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의정(領議政)  흥근(興根)


자는 기경(起卿) 호는 김유관(金游觀) 시호는 충문(忠文)이다. 김달행(金達行)의 증손 김이경(金履慶)의 손자이고 순조의 장인인 김조순(金祖淳)의 5촌 조카 이조참판 김명순(金明淳)의 아들 좌의정 김홍근(金弘根)의 아우이다. 어머니는 신광온(申光薀)의 딸이다.



1813년 증광시(增廣試)와 1825년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에 급제하여 검열 · 대교(待敎) · 겸보덕(兼輔德) · 이조참의 · 전라도관찰사 등을 역임하고 1837년에 동지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이조참판 · 규장각직제학 · 홍문관부제학 · 평안도관찰사 등을 거쳐 1841년에 형조판서가 되었다. 이어 대사헌 · 한성부판윤 및 공조 · 호조 · 예조의 판서와 규장각제학 ·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1846년에 좌참찬이 되었다.



1848년에 다시 예조판서를 거쳐 경상도관찰사가 되었으나 안동김씨의 권세를 믿고 방자한 행동을 하였다 하여 대간의 탄핵을 받아 전라남도 광양현에 유배되었다. 이듬해 헌종이 죽고 철종이 즉위하여 다시 안동김씨의 세도가 확립되자 유배에서 풀려나 한성부판윤으로 등용되었다. 이어 이조판서를 거쳐 1851년에 좌의정에 오르고 『헌종실록』 편찬 총재관(摠裁官)이 되었으며 이듬해에 영의정이 되었다.



판중추부사로 물러났다가 1862년에 이정청총재관(釐整廳摠裁官)이 되었고 1864년에 『철종실록』 편찬 때 지실록사(知實錄事)가 되었다. 이듬해 영돈녕부사로서 치사(致仕)하였다. 1848년 전라감사로 재직할 때 선정(善政)한데 대하여 도민(道民)들이 감사의 뜻을 표하기 위하여 전주에 송덕비(頌德碑)를 세워주었는데 그 비문 내용을 모아 엮은 『잡문(雜文)』이 있으며 1856년 순조대왕릉(純祖大王陵)을 천봉(遷奉) 할 때에 조대비(趙大妃)가 착어(着御)할 상복에 관한 대왕의 하순(下詢)에 응한 상소문(上蔬文)초고인 소지(所志)를 수급(受給)하였다. 순조비(純祖妃)인 순원왕후(純元王后)와는 매우 가깝게 지내 『순원왕후어필봉서(純元王后御筆封書)』에 김흥근 일가 등에게 보낸 한글 편지 33통이 남아 있다.



저서로는 『병진첩(丙辰帖)』 『유관집(游觀集)』 『유관잡록(游觀雜錄)』과 헌종과 효현왕후(孝顯王后)를 종묘에 부묘(祔廟)할 때 역대의 묘제(廟制)에 관한 고사와 학설들을 정리하고 소개한 책인 『신해조례고(辛亥祧禮攷)』 등이 있다. 지은 비문이나 상량문으로는 <윤석재시장(尹碩齋諡狀)> <서산서원비문(西山書院碑文)> <조풍은부원군신도비명(趙豊恩府院君神道碑銘)> <김응근묘갈(金應根墓碣)> <충경조공신도비명(忠敬趙公神道碑銘)> <교태전상량문(交泰殿上樑文)> 등이 있다.



필적은 순조비 순원왕후의 국상 때 존호를 올리는 일에 대한 질의(質疑)의 회답으로 추정되는 <서간문(書簡文)> 헌종~철종 대 학자들의 편지글을 모아 편집한 《간첩(簡帖)》 인조 대에서 고종 대에 활동한 인물들의 서간을 모아놓은 서간첩(書簡帖)인 《간독(簡牘)》에서 볼 수 있다.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김흥근간찰(金興根簡札)


석파정(石坡亭)

석파정(石坡亭)은 조선시대에 세워진 흥선대원군 별서(興宣大院君 別墅)에 딸린 정자이다. 1974년 1월 15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사설 미술관인 서울미술관에서 관리하고 있다.

흥선대원군 별서는 원래 철종 때 영의정을 지낸 세도가인 김흥근의 별서였다. 별서는 별장의 일종인데 잠깐 쉬었다 가는 별장과 달리 비교적 오랫동안 집 대신 거주하는 공간을 뜻한다.

김홍근이 별서를 만들기 전부터 이 일대는 경치가 좋기로 유명한 곳이다. 인근에 안평대군 이용 집터인 무계정사(武溪精舍)가 있고 윤치호의 별장인 부암정도 멀지 않다.개울 옆 바위에 소수운련암(巢水雲簾岩 - 물 속에 깃들어 구름으로 발을 건 바위)이라는 글씨를 권상하가 새겼다.김홍근은 여기에 별서를 세우고 삼계동정사(三溪洞精舍)라는 이름을 붙였다.지금도 집 옆 바위에 삼계동이라는 각자가 새겨져 있다.

