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 파 |
이름 |
부 |
조부 |
증조 |
시호 |
1 | 수편 | 계행(係行) | 삼근(三近) | 혁(革) | 득우(得雨) | 정헌(定獻)純行不爽(순행불상) 響忠內德(향충내덕)순수하게 행동하여 어긋남이 없음이 정이요 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 있음이 헌이다 .1863 |
2 | 문정공(상헌)파 | 상헌(尙憲) | 대효(大孝) | 생해(生海) | 번(璠) | 문정(文正)
勤學好問(근학호문) 以正服之(이정복지)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 정도로써 사람들을 복종시킨다 함이 정이다.1663 |
3 | 문정공(상헌)파 | 수항(壽恒) | 광찬(光燦) | 상헌(尙憲) | 대효(大孝) | 문충(文忠)
勤學好問(근학호문) 兼方公正(겸방공정)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 청렴하고 방정하며 공정하고 바름이 충이다.1725 |
4 | 문정공(상헌)파 | 창집(昌集) | 수항(壽恒) | 광찬(光燦) | 상헌(尙憲) | 충헌(忠獻)危身奉上(위신봉상) 嚮忠內德(향충내덕)자기 몸이 위태로우면서도 임금을 받듦이 충(忠)이요 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 있음이 헌이다.1753 |
5 | 문정공(상헌)파 | 창협(昌協) | 수항(壽恒) | 광찬(光燦) | 상헌(尙憲) | 문간(文簡)道德博聞(도덕박문) 一德不懈(일덕불해)도덕이 있고 널리 들은 것이 많음이 문이요 순일한 덕으로 느슨함이 없음이 간이다.1737 |
6 | 문정공(상헌)파 | 창흡(昌翕) | 수항(壽恒) | 광찬(光燦) | 상헌(尙憲) | 문강(文康)道德博聞(도덕박문) 淵源流通(연원유통)도덕이 있고 널리 들은 것이 많음이 문이요 근원이 깊어 흐름이 이어짐이 강이다.1776 |
7 | 문정공(상헌)파 | 제겸(濟謙) | 창집(昌集) | 수항(壽恒) | 광찬(光燦) | 충민(忠愍)
事君盡節(사군진절) 在國逢亂(재국봉란)
임금을 섬기는데 충절을 다함이 충이요 나라에 있으면서 환란을 만남이 민이다. |
8 | 문정공(상헌)파 | 신겸(信謙) | 창업(昌業) | 수항(壽恒) | 광찬(光燦) | 문경(文敬)道德博聞(도덕박문) 夙夜做戒(숙야주계)도덕이 있고 널리 들은 것이 많음이 문이요 이른아침부터 밤늦게까지 공경하고 경계함이 경이다.1863 |
9 | 문정공(상헌)파 | 성행(省行) | 제겸(濟謙) | 창집(昌集) | 수항(壽恒) | 충정(忠正)危身奉上(위신봉상) 以正服之(이정복지)자기몸이 위태로우면서도 임금을 받듦이 충이요 정도로써 복종시킴이 정이다.1851 |
10 | 문정공(상헌)파 | 원행(元行) | 숭겸(崇謙) | 창협(昌協) | 수항(壽恒) | 문경(文敬)道德博聞(도덕박문) 夙夜做戒(숙야주계)도덕이 있고 널리 들은 것이 많음이 문이요 이른아침부터 밤늦게까지 공경하고 경계함이 경이다.1805 |
11 | 문정공(상헌)파 | 양행(亮行) | 신겸(信謙) | 창업(昌業) | 수항(壽恒) | 문간(文簡)道德博聞(도덕박문) 一德不懈(일덕불사)도덕이 있고 널리 들은 것이 많음이 문이요 순일한 덕으로 느슨함이 없음이 간이다.1805 |
12 | 문정공(상헌)파 | 이익(履翼) | 유행(由行) | 우겸(祐謙) | 창업(昌業) | 간헌(簡獻)正直無邪(정직무사) 嚮忠內德(향충내덕)마음이바르고 곧아 사악하지 않음이 간이요 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 있음이 헌이다.1834 |
13 | 문정공(상헌)파 | 이소(履素) | 탄행(坦行) | 제겸(濟謙) | 창집(昌集) | 익헌(翼憲)
思慮深遠(사려심원) 行善可紀(행선가기)생각이 깊고 원대함이 익이요 행동이 착하여 본보기가 될만함이 헌이다.1798 |
14 | 문정공(상헌)파 | 이도(履度) | 탄행(坦行) | 제겸(濟謙) | 창집(昌集) | 정헌(正獻)
