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의정(領議政)  김창집(金昌集)


자는 여성(汝成) 호는 몽와(夢窩)이다. 좌의정 김상헌(金尙憲)의 증손이며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들로 중부(仲父)는 김수흥(金壽興)이다. 김창협(金昌協) · 김창흡(金昌翕) · 김창업(金昌業) · 김창집(金昌緝) · 김창립(金昌立)의 형이다. 6형제가 모두 문장의 대가로 육창(六昌)으로 불렸다. 모친은 안정나씨(安定羅氏) 성두(星斗)의 딸이다.

1673년 동생 김창흡과 함께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에 합격하였다. 1675년 부친 김수항이 화를 입고 영암(靈巖)에 유배된 이후로는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다. 1678년 부친이 철원(鐵原)으로 양이되자 함께 영평(永平) 백운산(白雲山) · 용화산(龍華山) 삼부연(三釜淵) 등을 유람하였다.

1680년 환국 뒤 부친이 영의정이 된 이듬해 내시교관이 되었다. 1684년 장악원 주부 · 공조좌랑이 되고 9월에 정시문과(庭試文科)에 을과(乙科) 1위로 합격 예조 좌랑 · 전적이 되었다. 이듬해에 정언 · 지평 · 경기 도사(都事)를 거쳐 1686년 부수찬이 되고 이조 좌랑이 되어 교서관 교리를 겸하였다.

1689년 기사환국 뒤 중부 김수흥과 부친이 유배되자 부친을 따라 진도(珍島)로 갔으며 부친이 유배지에서 사사(賜死)되자 영평의 백운산 송노암(送老菴)에 은거하면서 「두시집구(杜詩集句)」를 지었다. 1694년 갑술환국으로 정국이 바뀌어 부친이 복관(復官) 사제되고 동부승지 · 예조 참의 · 대사간 · 형조 참의에 임명되었지만 모두 나아가지 않았다. 그 뒤 철원(鐵原) 부사를 제수 받았는데 이 때 큰 기근이 들고 도둑이 들끓어 민정이 소란하자 관군을 이끌고 토평하였다. 강화유수 · 예조참판 · 개성유수 등을 역임하고 호조 · 이조 · 형조의 판서를 지냈다. 약방 제조 · 관상감 제조 · 진휼청 제조 등을 겸하였고 한성부판윤 · 우의정 이어서 좌의정에까지 이르렀다.

1712년에는 사은사로 청나라에 갔다가 이듬해 귀국 청나라의 사정을 보고하였고 서로(西路)의 민폐를 상소하였다. 이 해에 숙종이 화원화가(僻隱) 진재해(秦再奚)로 하여금 초상화를 그리게 하였다. 1717년 기로사(耆老社)에 들어갔고 영의정에 올랐다. 노론으로서 숙종 말년 세자의 대리청정을 주장하다가 소론의 탄핵을 받았고 1720년 숙종이 승하하자 영의정으로 원상이 되어 서정(庶政)을 맡았다.

경종이 즉위하여 자녀가 없자 후계자 선정문제로 노론 · 소론이 대립하였다. 이 때 영중추부사 이이명(李頤命) · 판중추부사 조태채(趙泰采) · 좌의정 이건명(李健命) 등과 함께 노론 4대신으로서 연잉군〔延祁君 영조〕을 왕세자로 세우기로 상의하고 김대비(숙종의 계비)의 후원을 얻었다. 경종의 비 어씨와 국구(國舅)인 어유구(魚有龜) · 사직 유봉휘(柳鳳輝) 등의 격렬한 반대가 있었지만 결국 실행하게 되었다. 1721년 다시 왕세제(王世弟)의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상소하여 경종은 대소 정사를 왕세제에게 맡길 것을 허락하였으나 소론의 반대로 실패하였다.

