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헌(大司憲)  광현(光炫)


자는 회여(晦汝) 호는 수북(水北). 할아버지는 김극효(金克孝)이고 아버지는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이며 어머니는 권송(權悚)의 딸이다.

1612년(광해군 4) 생원·진사 양과에 모두 합격했으나 광해군의 어지러운 정치를 비판하며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그러나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인재로 뽑혀 연원도찰방(連源道察訪)을 제수받았다.

1625년(인조 3)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승문원 및 홍문관부정자 검열·정언 등을 역임했다.이괄(李适)의 난 및 유효립(柳孝立)의 역모사건 때 영사공신(寧社功臣) 1등에 책봉되었으나 뒤에 개훈(改勳) 때 삭제되었다.

1626년 수찬·교리·암행어사 등을 거쳐 1627년 정묘호란 때 호조판서 심열(沈悅)의 종사관으로 기읍(畿邑)에 파견되어 기민구제에 힘썼다.사간·응교·대사헌·대사간·예조참의 등을 거쳐 1634년 부제학이 되었다.

이 때 대사간 유백증(兪伯曾)이 인조의 사친추숭(私親追崇)을 옹호함을 임금에게 아부한다 해 탄핵하다가 삼수(三水)로 유배당하였다. 다음해 재이(災異)가 빈발함을 이유로 방면되어 돌아왔다.

1636년 병자호란 당시 아버지 김상용이 강화로 피난했다가 강화가 함락당해 그 곳에서 순절하자 김광현도 홍주의 오촌동(鰲村洞)에 은거하였다. 조정에서는 호종(扈從)의 공을 수록하고 대사간을 제수하였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다시 청주목사에 제수되었으나 모든 문서에 청나라 연호 쓰기를 거부하고 단지 간지만 씀으로써 파직당하였다.그 뒤 이조참판을 배수했으나 사직하였다.

1646년 소현세자빈 강씨의 옥이 일어나 강씨가 사사되자 강빈의 오빠 강문명(姜文明)이 사위였던 까닭에 순천부사로 좌천되었다. 이듬해 그 곳에서 울분 끝에 죽었다.

전서(篆書)와 해서(楷書)를 잘 썼으며 글씨로는 홍천에 있는 「홍양청난비(洪陽淸難碑)」 및 통진에 있는 「민기신도비(閔箕神道碑)」와 「영상이탁묘비(領相李鐸墓碑)」가 있다.

시문집으로 『수북유고(水北遺稿)』 4권이 전한다.








수북집(水北集)

저자 : 문충공(상용)파  광현(光炫)

생(生) : 1584.09.22

졸(卒) : 1647.07.23

임자사마양시(壬子司馬兩試)계해(癸亥)문과(文科) 한원(翰苑) 부제학(副提學) 대사헌(大司憲) 순천(順天)부사(府使) 

조선 시대 수북(水北) 김광현(金光炫 1584~1647)의 문집이다.
본집은 저자의 6대손 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희순(羲淳)이 고본(稿本)을 바탕으로 교감(校勘)ㆍ산정(刪定)하고 연보(年譜)와 부록(附錄)을 합하여 1805년 대구(大丘)에서 목판(木板)으로 간행(木板)하였다. 본집은 원집(原集) 4권 부록(附錄) 합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수(卷首)에 김희순(金羲淳)이 1805년에 지은 발문(跋文)이 있고 총목(總目) 및 세부 목록이 실려 있다.
권1~3은 시(詩)로서 월과(月課)로 지은 시 조천(朝天)하러 가거나 임지(任地)로 가는 지인들에게 주는 송시(送詩) 상대의 시에 차운(次韻)한 시 유배지인 삼수(三水)로 출발하면서부터 사면되어 돌아올 때까지의 시 순천 부사(順天府使) 시절의 시 만시(挽詩) 등과 같이 가능한 한 주제별로 모아 놓은 것으로 보인다.
권4는 문(文)으로 편지 송서(送序) 명(銘) 등이고 부록(附錄)에는 저자가 출생한 1584년부터 신도비를 세운 1753년까지 재록(載錄)된 연보(年譜)를 비롯해 신도비명(神道碑銘) 비명후록(神道碑銘) 묘표음기(墓表陰記) 제문(祭文)이 실려 있다.
안동김씨대종중 안동김씨대종중

()