以正服人(이정복인) 嚮忠內德(향충내덕)정도로써 사람을 복종시킴이 정이요 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 있음이 헌이다.1854 |
15 | 문정공(상헌)파 | 이안(履安) | 원행(元行) | 숭겸(崇謙) | 창협(昌協) | 문헌(文獻)
道德博聞(도덕박문) 嚮忠內德(향충내덕)도덕이 있고 널리 들은 것이 많음이 문이요 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 있음이 헌이다.1881 |
16 | 문정공(상헌)파 | 매순(邁淳) | 이수(履鏽) | 범행(範行) | 양겸(養謙) | 문청(文淸)勤學好問(근학호문) 避遠不義(피원불의)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 의롭지 못한 것을 피하고 멀리함이 청이다.1875 |
17 | 문정공(상헌)파 | 학순(學淳) | 이석(履錫) | 간행(簡行) | 후겸(厚謙) | 문간(文簡)勤學好問(근학호문) 正直無邪(정직무사)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 마음이 바르고 곧아 사악하지 않음이 간이다.1876 |
18 | 문정공(상헌)파 | 조순(祖淳) | 이중(履中) | 달행(達行) | 제겸(濟謙) | 충문(忠文)廬國忘家(여국망가) 勤學好問(근학호문)나라일을 걱정하여 집안일을 잊음이 충이요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다.1832 |
19 | 문정공(상헌)파 | 난순(蘭淳) | 이유(履裕) | 탄행(坦行) | 제겸(濟謙) | 효문(孝文)慈惠愛親((자혜애친) 勤學好問(근학호문)지혜롭고 어버이를 사랑함이 효요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다.1863 |
20 | 문정공(상헌)파 | 달순(達淳) | 이현(履鉉) | 범행(範行) | 양겸(養謙) | 익헌(翼憲)思慮深遠(사려심원) 行善可紀(행선가기)생각이 깊고 원대함이 익이요 착한일을 하여 기록할만 함이 헌이다.1910 |
21 | 문정공(상헌)파 | 유근(逌根) | 용순(龍淳) | 이기(履基) | 달행(達行) | 문정(文貞)
勤學好問(근학호문) 淸白守節(청백수절)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 맑고 곧으며 절개를 지킴이 정이다.1841 |
22 | 문정공(상헌)파 | 좌근(左根) | 조순(祖淳) | 이중(履中) | 달행(達行) | 충익(忠翼)
事君盡節(사군진절) 思慮深遠(사려심원)
임금을 섬김에 충절을 다함이 충이요 생각이 깊고 원대함이 익이다.1869 |
23 | 문정공(상헌)파 | 홍근(弘根) | 명순(明淳) | 이경(履慶) | 달행(達行) | 문익(文翼)
勤學好問(근학호문) 思廬深遠(사려심원)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생각이 깊고 원대함이 익이다.1854 |
24 | 문정공(상헌)파 | 응근(應根) | 명순(明淳) | 이경(履慶) | 달행(達行) | 청헌(淸獻)避遠不義(피원불의) 嚮忠內德(향충내덕)의롭지 못한 것을 피하고 멀리함이 청이요 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 있음이 헌이다.1863 |
25 | 문정공(상헌)파 | 흥근(興根) | 명순(明淳) | 이경(履慶) | 달행(達行) | 충문(忠文)
事君盡節(사군진절) 勤學好問(근학호문)
임금을 섬김에 충절을 다함이 충이요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다.1874 |
26 | 문정공(상헌)파 | 조근(祖根) | 지순(芝淳) | 이소(履素) | 탄행(坦行) | 효간(孝簡)慈惠愛親(자혜애친) 一德不懈(일덕불해)지혜롭고 오버이를 사랑함이 효요 순일한 덕으로 느슨함이 없음이 간이다.1863 |
27 | 문정공(상헌)파 | 보근(輔根) | 홍순(鴻淳) | 이도(履度) | 탄행(坦行) | 문헌(文憲)
