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영의정(贈領議政)  김성행(金省行)


자는 사삼(士三)이고 호는 취백헌(翠柏軒)이다.

고조는 김상헌(金尙憲)이고 증조부는 김수항(金壽恒)이며 조부는 영의정(領議政) 충헌공(忠獻公) 김창집(金昌集)이다. 부친 증좌찬성(贈左贊成) 김제겸(金濟謙)과 모친 송병문(宋炳文)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1722년(경종 2)에 목호룡(睦虎龍)이 상소를 올려서 병기와 독약으로써 임금을 시해하려는 역적 무리를 보고하였는데 김성행(金省行)도 김민택(金民澤)‧김용택(金龍澤)‧심상길(沈尙吉)‧오서종(吳瑞鍾)‧이기지(李器之)‧이희지(李喜之)‧장세상(張世相)‧정인중(鄭麟重)‧조흡(趙洽)‧홍의인(洪義人)‧홍철인(洪哲人) 등과 함께 그 무리 속에 포함되었다. 이 일을 계기로 국청(鞫廳)에 잡혀 들어가서 심문을 당하였다.

국문(鞠問) 도중 그는 한마디 말도 하지 않았으며 충의와 절개를 지켰다. 수차례의 곤장을 맞으면서도 『예기(禮記)』의 구절을 인용하며 군자(君子)는 머리를 꼿꼿하게 세워야 한다고 말하고 흐트러짐이 없었다. 그러나 거듭되는 심문으로 27세의 나이에 요절하였다.

1725년(영조 1)에 신임사화 때 죽임을 당하였던 자들이 무고하다는 사실이 밝혀져서 신원이 회복되었으며 지평(持平)에 추증되었다. 이후 이조참의(吏曹參議)‧이조참판(吏曹參判)‧영상(領相)에 차례대로 가증(加贈)되었다. 또한 그의 충절을 기리는 정려(旌閭)를 하사받았고 시호 충정(忠正)도 하사받았다.







불천위 : 충정공(忠正公) 김성행(金省行)에게 부조(不祧)의 은전(恩典)017) 을 시행하소서.

하니, 임금이 이르기를,

김 충정(金忠正)의 높은 충성과 높은 절의는 다만 나만이 세상에 드문 느낌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이미 두 성조(聖朝)에서도 포가(褒嘉)의 전교(傳敎)를 내리셨으니, 아뢴 대로 시행하라.

하였다.
불천위일자 : 1858.03.20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일묘사충(一廟四忠)

여주시 대신면 초현리

초현리 아랫새재마을의 안동김씨세장지 내에 건립되어 있는 정려문이다.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좌우에 방풍벽을 설치하였다. 처마 밑에는 후손이자 근래의 명필인 여초(如初) 김응현(金膺顯)이 대예(大隷)로 쓴 일묘사충지문(一廟四忠之門)이란 편액이 걸려 있는데 이는 하나의 정려문에 충신 네 명의 정려문을 안치했다는 뜻이다.

사충(四忠)이란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으로 사사(賜死)된 문곡(文谷) 김수항(金壽恒 1629~1689)과 1722년(경종 2) 신임사화 때 죽임을 당한 그 아들 몽와(夢窩) 김창집(金昌集 1648~1722) 손자 죽취(竹醉) 김제겸(金濟謙 1680~1722) 증손자 취백헌(翠柏軒) 김성행(金省行 1696~1722)을 말함이다.

이들은 모두 노론의 핵심 인물들로서 극심한 정쟁에서 희생당했으나 훗날 전부 신원(伸寃)되고 충신으로 추앙받았다.

그러나 정려문 내부에는 무슨 연유에서인지 김성행의 정려문판만 걸려 있을 뿐 나머지 세 명의 것은 보이지 않는다.

김성행의 정려문판에는 대자(大字)로 충신(忠臣) 증대광보국숭록대부(贈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 겸영경연(兼領經筵) 홍문관(弘文館) 예문관(藝文館) 춘추관(春秋館) 관상감사(觀象監事) 시충정공(諡忠正公) 김성행지문(金省行之門)이라 하고 소자(小字)로 정종(正宗) 갑진(甲辰 1784 정조 8) 팔월(八月) 명정(命旌) 금상(今上) 무오(戊午 1858 철종 9) 삼월(三月) 일(日) 가증상상(加贈上相)이라 각자하였다. ,

