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천군수(林川郡守)  영행(令行)


자는 자유(子裕) 호는 필운옹(弼雲翁).

아버지는 관찰사 김시걸(金時傑)이다.

김창흡(金昌翕)의 문인이다.

음보(蔭補)로 현감이 되었다가 1723년(경종 3) 소론 김일경(金一鏡) 등에 의해 노론 김창집(金昌集)의 일당이라 하여 파직 기장현(機張縣)에 유배되었다.그 뒤 1725년 영조가 즉위하자 풀려나 우사어(右司禦)로 다시 기용되고 이어서 임천군수(林川郡守)를 거쳐 첨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시문을 모은 『필운유고(弼雲遺稿)』가 전한다.

필운고(弼雲稿)

저자 : 문충공(상용)파  영행(令行)

생(生) : 1673.09.03

졸(卒) : 1745.12.23

임천(林川)군수(郡守) 증(贈) 이조(吏曹)판서(判書) 

조선 시대 필운옹(弼雲翁) 김영행(金令行 1673~1745)의 문집이다.

본집은 장남 이건(履健)이 1747년 가장초고를 바탕으로 수집ㆍ편차한 정사본(淨寫本)으로서 저자의 아우 정행(正行)의 《송창유고(松牕遺稿)》가 부집되어 있다. 본집은 시고(詩稿) 4책 문고(詩稿) 5책 합 9책으로 되어 있다.

책1~4는 시고이다. 시체에 관계없이 저작 연대순으로 편차되어 있고 저자의 자주(自註)가 달려 있다. 수록된 시를 보면 실제로 1691년부터 1729년 지평 현감(砥平縣監)에서 물러날 때까지의 작품이 대부분이고 유람시 계부 시보(時保)의 시에 차운한 것들이 매우 많다. 만년에는 가족들을 생각하며 지은 시들이 많다.

책5~9는 문고이다. 책8~9는 잡저로 정장(呈狀) 서(書)가 포함되어 있다. 〈서도봉원벽(書道峯院壁)〉은 1697년에 지은 것으로 조광조(趙光祖)와 송시열(宋時烈)을 제향한 도봉서원의 폐단과 그 개혁 방안을 논한 글이고 〈정병조장(呈兵曹狀)〉은 1717년 서연에서 익위사의 폐단에 대해 진달하였다가 익위사가 대간의 탄핵을 받게 되자 처결을 청하는 내용이다. 권말에 장남 이건이 1747년에 지은 발이 있다.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


문충공(상용)파
영행(令行)
자(字)자유(子裕)
호(號)필운옹(弼雲翁)
생(生)1673년 계축(癸丑) 9월 3일
관직(官職)임천(林川)군수(郡守)
증(贈)
이조(吏曹)판서(判書)
저서(著書)필운시문고(弼雲詩文遺稿)
졸(卒)1745년 을축(乙丑) 12월 23일
배(配)증(贈)정부인(貞夫人)해주오씨(海州吳氏)
생(生)1674년 갑인(甲寅) 월 일
졸(卒)1733년 계축(癸丑) 3월 9일
묘(墓)시흥 구노리(龜老里)
 갈(碣)은 좨주(祭酒) 박필주(朴弼周)가 지었고 대사헌(大司憲) 민우수(
 閔遇洙)가 썼다. 부인(夫人) 지(誌)는 조카 대제학(大提學) 오원(吳瑗
 ) 이 지었다
사좌(巳坐) 합폄(合窆)
 부(父)판서(判書) 증(贈)영의정(領議政) 충정공(忠貞公) 두인(斗寅)
 조(祖)감사(監司) 숙(䎘)
 증조(曾祖)전부(典簿) 사겸(士謙)
 외조(外祖)부사(府使) 황연(黃埏) 본(本) 상주(尙州)
17 세18 세19 세20 세21 세
수인(壽仁)성우(盛遇)시걸(時傑)영행(令行)이건(履健)
이적(履迪)
이원(履遠)
윤혁(尹湙)
이하제(李夏濟)
이익진(李翼鎭)
홍병은(洪秉殷)
정행(正行)이정(履禎)
조경명(趙景命)
박필언(朴弼彦)
조명우(趙明遇)
맹숙서(孟淑舒)
시보(時保)순행(純行)이진(履晋)
이곤(履坤)
이태(履泰)
이복(履復)
숙행(肅行)이형(履亨)
이돈(李敦)
이몽언(李夢彦)
이헌중(李獻重)
성운(盛運)
조윤석(趙胤錫)
이창근(李昌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