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원숙황후(純元肅皇后)  순원숙황후(純元肅皇后)


순원숙황후(純元肅皇后)는 1789년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 김조순(金祖淳)과 청양부부인(靑陽府夫人) 청송심씨(靑松沈氏) 사이에서 맏딸로 태어났다.



1800년(정조 24) 초간택·재간택을 거쳐 정조의 뜻이 결정되었다. 정조가 갑자기 죽어 삼간택이 연기되었다가 1802년(순조 2) 10월 왕비로 책봉되었다.삼간택 문제를 놓고 시·벽파(時僻派) 사이에 갈등이 일어나 당시 대왕대비로 수렴청정한 정순왕후(貞純王后)의 오빠 김관주(金觀柱)와 권유(權裕)들의 방해 움직임이 있었다. 1809년(순조 9) 문조(文祖)를 낳았다. 문조는 1812년(순조 12) 세자로 책봉되었다. 그러나 문조는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1830년(순조 30) 22세로 죽었다.



아들 헌종이 즉위하고 1834년(순조 34) 익종에 추존되었다.



순원왕후는 1827년(순조 27) 존호 명경(明敬)이 올려졌고 헌종 연간에 왕대비·대왕대비에 진호(進號)되었다. 그 뒤 문인(文仁)·광성(光聖)·융희(隆禧)·정렬(正烈)·선휘(宣徽)·영덕(英德) 등의 존호가 더해졌다.



1849년(헌종 15) 헌종이 후사 없이 죽자 순원왕후는 원상(院相)에 권돈인(權敦仁)을 지명했다. 그리고 영조의 혈맥을 잇기 위해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이광(李imagefont)의 셋째 아들을 지목해 철종으로 왕통을 잇게 하고 수렴청정하였다. 1851년(철종 2) 자신의 외가인 김문근(金汶根)의 딸을 철종의 왕비로 책봉해 그 뒤 안동김씨 세도정치의 절정기를 이룩하였다.



1857년(철종 8) 창덕궁에서 세상을 떠났다. 자헌(慈獻)·현륜(顯倫)·홍화(洪化)·신운(神運) 등의 존호가 뒤에 추상되었다. 『순원왕후어필봉서(純元王后御筆封書)』가 전한다. 명온(明溫)·복온(福溫)·덕온(德溫)의 세 공주가 있다.



시호는 명경문인광성융희정렬선휘영덕자헌현륜홍화신운순원왕후(明敬文仁光聖隆禧正烈宣徽英德慈獻顯倫洪化神運純元王后)이다. 능호는 인릉(仁陵)으로 서울 서초구 내곡동 산13의 1에 있다.



순원왕후의 왕실 생활은 순조롭게 출발했다. 그녀는 가례를 올린 지 7년 만인 20세 때 효명(孝明)세자(1809년(순조 9) 8월 9일)를 낳았고 그 뒤에도 명온(明溫. 1810년 10월)·복온(福溫. 1818년 10월)·덕온(德溫. 1822년 6월)공주를 계속 순산했다. 대군을 낳았다가(1820년 2월) 석 달 만에 사망하기도 했지만 대체로 다복한 생활이었다고 말할 만하다.



그러나 40대 이후 개인적 슬픔이 연이어 닥쳤다. 1827년(순조 27) 2월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시작했지만 3년 뒤 세상을 떠났으며(1830년 5월) 2년 뒤에는 명온·복온공주가 거의 동시에 사망했다(1832년 6월과 5월). 2년 뒤에는 순조도 승하했고(1834년 11월) 막내 덕온공주도 10년 뒤에 세상을 떠났다(1844년 5월). 그러니까 순원왕후는 남편과 자녀가 모두 자신보다 일찍 사망하는 깊은 인간적 슬픔을 겪은 것이다. 맏아들과 지아비를 잃었을 때 왕후의 나이는 45세였다.



순원왕후는 그 뒤에도 20여 년을 더 살면서 두 번에 걸쳐 10년 동안 수렴청정을 시행하는 이례적인 기록을 남겼다. 첫 번째 청정은 1834년 11월 18일 헌종이 7세로 즉위하면서 시작해 7년 동안 시행되었다(1840년(헌종 6) 12월).