수개월 뒤 소론의 극렬한 탄핵으로 노론이 축출되고 소론 일색의 정국이 되었다. 곧 이어 소론의 김일경(金一鏡) · 목호룡(睦虎龍) 등이 노론의 반역도모를 무고하여 신임사화가 일어나자 왕위 계승자를 정하는 일과 대리를 청한 노론 4대신의 안치를 청하여 거제도에 위리안치 되었고 아들 김제겸은 울산으로 유배되었다. 이듬해 성주에서 사사(賜死)되고 아들은 부령 적소에서 사사되었으며 가솔들은 7군으로 유배되었다. 1724년 영조 즉위 후 관작이 복구되었다.

시호는 충헌(忠獻)이다. 영조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고 영조 때 과천의 사충서원(四忠書院)에 이이명 · 조태채 · 이건명과 함께 배향되었으며 거제의 반곡서원(盤谷書院)에도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국조자경편(國朝自警編)』 · 『몽와집(夢窩集)』 등이 있다. 『몽와집』권1 뒤에는 정조(正祖)가 본집을 을람(乙覽)한 뒤 지은 칠언절구 「람몽와유고(覽夢窩遺稿)」가 추록(追錄)되어 있다.

찬문으로는 <김성대묘비(金聲大墓碑)>가 있으며 필적은 해창위기실 앞으로 보낸 간찰이 남아있다.




현종(顯宗) 14년(1673) 계축(癸丑) 식년시(式年試) [진사] 2등(二等) 6위
[문과] 숙종(肅宗) 10년(1684) 갑자(甲子) 정시(庭試) 을과(乙科) 1[亞元]위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김창집간찰(金昌潗簡札)


김창집묘(金昌集)

여주시 대신면 초현리

초현리 아랫새재마을의 좌측 구릉에 위치한 안동김씨세장지의 가장 윗부분에 자리 잡고 있다. 묘역에는 혼유석(높이 15 폭 93 두께 44) 상석(높이 41 폭 146 두께 91) 고석(높이 21 폭 35 두께 35) 향로석(높이 39 폭 37 두께 24) 망주석(높이 173 폭 60 두께 60) 배설석(排設石 높이 8 폭 42 두께 184)의 옛 석물이 갖추어져 있는데 모두 장식성보다는 기능성을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봉분 앞에는 방부개석 양식의 묘표(총 높이 약 207)가 건립되어 있다. 오석(烏石)의 비신(높이 131 폭 55 두께 26) 앞면에 대예(大隸)로 “유명조선국(有明朝鮮國) 영의정(領議政) 몽와(夢窩) 김공창집지묘(金公昌集之墓) 정경부인(貞敬夫人) 반남박씨(潘南朴氏) 부(祔)”라고 쓰여 있어 피장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나머지 삼면(三面)에는 아무런 기록도 없어 정확한 건립연대를 파악할 수 없는 실정이다. ,

몽와집(夢窩集)