문정공(상헌)파
성행(省行)
자(字)사삼(士三)
호(號)취백헌(翠栢軒)
시호(諡號)충정(忠正)危身奉上(위신봉상) 以正服之(이정복지)자기몸이 위태로우면서도
임금을 받듦이 충이요 정도로써 복종시킴이 정이다.1851
생(生)1696년 병자(丙子) 12월 10일
관직(官職)증(贈)영의정(領議政)
 경종임인(景宗壬寅) 목호룡(睦虎龍)의 변서사건(燮書)에 화를 입었는데 위
 관(委官)이거짓 공조를 받아내어 국본(國本)을 세우는 계획이 흔들릴까 하
 여 부졸(府卒)에게 부탁하여 머리털을 위로 묶게 하였다. 곤장을 이기지
 못하여 머리를 조금 흔들면 승복한 것으로 할까 두려워서 였다. 종아리 뼈
 가 모두 부서져 숨이끊어져 가도 끝내 공사(供辭)를 바꾸지 않아서 저위(
 儲位)가 안전하게 되었다.五월十九일 마침내 옥중에서 사망하였다. 영조을사
 (英祖乙巳)에 신원(伸雪)이 되었고 여러차례에 걸쳐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특명으로 부조를 명하고 일묘사충(一廟四忠) 이라는 묘액(廟額)을 친히 써
 서 내리었 다 .
졸(卒)1722년 임인(壬寅) 5월 19일
배(配)증(贈)정경부인(貞敬夫人)풍산홍씨(豊山洪氏)
생(生)1697년 정축(丁丑) 월 일
졸(卒)1734년 갑인(甲寅) 2월 24일
묘(墓)여주시(驪州市) 대신면(大神面) 초현리(草峴里) 충민공조(忠愍公兆) 다음
 지(誌)는 죽취부군(竹醉府君)이 짓고 표석(表石) 전면(前面)의 음기
 (陰記)도 병서(幷書)하였다.
손좌(巽坐) 합폄(合窆)
 부(父)부사(府使) 중연(重衍)
 조(祖)판서(判書) 만용(萬容)
 증조(曾祖)영안위(永安尉) 주원(柱元)
 외조(外祖)좌윤(左尹) 김석익(金錫翼) 본(本) 청풍(淸風)
17 세18 세19 세20 세21 세
수항(壽恒)창집(昌集)제겸(濟謙)성행(省行)이장(履長)
정인환(鄭麟煥)
준행(峻行)
원행(元行)
달행(達行)이기(履基)
이중(履中)
이경(履慶)
이득상(李得祥)
송재위(宋載緯)
탄행(坦行)이소(履素)
이유(履裕)
이도(履度)
홍대묵(洪大默)
위행(偉行)이완(履完)
홍낙현(洪樂賢)
이봉상(李鳳祥)
민백종(閔百宗)
호겸(好謙)
민계수(閔啓洙)
민창수(閔昌洙)
창협(昌協)숭겸(崇謙)원행(元行)이안(履安)
이직(履直)
서형수(徐逈修)
홍낙순(洪樂舜)
서종유(徐宗愈)
이태진(李台鎭)
운(雲)
박사한(朴師漢)
유수기(兪受基)
창흡(昌翕)양겸(養謙)범행(範行)이현(履鉉)
이용(履鏞)
이계(履銈)
이호(履鎬)
이영(履鍈)
이수(履鏽)
이희천(李羲天)
간행(簡行)
화행(和行)
윤만동(尹萬東)
유언전(兪彦銓)
홍익대(洪益大)
황심(黃杺)
치겸(致謙)
후겸(厚謙)
윤세량(尹世亮)
이덕재(李德載)
창업(昌業)우겸(祐謙)유행(由行)이흥(履興)
이인(履寅)
이익(履翼)
이진(履眞)
송숙흠(宋肅欽)
이유병(李惟秉)
이현중(李顯重)
언겸(彦謙)제행(悌行)이대(履大)
이승(履昇)
이만(履萬)
홍낙이(洪樂儞)
임명주(任命周)
이도신(李度臣)
심관(沈鑵)
신겸(信謙)양행(亮行)이구(履九)
민이현(閔彛顯)
비겸(卑謙)열행(說行)이의(履宜)
필행(弼行)이술(履述)
이규(履逵)
이식(李湜)
한용서(韓用書)
길행(吉行)이종(履宗)
이우(履宇)
이선(履宣)
이주(履宙)
서(徐)
정복증(鄭復曾)
윤겸(允謙)지행(摯行)이상(履商)
오언순(吳彦純)
최명후(崔命厚)
용행(龍行)이승(履承)
장이원(張履元)
조문명(趙文命)
이관(李灌)
이협(李浹)
창즙(昌緝)용겸(用謙)적행(迪行)이강(履鋼)
이종(履鍾)
홍상간(洪相簡)
이경신(李敬信)
민상현(閔常顯)
이망지(李望之)
창립(昌立)후겸(厚謙)간행(簡行)이석(履錫)
홍신한(洪紳漢)
박상철(朴相喆)
조진대(趙鎭大)
이언신(李彦臣)
이섭(李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