문충공(상용)파
광현(光炫)
자(字)회여(晦汝)
호(號)수북(水北)
생(生)1584년 갑신(甲申) 9월 22일
관직(官職)임자사마양시(壬子司馬兩試)계해(癸亥)문과(文科)
한원(翰苑)
부제학(副提學)
대사헌(大司憲)
순천(順天)부사(府使)
저서(著書)수북유고(水北遺稿) 및 년보(年譜)가있다
졸(卒)1647년 정해(丁亥) 7월 23일
배(配)정부인(貞夫人)청송심씨(靑松沈氏)
생(生)1583년 계미(癸未) 월 일
졸(卒)1669년 기유(己酉) 6월 10일
묘(墓)홍성 갈산((葛山) 고도면(高道面) 여사곡(餘思谷)
 신도비(神道碑)는 숙부 청음선생(淸陰先生)이 짓고 종질 참판(叅判) 수증
 (壽增)이 썼다. 전(篆)은 증손 시찬(時粲)이 지었고(識) 시길(時吉)
 이 썼다 묘표(表)는 종질 수항(壽恒)이 짓고 음기(陰記)는 증손 시보(
 時保)가 썼다
갑좌(甲坐) 합폄(合窆)
 부(父)진사(進士) 율(慄)
 조(祖)목사(牧使) 신겸(信謙)
 증조(曾祖)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증(贈)영의정(領議政)익효
공(翼孝公) 강(鋼)
 외조(外祖)한양군(漢陽君) 증(贈)찬성(贊成) 이흥준(李興畯) 본(本) 한산(韓山)
13 세14 세15 세16 세17 세
생해(生海)대효(大孝)상헌(尙憲)광찬(光燦)수증(壽增)
수흥(壽興)
수항(壽恒)
수징(壽徵)
수응(壽應)
수칭(壽稱)
수능(壽能)
이정악(李挺岳)
홍주천(洪柱天)
이중휘(李重輝)
송규렴(宋奎濂)
이광직(李光稷)
허서(許墅)
원효(元孝)상준(尙寯)광욱(光煜)수일(壽一)
이선(李䆄)
광위(光煒)수익(壽翼)
수기(壽箕)
수일(壽一)
수규(壽奎)
이번(李瀿)
박환규(朴桓圭)
남궁배(南宮培)
광소(光炤)수상(壽相)
광혼(光焜)수양(壽良)
수담(壽聃)
수지(壽祉)
수녕(壽寧)
수팽(壽彭)
이희선(李熙先)
광련(光煉)수연(壽延)
수강(壽康)
수구(壽龜)
수필(壽必)
우제억(禹濟億)
허관(許琯)
광희(光熺)수준(壽埈)
이기연(李紀燕)
윤이지(尹履之)
김진휘(金晋輝)
극효(克孝)상용(尙容)광형(光炯)수창(壽昌)
광환(光煥)수홍(壽弘)
광현(光炫)수인(壽仁)
수민(壽民)
수빈(壽賓)
조석형(趙錫馨)
윤운거(尹雲擧)
이정기(李廷夔)
강문명(姜文明)
이회(李恢)
광소(光熽)수전(壽全)
수장(壽長)
수연(壽延)
이순선(李純善)
장경(張經)
김제일(金悌一)
정호검(鄭好儉)
남호학(南好學)
장유(張維)인선왕후(仁宣王后)
이이성(李以省)
한인급(韓仁及)
이응인(李應寅)
이석망(李碩望)
성후용(成後龍)
상관(尙寬)광혁(光爀)수흥(壽興)
이빈(李꽕)
김홍섭(金洪燮)
여증제(呂曾齊)
광찬(光燦)
광업(光㸁)수만(壽萬)
광적(光熵)수억(壽億)
수만(壽萬)
수천(壽千)
수백(壽百)
수기(壽期)
수하(壽河)
이운(李橒)
이만익(李萬益)
박성중(朴聖重)
신정견(愼廷堅)
정중하(鄭重河)
광요(光炓)수최(壽最)
이시현(李時炫)
홍성업(洪聖業)
이세필(李世弼)
이식(李굂)
정홍택(鄭弘澤)
유시정(柳時定)
이시노(李時老)
이시양(李時陽)
상건(尙謇)
상헌(尙憲)
상복(尙宓)광식(光烒)수남(壽南)
수영(壽榮)
수명(壽鳴)
이택(李澤)
송치중(宋致中)
윤집(尹集)
이오(李悟)
선효(善孝)상안(尙安)광후(光厚)의중(義重)
수중(壽重)
인중(仁重)
지중(智重)
후일(厚逸)득생(得生)
상빈(尙賓)광일(光逸)지중(智重)
고영찬(高永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