조선후기 문신 김창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58년(추정)에 간행한 시문집.
이 책은 김창집의 종손 김원행(金元行)의 후서(後序)로 보아 1758년(영조 34)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10권 5책. 목판본.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도잠(陶潛)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 화답한 사(辭) 1편과 약 170수의 시가 실려 있다. 또한 현존본은 문집이 이루어진 뒤 정조가 지은 시 1수가 추록(追錄)되어 있다.
권2도 역시 시가 실려 있는데 총 110수 정도이다. 만시(挽詩)와 명릉지감(明陵志感) 등이 실려 있다.
권3은 「연행훈지록(燕行塤篪錄)」이라는 제목이 붙은 시를 수록한 것이다. 1705년(숙종 31) 그가 동생 김창업(金昌業)과 함께 사은사(謝恩使)로 중국에 다녀오면서 형제가 서로 시를 지어 화답한 내용이다.
앞부분에 김창흡(金昌翕)의 서문이 있고 끝에는 그와 함께 노론사대신의 한 사람이었던 이이명(李頤命)의 제문(題文)이 붙어 있다.
이 시는 비록 청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온 내용을 담고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유교의 춘추대의(春秋大義)와 정치적인 배청의식(排淸意識)이 강렬하게 노출되어 있는 점이 돋보인다.
또한 초두에 사신으로 떠날 때 숙종이 지어준 어제시(御製詩) 2수가 실려 있다.
권4는 「남천록(南遷錄)」이라는 제목이 붙은 시이다. 그의 말년에 거제도(巨濟島)로 귀양가는 동안과 그곳에 있을 때의 시문들과 당시 정치적 문제에 대한 간략한 기술이 덧붙어 있다.
700구가 넘는 「술회(述懷)」라는 장편과 사약을 받고 죽을 때 지은 「절필(絶筆)」 등이 그 사정을 짐작하게 한다.
이밖에 두보(杜甫)의 시에서 뽑아놓은 32수의 「두시집구(杜詩集句)」와 위응물(韋應物)의 시 21수를 수록한 「위시집구(韋詩集句)」 등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권5에서 권9까지는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밝힌 상소문이다. 대개 내용은 노론의 편에서 소론을 반박한 것이거나 자신의 감회와 입장을 밝힌 것 시폐(時弊)를 논한 것 등이다.
권9의 「정청파후여삼대신연명청대리차(庭請罷後與三大臣聯名請代理箚)」는 병약한 경종에게 세자인 영조를 대리청정(代理廳政)하게 하자는 내용으로 자신을 죽음으로 몰게 한 상소문이다.
권10은 21수의 의(議)로서 평소 복제(服制)·과거(科擧) 등 주요한 문제에 대해 건의한 내용을 수록한 것이다.
끝부분에 아들 김제겸(金濟謙)의 시문집 『죽취고(竹醉藁)』가 부록으로 함께 붙어 있다.김창집은 사상적으로 크게 중요한 업적을 남기지는 않았지만 형제들의 학문적 경향이나 가학(家學)의 계통으로 보아 이이(李珥)에서 송시열(宋時烈)로 이어지는 기호학파(畿湖學派)에 가까운 것으로 여겨진다.
전체적으로 시문은 강한 정치적 특성을 보이는 반면 시에서는 평화진담(平和眞澹)의 기풍을 느낄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시를 자평하여 “첩문(疊文)·첩운(疊韻)을 꺼리지 않고 기실(記實)에 치중한다.”고 하였다.,

일묘사충(一廟四忠)

여주시 대신면 초현리

초현리 아랫새재마을의 안동김씨세장지 내에 건립되어 있는 정려문이다.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좌우에 방풍벽을 설치하였다. 처마 밑에는 후손이자 근래의 명필인 여초(如初) 김응현(金膺顯)이 대예(大隷)로 쓴 일묘사충지문(一廟四忠之門)이란 편액이 걸려 있는데 이는 하나의 정려문에 충신 네 명의 정려문을 안치했다는 뜻이다.

사충(四忠)이란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사사(賜死)된 문곡(文谷) 김수항(金壽恒 1629~1689)과 1722년(경종 2) 신임사화 때 죽임을 당한 그 아들 몽와(夢窩) 김창집(金昌集 1648~1722) 손자 죽취(竹醉) 김제겸(金濟謙 1680~1722) 증손자 취백헌(翠柏軒) 김성행(金省行 1696~1722)을 말함이다.

이들은 모두 노론의 핵심 인물들로서 극심한 정쟁에서 희생당했으나 훗날 전부 신원(伸寃)되고 충신으로 추앙받았다.

그러나 정려문 내부에는 무슨 연유에서인지 김성행의 정려문판만 걸려 있을 뿐 나머지 세 명의 것은 보이지 않는다.