두 번째 청정은 1849년(헌종 15) 6월 6일 헌종이 22세의 젊은 나이로 후사 없이 승하하면서 시작되었다. 61세의 대왕대비는 그날로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이광(李壙)의 셋째 아들 이원범(李元範)을 25대 왕 철종으로 등극시킨 뒤 3년 동안 청정했다(1851년).



왕후의 청정은 몇 가지 특징과 업적을 남겼다고 평가된다. 우선 그녀는 정치의 전면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신하들과의 협력 관계 속에서 정국을 운영하려고 했다. 그 까닭은 스스로의 신중한 판단과 처신 때문이기도 했지만 안동 김씨는 물론 그들과 가까운 인물들이 이미 정계를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봉조하 남공철(南公轍) 영중추부사 이상황(李相璜) 영의정 심상규(沈象奎)는 김조순의 오랜 지기였고 김유근(金逌根. 판중추부사)·김난순(金蘭淳. 우참찬)·김이재(金履載. 이조판서) 등 안동 김씨의 중심 인물은 요직을 맡아 활발히 움직였다.



다음으로 왕후는 세도정치의 여파 속에서도 왕실의 권위를 높이려고 노력했다. 효명세자를 추숭(追崇-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죽은 이에게 임금을 칭호를 내림)하고 종묘를 확장해 순조와 익종을 세실(世室- 종묘의 정전(正殿)에 안치한 신위)로 모신 것은 그런 주요한 시책이다. 종묘가 현재의 규모로 확장된 것은 이때였다.



아울러 그녀는 안동 김씨 출신이었지만 외척 가문 간의 균형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다고 평가된다. 예컨대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를 대표하는 인물인 김유근과 조만영을 어영대장과 호위대장에 번갈아 임명해 군권의 편중을 막았고 이조판서도 안동 김씨와 풍양 조씨 출신을 교대로 제수했다.



왕후가 수렴청정에서 가장 중점을 두었던 현안은 민생이었다. 왕후는 자연재해 등으로 고통을 겪는 백성에게 조세를 탕감해 주고 다른 지방의 곡식을 이용해 진휼(賑恤- 흉년을 당하여 가난한 백성을 도움)했으며 부족한 재정은 내탕(內帑- 왕실 재정)으로 해결했다. 수령의 탐학을 적발하지 않는 대신은 강하게 질책하기도 했다. 그러나 문제의 근본은 그녀가 일원이었던 세도정치에 있었다. 그런 구조적 폐단을 해결하지 않는 이상 대부분의 시책은 부분적인 효과밖에 거둘 수 없었다.



순원왕후는 1850년(철종 1) 국모로 임어(臨御)한 지 50년이 되었고 그 한 해 뒤 두 번째 수렴청정을 끝내고 물러났다. 1857년(철종 8) 8월 4일 68세로 승하한 왕후는 지금 인릉(仁陵. 서울 서초구 내곡동 소재)에 순조와 합장되어 있다.



10년에 걸친 두 번의 수렴청정이라는 이례적 기록상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순원왕후는 적지 않은 정치적 발자취를 남겼다. 그런 자취가 담겨 있는 주목할 만한 자료는 한글 편지다. 규장각에 57점을 비롯해 여러 개인들도 소장하고 있는 그 편지는 당시의 정치사뿐만 아니라 국어학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교명문(敎命文)  순원숙황후(純元肅皇后)


○辛亥/御仁政殿@ 行冊妃禮。 敎命文:



