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조판서(刑曹判書)  김응근(金應根)


1793년(정조 17)에 출생하여1863년(철종 14)년에 졸.

조선후기 충청도관찰사 공조판서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자는 계경(溪卿) 호는 의석(宜石). 아버지는 참판 김명순(金明淳)이고 형이 김홍근(金弘根)이며 동생이 영의정 김흥근(金興根)이다.

1816년(순조 16)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822년 익위사세마(翊衛司洗馬)가 되고 그 뒤 외직으로 여러 고을 수령을 거쳐 1857년 충청도관찰사에 제수되었다가 1860년 공조판서 이어 형조판서를 역임하였다.

글씨를 잘 써서 평양의 의열사비(義烈祠碑)를 썼다. 편서로는 충청도관찰사로 재직할 때에 『공산지(公山誌)』를 편찬한 바 있다. 시호는 청헌(淸憲)이다.
[생원] 순조(純祖) 16년(1816) 병자(丙子)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6위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문정공(상헌)파
응근(應根)
자(字)혜경(徯卿)
호(號)의석(宜石)
시호(諡號)청헌(淸獻)으로 의롭지 못한 것을 피하고 멀리함을 청(淸)이라 하고(避遠
不義) 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있음(嚮忠內德)을 헌(獻)이라 한다
생(生)1793년 계축(癸丑) 8월 16일
관직(官職)병자(丙子)생원(生員)
공조(工曹)판서(判書)
증(贈)영의정(領議政)
저서(著書)공산지(公山誌)
졸(卒)1863년 계해(癸亥) 5월 15일
배(配)정경부인(貞敬夫人)용인이씨(龍仁李氏)
생(生)1793년 계축(癸丑) 월 일
졸(卒)1857년 정사(丁巳) 12월 19일
묘(墓)양주시(楊州市) 광적면(廣積面) 석우리(石隅里)
 표(表)는 동생 흥근(興根)이 짓고(撰) 조카 병덕(炳德)이 썼다(書)
 전면(前面) 조카 병주(炳疇)가 썼다(書)
계좌(癸坐) 합폄(合窆)
 부(父)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재순(在純)
 조(祖)군수(郡守) 학조(學祚)
 증조(曾祖)보문(普文)
 외조(外祖)부사(府使) 조진완(趙鎭完) 본(本) 풍양(豊壤)
20 세21 세22 세23 세24 세
달행(達行)이기(履基)용순(龍淳)유근(逌根)병주(炳㴤)
병도(炳陶)
이인기(李寅夔)
조장호(趙章鎬)
조병기(趙秉夔)
손근(遜根)
황종일(黃鍾一)
홍훈(洪壎)
명순(明淳)
이건원(李健源)
윤수익(尹守翼)
이중(履中)조순(祖淳)유근(逌根)
원근(元根)병지(炳地)
병원(炳阮)
병육(炳陸)
심의훈(沈宜薰)
좌근(左根)병기(炳冀)
순원숙황후(純元肅皇后)문조익황제(文祖翼皇帝)
명온공주(明溫公主)
복온공주(福溫公主)
덕온공주(福溫公主)
남구순(南久淳)
이겸재(李謙在)
이긍우(李肯愚)
이병익(李秉益)
평순(平淳)우근(芋根)병목(炳穆)
이심재(李審在)
이장소(李章紹)
홍희명(洪羲命)
심능극(沈能極)
이경(履慶)명순(明淳)홍근(弘根)병계(炳溎)
병주(炳㴤)
송익노(宋益老)
윤태건(尹泰健)
이범학(李範學)
응근(應根)병시(炳始)
병이(炳怡)
병치(炳治)
흥근(興根)병덕(炳德)
홍원종(洪原鍾)
이근(儞根)병무(炳武)
병식(炳式)
신권(申權)
이득상(李得祥)
송재위(宋載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