김성행의 정려문판에는 대자(大字)로 충신(忠臣) 증대광보국숭록대부(贈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 겸영경연(兼領經筵) 홍문관(弘文館) 예문관(藝文館) 춘추관(春秋館) 관상감사(觀象監事) 시충정공(諡忠正公) 김성행지문(金省行之門)이라 하고 소자(小字)로 정종(正宗) 갑진(甲辰 1784 정조 8) 팔월(八月) 명정(命旌) 금상(今上) 무오(戊午 1858 철종 9) 삼월(三月) 일(日) 가증상상(加贈上相)이라 각자하였다. ,

사충서원()

경기도 하남시에 있는 조선후기 김창집 등 4인의 선현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 교육시설.

1725년(영조 1) 노론 4대신인 김창집(金昌集)·이이명(李頤命)·이건명(李健命)·조태채(趙泰采)를 제향하기 위하여 노론계 관료와 유생이 추진하고 국가의 보조에 의하여 경기도 과천에 건립되었다.이들 4대신은 경종 때 왕세제(王世弟)주 01)를 책봉하고 대리청정(代理聽政)을 하는 문제로 소론의 미움을 사서 1722년(경종 2) 노론계의 역모사건(신임옥사)에 연루되어 죽음을 당하였는데, 왕세제가 영조로 즉위한 뒤 노론정권이 수립되면서 신원(伸寃)되고 서원이 건립된 것이다.건립과 동시에 국가로부터 사액을 받았다. 그러나 1727년의 정미환국(丁未還局)으로 소론정권이 들어서서 신임옥사를 역(逆)으로 번복하고 4대신을 다시 죄인으로 만들자 이 서원도 따라서 철폐되었다.그 뒤 1740년의 경신처분(庚申處分)으로 4대신이 다시 충신으로 판정되었으나, 한동안 재건되지 않다가 소론세력이 완전히 몰락한 1756년에야 서원을 복설하고 사충서원이라 부르게 하였다.이와 같이, 이 서원은 노론·소론 사이의 시비여하에 따라 철폐와 복설이 거듭되는 우여곡절을 겪을 만큼 당색을 강하게 지니고 있었으나, 영조 이후의 역대 왕들이 모두 영조의 후손이었던 관계로 영조에게 충성을 다한 4대신의 서원이라 하여 특별한 은전(恩典)을 받았다.이에 따라 대원군에 의한 서원철폐 단행 때도 훼철되지 않고 존속되었다. 그 후 1927년 봄에 이 곳이 철도용지(鐵道用地)로 편입됨에 따라 당시 고양군 한지면 보광동(현재의 서울특별시 보광동)으로 이건하였다가 6·25때 파괴되었다. 1968년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으며, 매년 봄·가을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문정공(상헌)파
창집(昌集)
자(字)여성(汝成)
호(號)몽와(夢窩)
시호(諡號)충헌(忠獻)危身奉上(위신봉상) 嚮忠內德(향충내덕)자기 몸이 위태로우면서도
임금을 받듦이 충(忠)이요 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 있음이 헌이다.1
753
생(生)1648년 무자(戊子) 10월 29일
관직(官職)계축(癸丑)진사(進士)
갑자(甲子)문과(文科)
영의정(領議政)
기사(耆社)
저서(著書)몽와집(夢窩集) 국조자경편(國朝自警編)
 영조세실묘정(英祖世室廟庭)에 배향(配享).경종 때 연잉군(후일의 영조)의