勤學好問(근학호문) 行善可紀(행선가기)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착한일을 하여 기록할만 함이 헌이다.1875 |
28 | 문정공(상헌)파 | 수근(洙根) | 인순(麟淳) | 이직(履直) | 원행(元行) | 정문(正文)以正服人(이정복인) 勤學好問(근학호문)정도로써 사람을 복종시킴이 정이요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다.1854 |
29 | 문정공(상헌)파 | 영근(泳根) | 복순(復淳) | 이장(履長) | 성행(省行) | 효정(孝貞)慈惠愛親(자혜애친) 淸白守節(청백수절)지혜롭고 어버이를 사랑함이 효요 맑고 곧으며 절개를 지킴이 정이다.1875 |
30 | 문정공(상헌)파 | 문근(汶根) | 이순(頤淳) | 이장(履長) | 성행(省行) | 충순(忠純)慮國忘家(여국망가) 中正精粹(중정정수)나라일을 걱정하여 집안일을 잊음이 충이요 마음이 바르고 정신이 순수함이 순이다.1864 |
31 | 문정공(상헌)파 | 병주(炳疇) | 연근(淵根) | 학순(學淳) | 이석(履錫) | 효정(孝貞)
慈惠愛親(자혜애친) 淸白自守(청백자수)
지혜롭고 어버이를 사랑함이 효요 맑고 곧으며 자기를 지킴이 정이다.1876 |
32 | 문정공(상헌)파 | 병필(炳弼) | 문근(汶根) | 이순(頤淳) | 이장(履長) | 효정(孝貞)
慈惠愛親(자혜애친) 淸白自守(청백자수)
지혜롭고 어버이를 사랑함이 효요 맑고 곧으며 자기를 지킴이 정이다.1875 |
33 | 문정공(상헌)파 | 병주(炳㴤) | 유근(逌根) | 용순(龍淳) | 이기(履基) | 효문(孝文)
慈惠愛親(자혜애친) 勤學好問(근학호문)
지혜롭고 어버이를 사랑함이 효요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다.1888 |
34 | 문정공(상헌)파 | 병지(炳地) | 원근(元根) | 조순(祖淳) | 이중(履中) | 효정(孝貞)慈惠愛親(자혜애친) 淸白自守(청백자수)지혜롭고 어버이를 사랑함이 효요 맑고 곧으며 자기를 지킴이 정이다.1875 |
35 | 문정공(상헌)파 | 병기(炳冀) | 좌근(左根) | 조순(祖淳) | 이중(履中) | 문헌(文憲)
勤學好問(근학호문) 嚮忠內德(향충내덕)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 있음이 헌이다.1875 |
36 | 문정공(상헌)파 | 병시(炳始) | 응근(應根) | 명순(明淳) | 이경(履慶) | 충문(忠文)
危身奉上(위신봉상) 勤學好問(근학호문)
자기몸이 위태로우면서도 임금을 받듦이 충이요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다.1898 |
37 | 문정공(상헌)파 | 병덕(炳德) | 흥근(興根) | 명순(明淳) | 이경(履慶) | 문헌(文獻)
勤學好問(근학호문) 嚮忠內德(향충내덕)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 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 있음이 헌이다.1892 |
38 | 문정공(상헌)파 | 병운(炳雲) | 호근(浩根) | 봉순(鳳淳) | 이안(履安) | 문정(文靖)
勤學好問(근학호문) 寬樂令終(관락령종)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 너그럽고 즐거워하며 아름답게 인생을 사는 것이 정이다.1879 |
39 | 문정공(상헌)파 | 병학(炳學) | 준근(浚根) | 인순(麟淳) | 이직(履直) | 문헌(文獻)
勤學好問(근학호문) 嚮忠內德(향충내덕)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 있음이 헌이다.1879 |
40 | 문정공(상헌)파 | 병국(炳國) | 수근(洙根) | 인순(麟淳) | 이직(履直) | 충문(忠文)
事君盡節(사군진절) 勤學好問(근학호문)