흥선대원군 이하응은 이 집을 오랫동안 탐내어 김흥근에게 팔라고 요청하였지만 거절 당하였다가 임금이자 자신의 아들인 고종과 함께 방문하여 하룻밤을 묶었다. 성리학 예법에 임금이 묵은 곳을 신하가 계속하여 살 수는 없었기에 결국 김흥근이 이하응에게 집을 넘겼다고 한다.[3] 이하응은 이 별서를 무척 마음에 들어하였다. 주변 풍경이 온통 바위산이라 자신의 호 마저 석파(石坡 - 돌고개)로 바꾸었고 집 앞 개울의 정자를 석파정이라고 하였다.[4] 황현의 《매천야록》에는 김흥근이 흥선대원군의 정치개입을 막으려 하였으나 실패하였기 때문에 둘 사이에 정치적 알력이 있었다고 전한다.

흥선대원군이 죽은 뒤 별서는 그의 후손인 이희 이준 이우의 별장으로 세습되며 사용되어오다가 한국전쟁 후에는 천주교가 경영하는 코롬바고아원으로 사용되었다. 그 이후 병원으로 쓰이거나 개인 소유가 되는 등 자주 소유권이 이전되었고 경매에도 여러 차례 등장하였다. 2004년 12월 개인 소유자가 부채 10억원을 감당하지 못하게 되자 감정가 75억4천600만원으로 경매에 나왔으나 두차례 유찰되어 감정가의 64%인 48억2천900만원까지 떨어졌다. 경매에 나온 곳은 1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지정돼 있는 1천여평을 제외한 나머지 약 88.9%의 부지가 개발제한구역과 문화재보호구역 군사시설보호구역 등으로 묶여 있어 낙찰이 쉽지 않았다.

2006년 1월 13일 의약품 유통업체인 유니온약품그룹의 안병광 회장이 익명으로 응찰하여 감정가의 83%인 63억1천만원에 낙찰하였다.[9] 안병광은 석파정 입구에 사설 서울미술관을 개관하고 그가 평소 수집하던 이중섭의 그림들을 전시하면서 미술관이 석파정을 관리하도록 하였다.

흥선대원군 별서는 안채와 사랑채 별채와 같은 살림채로 이루어져 있고 석파정은 중국풍으로 지은 정자이다.

별서의 사랑채는 담으로 둘러쌓인 안채와 떨어져 담 밖에 따로 지었다. ㄱ 자로 꺽어 지은 사랑채의 앞에는 서울시 지정 보호수 60호인 오래된 소나무가 있다.

안채는 중부지방의 전형적인 ㅁ 자 구조의 살림채이다. 사랑채와 안채의 담 사이로 누대로 올라가는 홍예문이 있다. 홍예문을 지나 높은 곳에 마련된 누대에는 유수성중관풍루(流水聲中觀楓樓 - 흐르는 물소리 속에서 단풍을 구경하는 누대)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별서와 조금 떨어져 중국풍으로 지은 정자인 석파정이 있다. 이 정자는 김흥근이 삼계동정사를 지을 당시에 지었다는 설도 있지만 아무런 기록이 없어 언제 지어졌는 지 불명확하다. 대원군이 직접 정자를 짓도록 하고 이름을 붙였을 수도 있고 원래 있던 정자의 이름만 석파정이라 바꾸었을 수도 있다. 전통적인 한국의 정자와 달리 바닥을 화강암으로 마감하고 기둥에 꾸밈벽을 달고 지붕 역시 청나라 풍으로 꾸몄다.

석파정 앞에는 원래 중국식으로 지은 별서가 한 채 더 있었다고 한다. 석파정에 있던 중국식 별서는 현재 한식 요리집 한 켠으로 옮겨져 있으며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23호 석파정 별당으로 등록되어 있다.