若曰。 風驪著配體之象@ 賁六五之黃裳@ 《關雎》爲正始之基@ 啓萬億之蒼籙。 予惟王者之御極@ 尤重君子之造端。 定乾坤之位@ 合日月之明@ 天道未能獨運。 承宗祧之統@ 奉禘嘗之禮@ 壼政於是相成。 至哉! 萬品所資@ 允矣百福攸本。 玆揚顯冊@ 式遵彝章。 咨爾金氏@ 篤生名門@ 俶嫺懿訓。 惟文正、文忠曁忠獻之大義卓節@ 世毓其光。 若太任、太姜纉姜嫄之流慶綿徽@ 天作之合。 服《詩》、《禮》而治@ 絲繭不煩阿姆之言@ 儀圖、史而範珩璜@ 早播淑女之頌。 荷先靈之默佑@ 昔日發鞫夢之祥@ 奉太母之徽猷@ 令辰叶嘉會之吉。 玆涓吉備禮@ 冊封爲王妃@ 寵命祗服@ 景籙誕膺。 念沖人弘濟之艱@ 所賴佐治于內。 想寧考揀選之盛@ 可但繼序之思? 表裏交修@ 家一正而天下定矣。 夙夜匪懈@ 臣十亂而婦人有焉。 愉色婉容@ 恭承殿宮之樂@ 陰功玄化@ 用答臣民之情。 於戲! 嬀汭贊協華之謨@ 塗山勖敷文之敎。 如臨如履@ 體一人敬畏之心@ 俾熾俾昌@ 迓百世靈長之祉。 故玆敎示@ 相宜知悉。 【領府事李秉模製。】



풍리(風驪)에는 배체(配體)의 형상을 나타내면서 육오(六五)의 황상(黃裳)을 꾸몄고. 관저(關雎)는 시작을 바르게 하는 기본이 되어 이로써 억만년의 창록(蒼籙)을 여는 것이다. 나는 생각건대 왕자(王者)가 통치를 함에 있어 더욱 군자(君子)의 조단(造端)을 중요하게 여긴다. 건곤(乾坤)의 지위를 정하는 것이요 일월(日月)의 밝음을 합하는 것이니@ 천도(天道)는 홀로 운행하지 못하는 것이다. 종조(宗祧)의 계통을 잇는 것이요 체상(締嘗)의 예를 받드는 것이니@ 곤정(壼政)이 여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지극하도다! 만물이 의지하는 바요 진실로 온갖 복이 근본하는 바이다. 이에 현책(顯冊)을 드날려 삼가 떳떳한 전장(典章)을 따르노라. 아! 그대 김씨(金氏)는 명문에 태어난 아름다운 교훈을 익혔다. 문정공(文正公)·문충공(文忠公)과 충헌공(忠獻公)의 대의(大義)와 탁절(卓節)은 대대로 그 빛을 발하였다. 마치 태임(太任)과 태강(太姜)이 강원(姜嫄)의 남긴 경사와 전한 아름다움을 계승하듯이 하니 이는 하늘이 지어준 짝이로다. 시례(詩禮)를 배워 행하고 사견(絲繭)을 다스림에 아모(阿姆)의 번거로운 말을 필요로 하지 않았고@ 도서(圖書)와 사적(史籍)을 배워 본받고 형황(珩璜)로 법도대로 익히니 일찍부터 숙녀의 칭송이 퍼졌다. 선령(先靈)의 묵묵히 도와주심을 입어 옛날에 국의(鞠衣)의 꿈을 꾸는 상서로움이 있었으니@ 태모(太母)의 아름다운 뜻을 받들어 좋은 때에 가회(嘉會)의 길례(吉禮)를 치루었도다. 이에 길한 날을 가리어 예를 갖추고 책봉하여 왕비로 삼노니@ 총명(寵命)을 공경히 행하여 경록(景籙)을 크게 받드노라. 생각건대 어린 사람이 널리 구제하기가 어려우니 의리하는 바는 내치(內治)의 도움일 뿐이다.



생각건대 영고(寧考)께서 간택하시기를 성대하게 하셨으니 이것이 어찌 다만 계서(繼序)의 생각에서만 그랬겠는가? 안팎이 서로 정돈되어 집안이 한번 바로잡히면 천하가 안정되리라. 이른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게을리할 수 없으니 무왕(武王)의 십란(十亂)·문모(文母)에도 부인(婦人)이 끼어 있다. 온화한 안색과 온순한 용모로 공손히 전궁(殿宮)을 즐겁게 해드리고@ 음공(陰功)과 현화(玄化)로써 신민(臣民)의 기대에 부응하도록 하라. 아! 규예(嬀洩)에 시집간 분이 협화(協華)의 일에 도움을 주었고@ 도산(塗山)은 문교(文敎)를 펴도록 권면하였다. 깊은 연못에 임하듯 하고 엷은 얼음을 밟듯 하여 1인(一人)의 경외하는 마음을 본받고@ 자손이 창성하게 하여 백세토록 신령스럽고 장구한 복을 맞이하게 하라. 그러므로 이에 교시하는 것이니@ 생각건대 마땅히 잘 알아야 할 것이다. 영부사 이병모가 지었다.



