)
 증조(曾祖)좌정언(左正言) 장(張)
 외조(外祖)문(文) 본(本) 남평(南平)
 단성김씨(丹城金氏)라고도 한다
9 세10 세11 세12 세13 세
삼근(三近)계권(係權)학조(學祖)
영전(永銓)정(珽)홍(弘)
등(登)
응(譍)
박혼(朴渾)
오환(吳瓛)
권자달(權自達)
호(琥)웅(雄)
남천령(南千齡)
권위(權委)
위(瑋)항(沆)
환(瓛)옹(邕)
추(樞)
이윤담(李胤聃)
이효장(李孝長)
남의경(南義景)
영균(永鈞)수(琇)응창(應昌)
생수(生洙)
표곤운(表晜雲)
노지(盧祉)
김상여(金尙呂)
연(瑌)한창(漢昌)
경세호(慶世豪)
고세창(高世昌)
영추(永錘)구(球)인조(仁璪)
인거(仁琚)
인진(仁珍)
인침(仁琛)
배말무(裵末武)
안희(安僖)
진공석(秦公奭)
이형(李泂)
김수돈(金守敦)
영수(永銖)영(瑛)생락(生洛)
생한(生漢)
최규(崔奎)
번(璠)생해(生海)
김의정(金義貞)
이천복(李千福)
순(珣)생하(生河)
생명(生溟)
강여해(姜汝該)
김연손(金延孫)
김유(金儒)
금원수(琴元壽)
김윤종(金胤宗)
안임(安恁)
이수남(李水南)
류유(柳牖)
이장생(李長生)
정훈노(鄭勳老)
한영(韓潁)
김윤리(金允离)
권감(權瑊)
계행(係行)극인(克仁)숙보(淑寶)수(洙)
기(淇)
혼(渾)
신덕흥(申德興)
권두균(權斗均)
덕보(德寶)옥(沃)
택(澤)
홍(洪)
이광언(李光彦)
이준(李竣)
유응규(柳應奎)
강윤창(姜允昌)
유응진(柳應軫)
양보(良寶)안정(安鼎)
정승황(鄭承黃)
김반은(金伴銀)
이희상(李希祥)
권응평(權應平)
안우(安宇)
조활(趙活)
장후(蔣詡)
박난종(朴蘭宗)
이광(李光)
한한(韓僴)
극의(克義)세주(世周)정옥(廷沃)
만수(萬壽)
금철(琴轍)
김핍(金愊)
극례(克禮)세은(世殷)정헌(廷憲)
정준(廷準)
정로(廷老)
극지(克智)세준(世準)희진(喜珍)
자홍(自弘)
극신(克信)세상(世商)기량(起亮)
이보경(李保慶)
김익(金翌)
박눌(朴訥)
유자온(柳子溫)
남한(南漢)
신시생(申始生)
손득노(孫得魯)
반여생(潘呂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