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조하(奉朝賀)  김이익(金履翼) |
![]() ![]() 1785년(정조 9) 진사로서 알성 문과에 갑과로 급제 정언(正言)이 되었다.이듬해 부교리(副校理)가 되어 1787년 함경도 경원에 익조(翼祖)와 도조(度祖)를 기리는 비를 세울 것을 건의하여 받아들여졌다. 다음 해 교리가 되어 영의정 김치인(金致仁)을 탄핵하다가 이성(利城)에 유배되었다. 유배에서 풀려난 뒤 1790년 장령(掌令)과 동부승지 이듬해 대사성과 대사간 등을 거쳐 1793년에는 안동부사가 되었다.안동부사 재직시 형벌이 과다하여 안동사람들의 소청에 따라 유배되었다. 이듬해 이조참의와 대사간을 지내고 1795년 강화유수를 역임하였다. 1797년 강원도관찰사를 거쳐 1799년 진위 겸 진향부사(陳慰兼進香副使)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00년 순조가 즉위한 뒤 벽파(僻派)가 득세하자 시파(時派)로 지목되어 진도로 유배되었다.그 뒤 안동김씨가 집권하자 방환되어 1807년(순조 7) 공조판서와 병조판서를 지냈다. 이어서 수원부유수·대사헌·형조판서·한성부판윤 등을 역임하였다. 1812년 대호군으로 재직시 세도(世道)를 주장하였는데 이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자 스스로 치사(致仕)하고 봉조하(奉朝賀)를 받았다 정조(正祖) 1년(1777) 정유(丁酉)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6위 [문과] 정조(正祖) 9년(1785) 을사(乙巳) 알성시(謁聖試) 갑과(甲科) 1[壯元]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