옥책문(玉冊文)  순원숙황후(純元肅皇后)


玉冊文:



若曰(周)〔舟〕 梁之吉日已卜@ 六禮咸宜。 漢宮之寶冊初宣@ 百祿鼎至。 載是琬琰@ 諧我琴鐘。 蓋聞天地交泰而萬品亨@ 日月麗明而四序順。 王化必資內助@ 家人爲治平之基@ 邦典最重大婚@ 《關雎》居風雅之首。 咨! 爾金氏淑質坤厚@ 懿範天成。 奕世忠貞@ 篤生塗、莘之德@ 大家詩、禮@ 早襲《蘋》、《蘩》之儀。 雖彤管之含章@ 令聞夙著@ 媲黃裳之元吉@ 景命維新。 猗歟! 寧考之簡心@ 怳若溫音之在耳。 珩珮合度@ 想昔日喜動天顔@ 龜筮定祥@ 幸小子遹追先志。 太母之明命祗承@ 中壼之縟禮誕陳。 承先祖積慶之庥@ 佳氣集龍潛之邸。 用《戴經》備物之義@ 是月告蠶績之功。 玆遣使臣議政府左議政李時秀、漢城府判尹李敬一@ 持節備禮冊@ 命爲王妃。 朱雁、玄端@ 賁儀文於迎相@ 玉簡、金篆@ 晉位號於配尊。 彝章式遵@ 象服是稱。 於戲! 孝敬卽我家法@ 勤儉如古后妃。 齊風第一篇@ 炯壼戒於簪珥@ 《女則》三十卷@ 廣陰敎於紘綖。 愉愉婉容@ 奉殿宮萬年之樂@ 振振嘉頌@ 佇本支百世之休。 克贊宸極之治@ 永綿宗社之慶。 故玆敎示@ 想宜知悉。 【內閣提學李晩秀製。】



주량(周梁)의 길일(吉日)을 이미 점쳐 가렸으니 육례(六禮)가 모두 잘 치루어졌다. 한궁(漢宮)의 보책(寶冊)이 처음 선포되니 온갖 복록이 성하게 이르리로다. 이 완염(琓琰)에 기재하여 나의 금종(琴鍾)을 조화하게 한다. 대저 듣건대 하늘과 땅이 사귀러 태평을 이룩함에 모든 일이 형통하고 해와 달이 번갈아 밝아 사서(四序)가 순조롭다. 왕화(王化)는 반드시 내조를 필요로 하는 것이니 가인(家人)이 치평(治平)의 기본이 되는 것이요@ 나라의 전례(典禮)는 대혼(大婚)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니 관저(關雎)가 풍아(風雅)의 첫머리를 차지한 것이다. 아! 그대 김씨(金氏)는 착한 자질이 땅처럼 두텁고@ 아름다운 규범은 천연적으로 이룩되었도다. 대를 이은 충정(忠貞)은 도산(塗山)과 유신(有莘)같은 부덕(婦德)을 탄생시켰고@ 대가(大家)의 시례(詩禮)는 일찍이 빈번(蘋蘩)의 범절을 배웠도다. 비록 동관(彤管)이 함장(含章)을 하였지만 좋은 소문이 일찍 드러났으며@ 황상(黃裳)의 원길(元吉)을 배필로 맞이하니 경명(景命)이 오직 새롭도다. 아! 영고(寧考)의 간택하신 마음이여@ 온화하신 음성이 귀에 들리는 듯하도다. 형패(珩珮)의 소리가 법도에 맞으니 옛날 기뻐하는 표정이 천안(天顔)에 만연하시던 것을 상기하게 되고@ 점을 쳐 길상(吉祥)을 정하니 다행스럽게도 소자(小子)가 선지(先志)를 따르게 되었도다. 태모(太母)의 밝으신 분부를 삼가 받들어 중곤(中壼)의 성대한 예를 크게 베푸노라. 선조(先祖)들의 경사를 쌓은 복을 받아 아름다운 기운이 용잠(龍潛)의 집에 모여든다. 대경(戴經)의 예물을 갖추는 의리를 행하니 이 달에 잠적(蠶績)의 공을 고하도다.