,

유관집(游觀集)

조선후기 문신 김흥근의 시·소·의·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10권 6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집경위는 미상이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에 시 권3·4에 소(疏)·차(箚) 권5·6에 주(奏)·계(啓)·의(議) 권7에 서(序)·기(記)·발(跋)·명(銘)·송(頌)·전(箋)·상량문 권8에 응제문·제문·비명·묘지명·묘표·잡저 권9·10에 가장·시장(諡狀)이 수록되어 있다.
시 126수는 대부분 자연이나 계절 또는 여행을 주제로 한 것이다. 「효현왕후만장(孝顯王后輓章)」을 비롯한 「춘첩(春帖)」·「연상(延祥)」 등 궐내와 관련된 시도 많다.
「연연구(硯聯句)」·「옥류천연구(玉流泉聯句)」·「소향연구(燒香聯句)」·「오동연구(梧桐聯句)」·「자명종연구(自鳴鐘聯句)」·「주연구(酒聯句)」 등의 연구는 시제(詩題)를 임금이 내고 여러 문신들이 한 구씩 짓는 방식을 취하였다.
어제(御題)와 이에 연달아 작구(作句)한 문신들의 이름이 부기되어 있다.주·계·의 등에는 당시의 시정을 논한 것이 많다.
「청장성진안대동군보허이전포계(請長城鎭安大同軍保許以錢布啓)」는 장성·진안 지방의 대동미와 군포를 돈 또는 포로 내게 해달라는 내용이다. 그밖에 당시의 국가적인 주요 사건과 행사에 대한 저자의 관심을 알 수 있는 자료들이 많다.
서에는 흰 꿩이 잡힌 것을 길조라고 칭송한 「백치서(白雉序)」 한 포기에 옥수수 16자루가 달린 것을 칭송한 「옥당서(玉䅯序)」 영흥 학계(學稧)의 결성을 기록한 「내원계서(來遠稧序)」 심을 논한 「인심도심도서(人心道心圖序)」 등이 있다.
기에는 평양의 「연광정중수기(練光亭重修記)」와 자기 소유의 정자에 대한 「일엽정기(一葉亭記)」 등이 있다.
김조순(金祖淳)의 문집에 대한 「풍고집발(楓皐集跋)」 박순(朴淳)의 문집에 대한 「사암집발(思菴集跋)」 「영남루중건상량문(嶺南樓重建上樑文)」 등이 실려 있다.
애책(哀冊)·옥책(玉冊)·친제문(親祭文)·사제문(賜祭文) 등 15편의 응제문(應製文)과 제문·비명·묘지명·묘표 등에서 저자의 정치·사회적 위치를 엿볼 수 있다.
잡저의 「완언(莞言)」에는 당시의 견문을 모았고 부록에는 저자에게 내린 「대교교지(待敎敎旨)」·「전라감사교서(全羅監司敎書)」 등의 교지·교서와 시호(諡號)를 내려달라고 임금에게 건의하며 생전의 행적을 적은 시장(諡狀)을 실었다.,

1813..순조 13년생원(生員)
순조(純祖) 13년(1813) 계유(癸酉) 증광시(增廣試) [생원] 3등(三等) 63위(93/100)
1825..순조 25년문과(文科)
순조(純祖) 25년(1825) 을유(乙酉) 알성시(謁聖試) 병과(丙科) 2위(04/05)
1825.04.25순조 25년가주서(假注書)

1825.09.12순조 25년설서(說書)

1826.03.15순조 26년대교(待敎)

1826.04.01순조 26년검열(檢閱)

1828.09.20순조 28년문겸(文兼)

1828.10.17순조 28년필선(弼善)

1828.10.25순조 28년부응교(副應敎)

1829.01.07순조 29년사복시정(司僕寺正)

1829.02.17순조 29년동학교수(東學敎授)

1829.06.11순조 29년집의(執義)

1829.09.15순조 29년동부승지(同副承旨)

1829.12.15순조 29년공조참의(工曹叅議)

1830.04.72순조 30년이천부사(伊川府使)

1830.08.12순조 30년좌부승지(左副承旨)

1830.09.17순조 30년겸보덕(兼輔德)

1830.10.05순조 30년좌승지(左承旨)

1831.03.27순조 31년안악군수(安岳郡守)

1832.06.25순조 32년대사성(大司成)

1834.06.25순조 34년이조참의(吏曹參議)

1835.01.12헌종 1년전라감사(全羅監司)

1837.01.20헌종 3년돈녕도정(敦寧都正)

1837.04.10헌종 3년형조참판(刑曹參判)

1838.06.23헌종 4년도승지(都承旨)

1838.07.26헌종 4년호조참판(戶曹參判)

1839.04.03헌종 5년이조참판(吏曹參判)

1839.05.10헌종 5년직제학(直提學)

1839.07.13헌종 5년예조참판(禮曹參判)

1840.06.29헌종 6년형조참판(刑曹參判)

1841.02.27헌종 7년평안감사(平安監司)

1842.09.23헌종 8년대사헌(大司憲)

1842.12.03헌종 8년한성판윤(漢城判尹)

1842.12.25헌종 8년공조판서(工曹判書)

1843.03.08헌종 9년홍문제학(弘文提學)

1843.05.10헌종 9년형조판서(刑曹判書)

1843.06.14헌종 9년예문제학(藝文提學)

