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조판서(兵曹判書)  유근(逌根)


자는 경선(景先) 호는 황산(黃山). 할아버지는 김이중(金履中)이고 아버지는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 김조순(金祖淳)이며 어머니는 청양부부인(靑陽府夫人) 심건지(沈健之)의 딸이다. 종백부(從伯父) 김용순(金龍淳)에게 입양되었다.



1810년 식년시에 급제하였으며 사서·검상 등을 지냈다. 그 뒤 당상관으로 승진하여 1817년 이조 참의 1819년에는 대사성을 거쳐 홍문관 부제학이 되었다. 이후 이조 참판 · 대사헌이 되었으며 역임하였다. 1822년에 이조참판 1825년 사헌부대사헌 등으로 등용되었다. 1826년에는 한성부 판윤을 지내고 1827년에는 평안도관찰사로 부임하였으나 부임 도중 한 전직 관원의 면회를 거절하였다. 그러나 면회를 거절당한 것에 앙심을 품은 전직관원에 의해 부임 도중 피습 일행 5명이 흉변을 당하여 공은 부임을 취소하고 되돌아왔다.



그 뒤에도 병조판서와 돈령부판사(종일품)를 역임하였고 1830년에는 다시 한성부 판윤으로 등용되었지만 이듬해 1831년 한성부 판윤을 사임하였는데 1년 후 1832년 아버지 김조순이 사망한 뒤 안동 김씨 세도가의 실권자가 되었다. 1834년 순조(純祖)가 승하하자 관직 퇴진자 및 야인 신분으로 《순조대왕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순조가 붕어하고 어린 헌종(憲宗)이 즉위한 이후에도 헌종(憲宗)과 자신의 누이동생인 순원왕후 김씨(純元王后 金氏)를 자신의 사저에서나마 성심껏 보필하여 헌종(憲宗) 초기의 안동 김씨 세도 정권을 이끌었으나 중풍에 걸렸고 1835년에 지병으로 인해 실어증에 걸려 말을 할 수 없게 되었으며 천주교에 호의적이었으며 사망하기 1년 전인 1839년에는 유진길(劉進吉)의 권유로 세례를 받기도 하였다. 또한 이때 천주교의 박해를 빌미로 기해박해가 일어나 보수적인 벽파 계열의 풍양 조씨가 집권하고 시파 계열의 안동 김씨는 세도 가문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1840년에 사망하였으며 사후 문정(文貞)의 시호가 추증되었다.



아버지인 김조순과 같이 글씨와 그림 시조에 모두 능하였으며 갈필(渴筆)을 사용하여 지극히 간일(簡逸)하고 문기(文氣)가 넘치는 남종문인화(南宗文人怜)를 잘 그렸다. 현재 남아있는 문화재는 생전에 남긴 문장을 집대성한 《황산집(黃山集)》과 회화인 《괴석도(怪石圖)》와 《연산도(硏山圖)》 《청성묘중수비문(淸聖廟重修碑文)》 등이 있다. 서울 삼청동(三淸洞)에 백련사(白蓮社)라는 집을 짓고 거주하였다 한다.



적벽시 차운

적벽 농암의 적벽시에 차운을 달다.



赤壁 次 農巖韻 - 황산 김유근(金逌根) -



翠碧丹崖出半天 (취벽단애출반천) / 푸른 절벽 붉은 비탈 중천에 솟아있고

澄江環合作平川 (징강환합작평천) / 맑은 강물 에워싸고 평평히 흐르네

何年雲影棲黃鶴 (하년운영서황학) / 어느 해부터 구름 속엔 학 한 마리 살고

遙夜簫聲降紫烟 (요야소성강자연) / 긴밤 옥피리 소리에 붉은 연기 내리네

疊石還如圖上見 (첩석환여도상견) / 돌무더기 쌓은 곳은 그림을 보는 것만 같고

層巒却似鏡中懸 (층만각사경중현) / 겹겹의 산봉우리는 마치 거울 속에 비치는 것 같구나

月明更向峯頭去 (월명갱향봉두거 ) / 달이 밝아 다시 산꼭대기로 오르니

羽化多應不讓仙 (우화다응불양선) /신선이 되어 응당 신선보다 뒤지지 않는구나



아우 김원근을 추모하며

窮天方抱慟 (궁천방포통) /하늘 끝까지 바야흐로 슬픔 안았고

割半又胡然 (할반우호연) /몸 절반 베어낸 슬픔 또 어찌하랴.

不幸門閭否 (불행문려비) /불행히도 집안 운세 막혀 버리니

無徵骨相全 (무징골상전) /골상을 징험할 길 온전히 없어라.