이에 사신으로 의정부 좌의정 이시수(李時秀)와 한성부 판윤 이경일(李敬一)을 보내어 절(節)을 가지고 예를 갖추어 책명(冊命)하여 왕비를 삼노라@ 주안(朱雁)과 현단복(玄端服)으로 맞이하는 예절을 빛나게 꾸미고@ 옥간(玉簡)과 금전(金篆)으로 지존(至尊)을 짝하는 위호(位號)를 올려 주노라. 떳떳한 전장(典章)을 공경히 따르니 상복(象服)이 이에 걸맞도다. 아! 효경(孝敬)은 바로 우리 가법(家法)이요@ 근검(勤儉)은 옛 후비(后妃)와 같이 할지어다. 제풍의 제1편은 곤계(壼戒)를 잠이(蠶珥)에 빛냈고@ 《여칙(女則)》 30권은 음교(陰敎)를 굉연(紘綖)에 넓혔다. 온화하고 유순한 모습으로 전궁(殿宮)을 만년토록 즐겁게 해드리고@ 진진(振振)의 아름다운 칭송이 일어나 본손(本孫)과 지손(支孫)이 백세토록 복을 누리기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라. 임금의 정치를 잘 보좌하여 종사(宗社)의 경사가 영원히 이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에 교시하는 것이니 생각건대 마땅히 잘 알아야 할 것이다.



하였다. 【내각 제학(內閣提學) 이만수(李晩秀)가 지었다.】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1800.02.26정조 24년초간택\"행 호군(行護軍) 김조순(金祖淳)의 딸, 진사 서기수(徐淇修)의 딸, 유학(幼學) 박종만(朴鍾萬)의 딸, 유학 신집(申緝)의 딸, 통덕랑(通德郞) 윤수만(尹守晩)의 딸만 두 번째 간택에 들게 하고 그 나머지는 모두 허혼(許婚)하도록 하라.\"

1800.04.09정조 24년재간택세자빈을 두 번째 간택하였다. 전교하기를, \"행 호군(行護軍) 김조순(金祖淳)의 딸, 유학(幼學) 박종만(朴鍾萬)의 딸, 신집(申緝)의 딸을 세 번째 간택에 넣도록 하라.\" 하였다. 예조가 세자빈을 세 번째 간택할 길일(吉日)로 품지(稟旨)하니, 전교하기를, \"삼가 현묘조(顯廟朝) 가례(嘉禮)의 《신묘년등록》을 따라 거행하고 길월(吉月) 또한 성조(聖祖) 가례 때의 길삭(吉朔)과 서로 부합되게 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 간택은 나중에 하교하겠다. 이미 두 번째 간택을 거행하였으니 대궐에서 육인교(六人轎)를 만들어 본가로 보내주되, 내수사 등 제궁(諸宮)의 원역(員役)과 무예 별감(武藝別監)을 차출하여 곁에서 보호하게 하고 별감 두 사람이 교자 앞에서 경호하게 하라.\" 하였다. 또 김조순에게 친서를 내리기를, \"오늘 재차 보고 나니 매우 다행스러움을 한층 더 깨달았다. 존엄하기로는 자전(慈殿)과 같고 자애롭기는 자궁(慈宮)과 같고 장중하기로는 내전(內殿)과 같아 그 차림새며 덕스런 용모며 행동이며 언어 등은 보는 사람들이 모두 탄복하였다. 국모감으로서 재주와 용모가 뛰어나니 종묘사직의 경사가 어찌 이보다 좋을 일이 있겠는가. 이제는 사체가 별궁(別宮)과 다름이 없으니 지친간이라 하더라도 함부로 들어가 보아서는 안 되며 관직을 가진 자가 어떤 사정이 있어 집에 찾아올 때는 공복(公服)을 갖추고 대문 밖에서 말을 내리도록 하라.\" 하였다. 이튿날부터 임금은 매일 액례(掖隷)를 보내 안부를 물었고 4전궁(殿宮)에서는 5일마다 봉서(封書)를 내렸다.