임금을 섬김에 충절을 다함이 충이요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다.1905 |
41 | 문정공(상헌)파 | 명규(明圭) | 병용(炳龍) | 보근(葆根) | 성순(聖淳) | 문정(文靖)
勤學好問(근학호문) 寬樂令終(관락영종)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 너그럽고 즐거워하며 아름답게 인생을 사는 것이 정이다.1907 |
42 | 휴암공(상준)파 | 광욱(光煜) | 상준(尙寯) | 원효(元孝) | 생해(生海) | 문정(文貞)
勤學好問(근학호문) 淸白守節(청백수절)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 맑고 곧으며 절개를 지킴이 정이다.1748 |
43 | 휴암공(상준)파 | 수익(壽翼) | 광위(光煒) | 상준(尙寯) | 원효(元孝) | 충경(忠景)
事君盡節(사군진절) 守義不屈(수의불굴)
임금을 섬김에 절의를 다함이 충이요 정의를 지켜 굴복하지 않음이 경이다.1756 |
44 | 휴암공(상준)파 | 시태(時泰) | 성구(盛久) | 수규(壽奎) | 광위(光煒) | 충의(忠毅)危身奉上(위신봉상) 强而能斷(강이능단)자기몸이 위태로우면서도 임금을 받듦이 충이요 강하여 능히 릴을 결단함이 의이다.1783 |
45 | 문충공(상용)파 | 상용(尙容) | 극효(克孝) | 생해(生海) | 번(璠) | 문충(文忠)충신접례(忠信接禮) 위신봉상(危身奉上) 충성스럽고 믿을 수 있으며 예로써 손님을 대함이 문이요 자기 몸이 위태로우면서도 임금을 받드는 것이 충이다. 1663 |
46 | 문충공(상용)파 | 시걸(時傑) | 성우(盛遇) | 수인(壽仁) | 광현(光炫) | 헌간(獻簡)嚮忠內德(향충내덕) 一德不懈(일덕불해)충성을 다하고 안으로 덕이 있음이 헌이요 순일한 덕으로 느슨함이 없음이 간이다.1888 |
47 | 문충공(상용)파 | 시찬(時粲) | 성도(盛道) | 수민(壽民) | 광현(光炫) | 충정(忠正)廬國忘家(여국망가) 以正服之(이정복지)나라일을 걱정하여 집안일을 잊음이 충이요 정도로써 복종시킴이 정이다.1806 |
48 | 문충공(상용)파 | 이교(履喬) | 방행(方行) | 시찬(時粲) | 성도(盛道) | 문정(文貞)忠信接禮(충신접례) 淸白自守(청백자수)충성스럽고 믿을수 있으며 예로써 손님을 대함이 문이요 맑고 곧으며 자기를 지킴이 정이다.1836 |
49 | 문충공(상용)파 | 이재(履載) | 방행(方行) | 시찬(時粲) | 성도(盛道) | 문간(文簡)勤學好問(근학호문) 正直無邪(정직무사)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마음이 바르고 곧아 사악하지 않음이 간이다.1854 |
50 | 문충공(상용)파 | 희순(羲淳) | 이인(履仁) | 교행(敎行) | 시발(時發) | 문간(文簡)勤學好問(근학호문) 一德不懈(일덕불해)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 순일한 덕으로 느슨함이 없음이 간이다.1824 |
51 | 문충공(상용)파 | 옥균(玉均) | 병기(炳基) | 교근(喬根) | 후순(厚淳) | 충달(忠達)
廬國忘家(여국망가) 疏中通理(소중통리)
나라일을 걱정하여 집안일을 잊음이 충이요 상소문이 이치에 통달함이 달이다.1910 |
52 | 문충공(상용)파 | 응균(應均) | 병성(炳星) | 세근(世根) | 도순(道淳) | 효헌(孝憲)慈惠順親(자혜순친) 行善可紀(행선가기)자혜롭고 어버이에 순종함이 효요 착한일을 하여 기록할만 함이 헌이다.1879 |
53 | 문충공(상용)파 | 세균(世均) | 병선(炳先) | 복근(復根) | 덕순(德淳) | 문정(文貞)
勤學好問(근학호문) 淸白自守(청백자수)
배우기를 부지런히 하고 남에게 묻기를 좋아함이 문이요 맑고 곧으며 자기를 지킴이 정이다.
1881 |
54 | 부사공(상관)파 | 수흥(壽興) | 광혁(光爀) | 상관(尙寬) | 극효(克孝) | 문익(文翼)
忠信接禮(충신접례) 思慮深遠(사려심원)
충성스럽고 미더우며 예로써 손님을 접대함이 문이요 생각이깊고 원대함이 익이다.1726 |