深悲如一日 (심비여일일) /깊은 슬픔 마치 하루 같으며

大訣已三年 (대결이삼년) /커다란 이별 이미 삼년이어라.

夢寐猶難見 (몽매유난견) /꿈결에도 오히려 못 만나지만

幽明豈棄捐 (유명기기연) /유명은 달리해도 어찌 내버려 두랴.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1805..순조 5년진사(進士)
순조(純祖) 5년(1805) 을축(乙丑)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16위(46/100)
1809.06.29순조 9년동몽교관(童蒙敎官)

1809.08.15순조 9년제용주부(濟用主簿)

1809.12.26순조 9년공조좌랑(工曹佐郞)

1810..순조 10년문과(文科)
순조(純祖) 10년(1810) 경오(庚午)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4위(07/39)
1810.11.27순조 10년전부(典簿)

1810.12.03순조 10년정언(正言)

1811.03.14순조 11년병조정랑(兵曹正郞)

1812.05.01순조 12년사서(司書)

1812.09.16순조 12년부교리(副校理)

1812.10.01순조 12년서학교수(西學敎授)

1812.10.28순조 12년검상(檢詳)

1812.12.07순조 12년교리(校理)

1812.12.19순조 12년부응교(副應敎)

1813.01.22순조 13년부수찬(副修撰)

1813.06.04순조 13년군자감정(軍資監正)

1814.02.06순조 14년집의(執義)

1814.03.22순조 14년응교(應敎)

1814.07.04순조 14년동부승지(同副承旨)

1814.12.16순조 14년병조참지(工曹參知)

1815.08.05순조 15년형조참의(刑曹參議)

1817.05.11순조 17년이조참의(吏曹參議)

1819.01.15순조 19년한성우윤(漢城右尹)

1819.01.17순조 19년병조참판(兵曹參判)

1819.01.25순조 19년동의금부사(同義錦府事)

1819.03.29순조 19년대사성(大司成)

1819.08.09순조 19년도승지(都承旨)

1820.10.20순조 20년공조참판(工曹叅判)

1821.03.16순조 21년부제학(副提學)

1822.09.20순조 22년예조참판(禮曹參判)

1825.07.16순조 25년대사헌(大司憲)

1826.08.12순조 26년한성판윤(漢城判尹)

1826.09.09순조 26년예조판서(禮曹判書)

1827.03.27순조 27년평안감사(平安監司)

1827.04.28순조 27년공조판서(工曹判書)

1827.05.16순조 27년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1827.05.19순조 27년병조판서(兵曹判書)

1827.06.10순조 27년수원유수(水原留守)

1828.04.17순조 28년이조판서(吏曹判書)

1834.11.14순조 34년어영대장(御營大將)

1840.12.17헌종 6년졸기(卒記)
보국 숭록 대부(輔國崇祿大夫)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김유근(金逌根)이 졸서(卒逝)하였다. 하교하기를 "이 중신(重臣)의 곧고 성실한 모습과 넓고 높은 식견과 밝고 통달한 재주를 다시 어디에서 찾을 수 있겠는가? 또한 의리로 고락을 같이하고 능히 선대(先代)의 무공(武功)을 뒤이어 변함 없이 나라를 위하여 근로한 것이 오래 드러났으니 국가에서 의중(倚重)한 것이 어떠하였겠는가? 불행히 집에서 병으로 오래 앓아 내가 보지 못한 지 이제 몇 해 만에 문득 서단(逝單)을 보니 내 마음이 이처럼 몹시 슬픈데 더구나 우리 동조(東朝)의 매우 절박한 슬픔이겠는가? 졸한 판돈녕 김유근의 집에 동원 부기(東園副器)075) 1부(部)를 실어 보내고 원치부(元致賻) 외에 별치부(別致賻)를 해조(該曹)로 하여금 넉넉히 실어 보내게 하고 성복(成服)하는 날에 승지(承旨)를 보내어 치제(致祭)하게 하라." 하였다. 김 유근의 자(字)는 경선(景先)인데 영안 부원군(永安府院君) 김조순(金祖淳)의 아들이다. 성품이 결백하고 솔직하며 곧고 성실하여 뜻에 옳지 않은 것을 보면 문득 용납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일찍부터 굽히지 않고 귀한 체한다는 이름이 있었는데 만년에는 절조를 굽혀 공근(恭謹)하였으나 그 미워하는 것이 너무 심하므로 남을 용납하는 도량에 있어서는 끝내 논할 만한 것이 있었다. 임진년076) 이후로 군국(軍國)의 사무가 그 몸에 모였는데 공사(公事)에 진력하여 사정(私情)을 끊었으므로 사람들이 감히 도리에 어긋나는 것을 요구하지 못하니 중외(中外)에서 모두 칭찬하였다. 사무의 경륜(經綸)은 그의 잘하는 바가 아니나 임금을 높이고 백성을 감싸는 일념은 대개 명확하였다. 문학을 좋아하고 시(詩)에 능하였는데 시에는 원대(元代) 사람의 기풍이 있었다. 병을 얻어 말을 못한 지 4년 만에 졸하니 상하가 모두 탄식하며 슬퍼하였다.
1841.02.21헌종 7년시호(諡號) 문정(文貞)
勤學好問(근학호문) 淸白守節(청백수절)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 맑고 곧으며 절개를 지킴이 정이다