1802.09.06순조 2년삼간택(왕후)삼간택(三揀擇)을 행하였다. 대왕 대비가 승전색(承傳色)을 시켜 빈청(賓廳)에 전달하기를, \"대혼(大婚)을 상호군(上護軍) 김조순(金祖淳)의 집으로 결정하려 하는데 경 등의 여러 의논은 어떠한가?\" 하니, 영부사 이병모(李秉模), 영의정 심환지(沈煥之), 좌의정 이시수(李時秀), 우의정 서용보(徐龍輔)가 아뢰기를, \"삼가 자교(慈敎)를 받으니 진실로 신인(神人)의 희망에 부합됩니다. 이는 바로 종사(宗社)와 신민(臣民)의 무강한 복이니 신 등은 진심으로 경하(慶賀)해 마지 않는 바입니다.\" 하였다.

1827.07.25순조 27년존호빈청(賓廳)에서 존호(尊號)를 의논해 정하였는데, 임금의 존호는 연덕(淵德) 응도(凝道) 경인(景仁) 광희(光禧)이고, 중전의 존호는 명경(明敬)이었다.

1827.09.09순조 27년옥책문중궁전 옥책문에 이르기를, \"삼가 생각하건대, 대전에 짝이 되어 치화(治化)를 도우시자 내조의 공이 크게 나타났고, 중전에 계시어 지존과 짝하시니 일시에 아름다운 칭호를 올렸습니다. 기뻐 춤출 뿐이지 어떻게 형용할 수 있겠습니까? 삼가 생각하건대, 왕비 전하께서는 성품이 부드럽고 아름다우시며, 몸소 효도와 검소를 실행하셨습니다. 선왕께서 빈(嬪)으로 맞이하라고 명하셨으니 아름다운 풍도가 참으로 곧으시기 때문이고, 왕실에서 태모(太母)의 아름다움을 계승하시니, 아! 아름다운 명성이 멀리 미쳤습니다. 지난 30년 동안 게을리하지 않고 순일(純一)한 덕을 지키시어, 땅의 도리를 빛내고 하늘의 아름다움을 맞이하셨습니다. 교화는 여인에게 두루 미쳐 이남(二南)(《시경》의 주남(周南), 소남(召南).) 의 가송(歌頌)에 양양(洋洋)하고, 경사는 자손에게 뻗어 백세(百世)토록 자손이 면면(綿綿)할 것입니다. 도타운 복이 이른 까닭을 깊이 추구해 볼 때 아름다움을 돌리려는 소원이 매우 간절합니다. 찬양하기 위해 청했던 신하들의 소원을 급히 행하여 감히 하찮은 정성을 다하니, 겸양하시는 마음을 애써 돌려 뭇사람의 희망에 따르셨습니다. 일월(日月)과 똑같이 형용해야 하니 천지와 다름없이 높이었습니다. 보름 밤 둥근 달의 맑은 빛에 짝하니 그 밝기가 해에 짝할 만하고, 육이효(六二爻)(곤괘(坤卦) 이효(二爻)를 말함.) 의 지극한 기상(氣象)에 맞아 오직 공경하여 전례(典禮)에 따라 아름다운 모범을 밝혔습니다. 삼가 책보를 받들어 명경(明敬)의 존호를 올리니, 책보를 같이 받아, 큰 계책을 도와 정하소서, 금루 옥전(金鏤玉鐫)에 덕의 빛을 끼치는 것이 어찌 끝이 있겠습니까? 대나무 뿌리가 빽빽하고 솔잎이 무성하듯이, 경사가 모여들어 그지없을 것입니다.\" 하였다. 【대제학 김이교(金履喬)가 지었다.】

1834.11.18헌종 즉위년수렴청정
1836.10.11헌종 2년왕대비존호왕대비전에 효유(孝裕)의 존호를 올렸다.