1843.07.03헌종 9년호조판서(戶曹判書)

1843.09.02헌종 9년예조판서(禮曹判書)

1844.01.06헌종 10년병조판서(兵曹判書)

1844.06.21헌종 10년형조판서(刑曹判書)

1845.07.10헌종 11년이조판서(吏曹判書)

1846.07.14헌종 12년좌참찬(左參贊)

1848.04.02헌종 14년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1848.06.27헌종 14년경상감사(慶尙監司)

1849.12.26철종 즉위년한성판윤(漢城判尹)

1851.01.15철종 2년이조판서(吏曹判書)

1851.02.07철종 2년좌의정(左議政)

1852.01.20철종 3년영의정(領議政)

1865.01.09고종 2년봉조하(奉朝賀)

1870.08.17고종 7년졸기(卒記)
봉조하(奉朝賀) 김흥근(金興根)이 졸하였다. 전교하기를 "이 대신은 단정하고 밝은 자질과 세밀한 재간을 가지고 네 조정을 내리 섬겼으며 과인이 즉위한 뒤에는 벼슬에서 물러나 한가하게 지냈지만 정력은 여전히 왕성하였는데 이제 부고 단자를 받고 보니 슬픈 마음을 비길 데가 없다. 졸한 봉조하 김흥근에게 은졸지전(隱卒之典)을 규례대로 거행하며 성복일(成服日)에는 승지(承旨)를 보내어 치제(致祭)하고 3년 동안 녹봉을 실어 보내도록 하라." 하였다.
1874.12.17고종 11년시호(諡號) 충문(忠文)
廬國忘家(여국망가) 勤學好問(근학호문)나라일을 걱정하여 집안일을 잊음이 충이요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다.

안동김씨대종중
문정공(상헌)파
흥근(興根)
자(字)기경(起卿)
호(號)유관(游觀)
시호(諡號)충문(忠文) 事君盡節(사군진절) 勤學好問(근학호문) 임금을 섬김에 충
절을 다함이 충이요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다
.1874
생(生)1796년 병진(丙辰) 9월 15일
관직(官職)계유(癸酉)생원(生員)
을유(乙酉)문과(文科)
한각(翰閣)
영의정(領議政)
기사(耆社)
저서(著書)유관집(游觀集)
졸(卒)1870년 경오(庚午) 8월 17일
배(配)증(贈)정경부인(貞敬夫人)청송심씨(靑松沈氏)
생(生)1796년 병진(丙辰) 월 일
졸(卒)1838년 무술(戊戌) 1월 5일
묘(墓)포천시(抱川市) 일동면(一東面) 기산리(機山里) 소야(蘇野)
 표(表)는 영상(領相) 이경재(李景在)가 짓고(撰) 좌상(左相) 송근수(
 宋近洙)가 썼다(書) 전면(前面)은 판서(判書) 이시민(李時敏)이 썼다(
 書)
임좌(壬坐) 합폄(合窆)
 부(父)생원(生員) 능직(能直)
 조(祖)판서(判書) 풍지(豐之)
 증조(曾祖)군수(郡守) 증(贈)판서(判書) 구(銶)
 외조(外祖)김두칠(金斗七) 본(本) 광산(光山)
20 세21 세22 세23 세24 세
달행(達行)이기(履基)용순(龍淳)유근(逌根)병주(炳㴤)
병도(炳陶)
이인기(李寅夔)
조장호(趙章鎬)
조병기(趙秉夔)
손근(遜根)
황종일(黃鍾一)
홍훈(洪壎)
명순(明淳)
이건원(李健源)
윤수익(尹守翼)
이중(履中)조순(祖淳)유근(逌根)
원근(元根)병지(炳地)
병원(炳阮)
병육(炳陸)
심의훈(沈宜薰)
좌근(左根)병기(炳冀)
순원숙황후(純元肅皇后)문조익황제(文祖翼皇帝)
명온공주(明溫公主)
복온공주(福溫公主)
덕온공주(德溫公主)
남구순(南久淳)
이겸재(李謙在)
이긍우(李肯愚)
이병익(李秉益)
평순(平淳)우근(芋根)병목(炳穆)
이심재(李審在)
이장소(李章紹)
홍희명(洪羲命)
심능극(沈能極)
이경(履慶)명순(明淳)홍근(弘根)병계(炳溎)
병주(炳㴤)
송익노(宋益老)
윤태건(尹泰健)
이범학(李範學)
응근(應根)병시(炳始)
병이(炳怡)
병치(炳治)
흥근(興根)병덕(炳德)
홍원종(洪原鍾)
이근(儞根)병무(炳武)
병식(炳式)
신권(申權)
이득상(李得祥)
송재위(宋載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