안동김씨대종중
문정공(상헌)파
系子유근(逌根)
생부(生父)조순(祖淳)
자(字)경선(景先)
호(號)황산(黃山)
시호(諡號)문정(文貞) 勤學好問(근학호문) 淸白守節(청백수절)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 맑고 곧으며 절개를 지킴이 정이다.
1841
생(生)1785년 을사(乙巳) 9월 19일
관직(官職)을축(乙丑)진사(進士)
경오(庚午)문과(文科)
이조(吏曹)참의(叅議)
대사성(大司成)
홍문관(弘文館)부제학(副提學)
병조(兵曹)판서(判書)
이조(吏曹)판서(判書)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저서(著書)황산유고(黃山遺稿)
 시와 서화에 모두 능하였으며 특히 갈필(渴筆)을 사용하여 지극히 간일(簡
 逸)하고 문기(文氣) 넘치는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畵)를 잘 그렸다.유작으로
  개인 소장의 「오주고목도(五株枯木圖)」와「괴석도(怪石圖)」 국립중앙박물
 관 소장의 「연산도(硏山圖)」 등이 있다.
졸(卒)1840년 경자(庚子) 12월 17일
배(配)증(贈)정경부인(貞敬夫人)해주오씨(海州吳氏)
생(生)1783년 계묘(癸卯) 월 일
졸(卒)1809년 기사(己巳) 8월 19일
 부(父)교관(敎官) 서상(叙常)
 조(祖)군수(郡守) 재유(載維)
 증조(曾祖)완(琬)
 외조(外祖)부사(府使) 이서영(李舒永) 본(本) 한산(韓山)
배(配)정경부인(貞敬夫人)여흥민씨(驪興閔氏)
생(生)1794년 갑인(甲寅) 월 일
졸(卒)1840년 경자(庚子) 1월 30일
묘(墓)양평군(楊平郡) 개군면(介軍面) 향리(香里) 산128-3
 묘표(墓表)는 조카 병지(炳地)가 지었다撰)
합폄(合窆)
 부(父)판관(判官) 정혁(鼎爀)
 조(祖)참봉(叅奉) 백전(百全)
 증조(曾祖)참봉(叅奉) 관수(觀洙)
 외조(外祖)이윤덕(李潤德) 본(本) 경주(慶州)
20 세21 세22 세23 세24 세
달행(達行)이기(履基)용순(龍淳)유근(逌根)병주(炳㴤)
병도(炳陶)
이인기(李寅夔)
조장호(趙章鎬)
조병기(趙秉夔)
손근(遜根)
황종일(黃鍾一)
홍훈(洪壎)
명순(明淳)
이건원(李健源)
윤수익(尹守翼)
이중(履中)조순(祖淳)유근(逌根)
원근(元根)병지(炳地)
병원(炳阮)
병육(炳陸)
심의훈(沈宜薰)
좌근(左根)병기(炳冀)
순원숙황후(純元肅皇后)문조익황제(文祖翼皇帝)
명온공주(明溫公主)
복온공주(福溫公主)
덕온공주(德溫公主)
남구순(南久淳)
이겸재(李謙在)
이긍우(李肯愚)
이병익(李秉益)
평순(平淳)우근(芋根)병목(炳穆)
이심재(李審在)
이장소(李章紹)
홍희명(洪羲命)
심능극(沈能極)
이경(履慶)명순(明淳)홍근(弘根)병계(炳溎)
병주(炳㴤)
송익노(宋益老)
윤태건(尹泰健)
이범학(李範學)
응근(應根)병시(炳始)
병이(炳怡)
병치(炳治)
흥근(興根)병덕(炳德)
홍원종(洪原鍾)
이근(儞根)병무(炳武)
병식(炳式)
신권(申權)
이득상(李得祥)
송재위(宋載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