1841.01.17헌종 7년수렴청정 종료
1849.06.09철종 즉위년수렴청정
1852.01.18철종 3년수렴청정 종료
1857.08.10철종 8년존호(졸)\"대행 대왕 대비전(大行大王大妃殿)의 시호(諡號)를 순원(純元)이라 천망(薦望)하고, 【중정 정수(中正精粹)를 순(純)이라 하고 체인 장민(體仁長民)을 원(元)이라 한다.】 휘호(徽號)를 예성(睿成)·홍정(弘定)이라 천망하며, 전호(殿號)를 효정(孝正)·효휘(孝徽)·효강(孝康)이라 천망하고, 능호(陵號)를 문릉(文陵)·예릉(睿陵)·철릉(哲陵)이라 천망합니다.\"

1899.11.12고종 36년황후할아버지 순조 대왕(純祖大王)은 순조 연덕 현도 경인 순희 체성 응명 흠광 석경 계천 배극 융원 돈휴 의행 소륜 희화 준열 대중 지정 홍훈 철모 건시 태형 창운 홍기 고명 박후 강건 수정 계통 수력 건공 유범 문안 무정 영경 성효 숙황제(純祖淵德顯道景仁純禧體聖凝命欽光錫慶繼天配極隆元敦休懿行昭倫熙化峻烈大中至正洪勳哲謨乾始泰亨昌運弘基高明博厚剛健粹精啓統垂曆建功裕範文安武靖英敬成孝肅皇帝)로, 할머니인 명경 문인 광성 융희 정열 선휘 영덕 자헌 현륜 홍화 신운 수목 예성 홍정 순원 왕후(明敬文仁光聖隆禧正烈宣徽英德慈獻顯倫洪化神運粹穆睿成弘定純元王后)는 숙황후(肅皇后)로 높였다.


안동김씨대종중
문정공(상헌)파
순원숙황후(純元肅皇后)
생(生)1789년 기유(己酉) 5월 15일
졸(卒)1857년 정사(丁巳) 8월 4일
묘(墓)서울시 서초구 내곡동 인릉
합폄(合窆)
부(夫)전주(全州) 순조(純祖)
 子효명세자(孝明世子) 문조익황제(文祖翼
皇帝)
 女명온공주(明溫公主) 부(夫) 동녕위
(東寧尉) 김현근(金賢根)
 女복온공주(福溫公主) 부(夫) 창녕위
(昌寧尉) 김병주(金炳疇)
 女덕온공주(德溫公主) 부(夫) 남녕위
(南寧尉) 윤의선(尹宜善)
 系子철인장황제(哲仁章皇帝) 배(配) 철인
장황후(哲仁章皇后) 김씨(金氏)
20 세21 세22 세23 세24 세
달행(達行)이기(履基)용순(龍淳)유근(逌根)병주(炳㴤)
병도(炳陶)
이인기(李寅夔)
조장호(趙章鎬)
조병기(趙秉夔)
손근(遜根)
황종일(黃鍾一)
홍훈(洪壎)
명순(明淳)
이건원(李健源)
윤수익(尹守翼)
이중(履中)조순(祖淳)유근(逌根)
원근(元根)병지(炳地)
병원(炳阮)
병육(炳陸)
심의훈(沈宜薰)
좌근(左根)병기(炳冀)
순원숙황후(純元肅皇后)문조익황제(文祖翼皇帝)
명온공주(明溫公主)
복온공주(福溫公主)
덕온공주(德溫公主)
남구순(南久淳)
이겸재(李謙在)
이긍우(李肯愚)
이병익(李秉益)
평순(平淳)우근(芋根)병목(炳穆)
이심재(李審在)
이장소(李章紹)
홍희명(洪羲命)
심능극(沈能極)
이경(履慶)명순(明淳)홍근(弘根)병계(炳溎)
병주(炳㴤)
송익노(宋益老)
윤태건(尹泰健)
이범학(李範學)
응근(應根)병시(炳始)
병이(炳怡)
병치(炳治)
흥근(興根)병덕(炳德)
홍원종(洪原鍾)
이근(儞根)병무(炳武)
병식(炳式)
신권(申權)
이득상(李得祥)
송재위(宋載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