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 | 용겸(用謙) |
자(字) | 제대(濟大) |
호(號) | 교교재(嘐嘐齋) |
생(生) | 1702년 임오(壬午) 5월 23일 |
관직(官職) | 음(蔭)공조(工曹)판서(判書) |
저서(著書) | 효효재집(嘐嘐齋集) |
| 신임사화에 의해 백부 김창집(金昌集)이 사사될 때 전주로 유배되었다가 四 |
| 년 만에 풀려났다. 그 뒤 이재(李縡)·박필주(朴弼周)와 더불어 경서와 |
| 예설을 강론하였다. 一七四五년(영조 二一)에 경행(經行)으로 만녕전참봉( |
| 萬寧殿參奉)에 제수되고 이듬 해 공릉참봉(恭陵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모두 |
| 나아가지 아니하였다.一七四八년에 선공감감역(繕工監監役)에 제수된 이후 여 |
| 러 벼슬을 거쳐 一七七八년 특례로 우승지에 임명된 후 소대(召對)에 자주 |
| 나아가서 군신간의 정의가 두터웠는데 경사백가(經史百家)로부터 국조헌장( |
| 國朝憲章)에 이르기까지 두루 토론하였다.권신 홍국영(洪國榮)의 뒷받침으로 |
| 추천된 송덕상(宋德相)의 사람됨에 대한 왕의 물음을 받고 그의 부적함을 |
| 진언하기도 하였다. 一七八四년에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에 오르고 一 |
| 七八六년에 공조판서가 되었다. |
졸(卒) | 1789년 기유(己酉) 2월 7일 |
배(配) | 증(贈)정부인(貞夫人)청송심씨(靑松沈氏) |
생(生) | 1701년 신사(辛巳) 월 일 |
졸(卒) | 1764년 갑신(甲申) 7월 26일 |
묘(墓) | 진천 이곡면 사지(獅池) |
| 건좌(乾坐) 합폄(合窆) |
부(父) | 참판(叅判) 기(琪) |
조(祖) | 참의(叅議) 수량(壽亮) |
증조(曾祖) | 부윤(府尹) 황(녴) |
외조(外祖) | 음(蔭)감사(監司) 김진옥(金鎭玉) 본(本) 광산(光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