  세제 대리청정을 주장했다가 소론에 의해 역모로 몰려 이이명 조태채 이건
 명 및 아들 김제겸 손자 김성행 등과 함께 사사되어 이를 신임사화라 부른
 다.
졸(卒)1722년 임인(壬寅) 5월 2일
배(配)정경부인(貞敬夫人)반남박씨(潘南朴氏)
생(生)1646년 병술(丙戌) 월 일
졸(卒)1716년 병신(丙申) 11월 6일
묘(墓)여주시(驪州市) 대신면(大神面) 초현리(草峴里)
 묘지(誌)는 좌의정(左相) 민진원(閔鎭遠)이 짓고 묘표전면(墓表前面)은
 아들 제겸(濟謙)이 썼다. 부인(夫人) 묘지(誌)는 동생 창흡(昌翕)이
 지었다. 四世 묘정(墓庭)에 비(碑)를 세우고 추기(追記)하였다. 표석(
 表石) 에 행적을 아직도 새기지 않았다
을좌(乙坐) 합폄(合窆)
 부(父)세남(世楠)
 조(祖)대사헌(大司憲) 황(潢)
 증조(曾祖)시정(寺正) 동언(東彦)
 외조(外祖)참판(叅判) 이행진(李行進) 본(本) 전의(全義)
15 세16 세17 세18 세19 세
상헌(尙憲)광찬(光燦)수증(壽增)창국(昌國)치겸(致謙)
최겸(最謙)
익겸(益謙)
의겸(宜謙)
이하조(李賀朝)
영빈(寧嬪)
창숙(昌肅)호겸(好謙)
창직(昌直)일겸(逸謙)
퇴겸(退謙)
송필휴(宋必休)
홍문도(洪文度)
이병천(李秉天)
신진화(申鎭華)
유명건(兪命健)
수흥(壽興)
수항(壽恒)창집(昌集)제겸(濟謙)
호겸(好謙)
민계수(閔啓洙)
민창수(閔昌洙)
창협(昌協)숭겸(崇謙)
서종유(徐宗愈)
이태진(李台鎭)
운(雲)
박사한(朴師漢)
유수기(兪受基)
창흡(昌翕)양겸(養謙)
치겸(致謙)
후겸(厚謙)
윤세량(尹世亮)
이덕재(李德載)
창업(昌業)우겸(祐謙)
언겸(彦謙)
신겸(信謙)
비겸(卑謙)
윤겸(允謙)
조문명(趙文命)
이관(李灌)
이협(李浹)
창즙(昌緝)용겸(用謙)
이망지(李望之)
창립(昌立)후겸(厚謙)
이언신(李彦臣)
이섭(李涉)
수징(壽徵)창석(昌碩)희겸(喜謙)
세겸(世謙)
창엽(昌曄)
창발(昌發)
창술(昌述)부겸(富謙)
귀겸(貴謙)
우겸(愚謙)
정노언(鄭魯彦)
정(鄭)
한재중(韓在中)
이보택(李普澤)
창필(昌弼)택겸(宅謙)
충겸(忠謙)
홍겸(弘謙)
조명주(趙鳴周)
조명석(趙鳴奭)
창실(昌實)지겸(智謙)
성겸(聖謙)
창길(昌吉)목겸(牧謙)
석겸(奭謙)
숙겸(肅謙)
직겸(稷謙)
식겸(軾謙)
이기상(李麒祥)
임치도(任致道)
임이도(任履道)
임택(林澤)
이작(李綽)
수응(壽應)창엽(昌曄)도겸(道謙)
덕겸(德謙)
휘겸(撝謙)
존겸(尊謙)
손집(孫鏶)
신혜동(辛惠東)
송상문(宋相文)
송병선(宋炳先)
이침(李綝)
윤사발(尹師發)
박성한(朴聖漢)
이창지(李昌祉)
박재신(朴再新)
수칭(壽稱)창진(昌震)종겸(宗謙)
창언(昌彦)낙겸(樂謙)
이흥규(李興奎)
신성구(申聖逑)
이장온(李長溫)
이동수(李東秀)
박상의(朴相誼)
임소(林蘇)
이욱(李煜)
이희정(李禧鼎)
수능(壽能)창복(昌復)인겸(仁謙)
유상익(柳相翼)
이제광(李濟廣)
이표(李杓)
이기한(李箕漢)
창시(昌始)의겸(義謙)
서문영(徐文永)
권상요(權相堯)
신재화(申載華)
이정악(李挺岳)
홍주천(洪柱天)
이중휘(李重輝)
송규렴(宋奎濂)
이광직(李光稷)
허서(許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